평택임씨 공파

평택임씨 공파

작성일 2017.02.0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희 아버지가 말씀하시길 저는 평택임씨 절대공파 23대손이라는데, 인터넷에 쳐도 나주임씨 절도공파만

나오는데 평택임씨 절대공파가있는건가요?

참고로 임천복(친할아버지)->임만길(아버지)->임성필(남동생)이에요.


#평택임씨 공파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저희 아버지가 말씀하시길 저는 평택임씨 절대공파 23대손이라는데, 인터넷에 쳐도 나주임씨 절도공파만

나오는데 평택임씨 절대공파가있는건가요?

참고로 임천복(친할아버지)->임만길(아버지)->임성필(남동생)이에요.

 
답변 : 평택 임씨에서 절대공파라고는 들어 보지 못했습니다. 만약에 있다면 지파일 것입니다.
 
조부님 : 천자 복자 두자 중에 한자가 돌림자라 하셨고,
부친님 : 만자 길자 두자 중에 한자가 돌림자라 하셨으며,
님형제 : 성자 필자 두자 중에 한자가 돌림자라 하셨습니다.
 
하나! 조부님 ?자 → 부친님 성자 → 님은 진자로 이어지는 돌림자가 없는 것으로 보아서는 항렬표 돌림자 위주로 성함을 지으신 것이 아닌듯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정확도를 기하기 위하여 먼저 집안 어른들에게 항렬자를 여쭤보시고 모르신다면, 이때는 족보를 보시던가 족보책을 소장하고 계시지 않는다면, 조부님 증조부님 고조부님의 지금 사시는 관할 동사무소나 읍면사무소에 가셔서 제적등본을 발부 받아 대조해 보시고, 그래도 모르시면, 존함과 과거에 사시던 연고지가 다 나옵니다. 이를 토대로 찾아가셔서 같이 사시던 종친을 찾아 무슨파 항렬자냐고 여쭤보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항렬표 돌림자가 맞지 않아 항렬자와 파를 찾아 드리지 못해 정말 송구스럽습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님은 평택 임씨 뼈대 있는 가문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글과 한문을 병용합니다. 이유는 한문에는 깊은 뜻이 담겨있습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항렬표를 올려드릴테니 님도 한번 항렬자를 대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평택 임씨에 대한 정보를 올려 드립니다.

 

 

 

평택 임씨(平澤 林氏)에 대()하여

 

1. 평택 임씨(平澤 林氏) 시조(始祖) : 임언수(林彦修) 임세춘(林世春)

2. 평택 임씨(平澤 林氏) 유래(由來) :

 

시조(始祖) 임팔급(林八及)은 당()나라 사람으로 840 ~ 900년경에 신라(新羅)에 와서 이부상서를 역임(歷任)하였고 팽성 용주방(현재의 평택 용포리)에 살았다고 한다.

그러나 그 후의 기록(記錄)이 없어서 고려말(高麗末)에 세자전객령을 지낸 임세춘(林世春)을 중시조(1)로 하고 있다. 은왕자 비간(比干) (주왕숙부)이 지금부터 약 삼천년전 즉() 서기(西紀) 기원(紀元) 천년전 오늘날의 중국(中國) 황하유역 남쪽에 위치한 황하문명의 중심지(中心地)인 은()나라 마지막 30대 주왕(紂王)이 목불인견(目不忍見)의 학정(虐政)을 거듭함으로 비간이 죽음을 무릅쓰고 간()하니 주왕이 충신(忠臣)은 죽음을 불사한다면 이 칼로 죽어보라 하며 차고 있던 은()장도를 던져 줌으로써 비간은 그 칼을 뽑아 왕 앞에서 자결을 하니 그의 아들 견()은 부친의 참사(慘死) 하심을 보고 후환(後患)을 걱정하여 장림산(長林山)으로 피신(避身)하여 살면서 성씨(姓氏)를 임()으로 하였다고 한다.

 

 

3. 평택 임씨(平澤 林氏) 본관(本貫) 연혁(沿革)

 

평택(平澤)은 경기도(京畿道) 남동(南東)단에 위치(位置)하는 지명(地名)으로 고구려(高句麗) 장수왕(長壽王) 때는 송촌활달(松村活達부산현(釜山縣: 古淵達部曲)이었다. 신라(新羅)가 삼국(三國)을 통일(統一)한 후() 757(경덕왕 16)에 진위현(振威縣)으로 개칭되었다. 940(고려 태조 23)에 수성군(水城郡)에 편입되었으며 동시(同時)평택(平澤縣)으로 개칭(改稱)되었다. 1018(현종 9)에 수주(水州: 水原)의 속현(屬縣)이 되었다가, 1172(명종 2)에 감무(監務), ()에 현령(縣令)을 파견(派遣)하면서 독립(獨立)하였다. 1413(태종 13) 현감(縣監)을 두고 1505(연산군 11)에 처음으로 충청도(忠淸道)에서 경기도(京畿道)로 이속(移屬)되었다. 중종 초에 충청도(忠淸道)로 환원(還元)되었으며, 1596(선조 29)에 직산현(稷山縣)에 예속되었다가 1610(광해군 2)에 복구(復舊)하여 현()이 되었다. 1895(고종 32) 지방제도(地方制度) 개정(改定)으로 군()으로 승격(昇格)되었고, 1896년에 진위현은 경기도(京畿道), 평택(平澤縣)은 충청남도(忠淸南道)에 소속(所屬)되었다. 1914년 군면(郡面) 폐합(廢合)으로 진위군은 수원군의 15개 면과 충청남도(忠淸南道) 평택(平澤郡) 전역(全域)을 병합(倂合)하여 면적(面積)이 크게 확대(擴大)되었다. 1924년 진위군이 평택(平澤郡)으로 개칭(改稱)되었다. 1983년 행정구역(行政區域) 조정(調定)에 따라 안성군 원곡면(元谷面) 용이리(龍耳里죽백리(竹柏里청룡리(靑龍里월곡리(月谷里)와 공도면(孔道面)의 소사리(素砂里)평택(平澤邑), 용인군 남사면(南四面) 진목리(眞木里) 일부와 봉명리(鳳鳴里) 일부가 진위면에 각각(各各) 편입(編入)되었으며, 1986평택(平澤邑)이 시()로 승격되었다. 1995평택·평택·송탄시가 평택(平澤市)로 통합(統合)되었다.

 

 

4. 평택 임씨(平澤 林氏) 계파(系派)

 

학사공 임팔급 이하 충선공 임몽주까지의 계대가 여러 차례의 병화 등으로 각 계파간(系派間)에 서로 달라 모호하고 또 충선공 이하의 세계 역시 곤계차서가 각 파간에 맞지 않아 통일하기 어려워 고려 말에 세자전객령 겸 연화궁 부사를 지낸 임세춘(林世春) 1세조(世祖)로 하고 4세 공혜공 임 정(恭惠公 林 整),

 

8세 충민공 임경업(忠愍公 林慶業),5세 갈곡공 임수겸 등으로 이어지는 <전객령계>가 있고,

 

역시 고려말(高麗末)에 문과(文科)에 올라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태위. 찬성사. 문하시중(門下侍中) 평장사(平章事)에 이르러 팽성부원군에 봉()해지고 충정으로 증시 된 임언수(林彦修) 1세조로, 그의 아들 성미. 견미. 제미로 이어지는 <충정공계>가 있다.

 

평택 임씨 충정공 언수(평성군파) 양주 대동계보(平澤林氏 忠貞公 彦修派(平城君派) 揚州 大同 係譜)

 

始祖(시조) 學士公(학사공)林八及(임팔급)

中祖(중조) 忠宣公(충선공)林夢周(임몽주)

中祖一世 (중조1) 平城府阮君(평성부원군)林彦秀 (임언수)

0-1林八及(임팔급, 학사공) 0-2良貯(양저,태사) 0-3(, 충렬공) 0-4(, 충숙공)

0-5(, 평장사) 0-6得雨(득우, 금시위)

1-夢周(몽주, 충선공) 2-見美(견미) 3-() 4-萬玉(만옥) 5-喜胤(희윤)

6-世春(세춘, 전객령) 7-(3,평장사)

8-彦修(언수, 평성부원군) 9-成味(성미1,충간공,견미2,평원부원군)10-尙陽 (상양1,上護軍상호군)

11-(1,直長직장) 12-從直(종직2,군사) 13-萬根(만근2) 14-(3府使부사) 15-貞秀(정수3,좌랑)

16-(,부사) 17-得義(득의2,평성군파,득신5송담공파,득검8송당공파,5,8,송파) 18-() 19-重喬(종교) 20-() 21-柱吉(주길) 22-() 23-俊遠(준원) 24-永暉(영휘2백석명환계열)永南 (영남1파주부영계열)永瑞(영서3장흥계열) 25-相鄕(상향2) 26-魯恒(노항) 27-瓚周(찬주)28재호29승서30준영31순환

 

평택 임씨(平澤 林氏)는 당()나라 한림학사(翰林學士) 임팔급(林八及)을 시조(始祖)로 하고 있다. 그는 동래 8학사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정착(定着)하였다.

그러나 그 후의 세계는 알 수가 없어, 고려말(高麗末) 세자전객령(世子典客令) () 연희궁부사(延禧宮副使)를 지낸 임세춘(林世春)을 일세조(一世祖)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는 전객령계(典客令系), 역시(亦是) 고려말(高麗末)에 삼중대광(三重大匡)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이 된 임언수(林彦脩)를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충정공계(忠貞公系)로 나뉘어 현재(現在)에 이르고 있다.

 

또한 언수(彦修) 1세조(世祖)로 하는 또 다른 일파(一派)에서는 그의 아들 성미[成味]가 고려말(高麗末) 우왕(禑王)때 공을 세워 삼사우사에 이르렀고, 견미[堅味]는 문하시중(門下侍中), 재미[齊味]는 판개성윤을 역임(歷任)하여 가문(家門)을 빛냈다.

 

府使公派(부사공파)- 임세춘

司直公派(사직공파)

三淸堂公派(삼청당공파)

承旨公派(승지공파)

靈光公派(영광공파)

進士公派(진사공파)

錦湖公派(금호공파)

參議公派(참의공파)

平城君派(평성군파)

松峴公派(송현공파)

晩竹公派(만죽공파)

松潭公派(송담공파),

松山公派(송산공파)

松州公派(송주공파)

松塘公派(송당공파)

靈海公派(영해공파)

觀海公派(관해공파)

大護軍派(대호군파)

縣監公派(현감공파)

居隱公派(거은공파)

持平公派(지평공파)

府院君派(부원군파)

判尹公派(판윤공파)

 

 

5. 평택 임씨(平澤 林氏) 대표적(代表的) 인물(人物)

 

- 임언수(彦修) : 고려 말 삼중대광 문화시중 평장사(平章事)을 지내고 충정공파 1세조이다.

- 임세춘(世春) : 세자전객령(世子典客令) 겸 연희궁 부사(衍禧宮副使), 전객령공파 1세조이다

- 임성미(成味) : 임언수의 아들, 고려 우왕 때 왜구를 무찔러 삼사우사에 이르렀다.

- 임견미(堅味) : 임언수의 아들, 홍건적의 난 때 1등공신이 되고, 제주 목호의 난과 왜구를 쳐서 문하시중에 올랐으나 후에 전횡을 일삼다가 최영, 이성계에게 살해됨.

- 임제미(齊味) : 임언수의 아들. 판개성윤을 지냈다.

- 임정() : 임세춘의 증손, 태종 때 예조판서를 지내고 성종 때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 임황() : 임세춘의 10세손, 중추부영사를 지냈다.

- 임경업(慶業) : 임황의 여덟 아들 중 넷째 아들, 광해군 때 무과에 급제, 병자호란 때는 평안도병마절도사로 용맹을 떨쳤는데 김자점(金自點)의 모함으로 피살되었다.

- 임형수(亨秀) : 충정공 임언수의 7대손이며, 인종 1년 홍문관 부제학(弘文館 副提學) 1547(명종 2)에 정미사화(丁未士禍) 즉 벽서지변에 관련 정언각(鄭彦殼)의 참소로 사사(賜死) 되었다.

- 임식() : 충정공 임언수의 8대손이며, 명종시 당세 17명현(17名賢)중 한분이며 강계부사(江界府使)를 역임

- 임회() : 충정공 임언수의 8대손이며, 광주목사(廣州 牧使) 1624(인조 2) 이괄난 시 순절(殉節)

- 임인산(仁山) : 공혜공 장자 병조참판

- 임명산(命山) : 공혜공 차자 이조판서

- 임갑산(甲山) : 공혜공 삼자 좌승지 등(等)

 

 

6. 평택 임씨(平澤 林氏) 항렬표(行列表)

 

부사공파 <임세춘> 

24

25

26

27

28

29

30

()

()

()

()

()

()

()

()

()

()

()

()

()

31

32

33

34

35

36

37

()

()

()

()

()

()

-

-

-

-

 

충정공파 <임언수>

16

17

18

19

20

21

22

()

()

()

()

()

()

()

()

()

23

24

25

26

27

28

29

()

()

()

()

()

()

()

30

31

32

33

34

35

36

()

()

()

()

()

()

 

전객령공파 <임세춘> 

21

22

23

24

25

26

27

()

()

()

()

()

()

()

()

()

()

()

()

()

28

29

30

31

32

33

34

()

()

()

()

()

()

()

()

()

()

()

()

-

 

평원부원군계 항렬표(行列表)

(

청양

왕궁

웅포

장흥

해남

용안

부안

옥구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7. 평택 임씨(平澤 林氏) 주요(主要) 세거지(世居地)

 

-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갈계리

- 경상북도 안동군

- 전라남도 곡성군 고달면

- 전라남도 광산군 임곡면 등임리

- 전라남도 나주군

- 전라북도 순창군

- 충청남도 부여군

- 평안북도 철산군

 

 

8. 평택 임씨(平澤 林氏) 인구수(人口數)

 

-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평택 임씨(平澤林氏)는 남한에 총 46,670가구, 194,550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평택 임씨 65,015가구 총 210,089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파라는것은 자신의 가계주소와갇은것입니다

대파 중파 소파 지파등 다양합니다


남들은 얼수도없고 알수있는 방법도 없습니다

안다고해도 그것은 남들의 추정일뿐임니다


그것을 잘못된 정보로 자신의 가계뿌리를 잘못알수도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뿌리를 남들에게 질문하는 모양세도 좋지않습니다


오로지 친척중에서 아버지의 혈연관계자만이 알수있으며

제적등본을 준비하여 도서관에 가셔서 족보에서 직접 고조부 증조부 조부 부 나의 이름을 찾을경우


두가지밖에 방법이 없습니다

평택임씨 공파

... (판윤공파) 5. 평택 임씨(平澤 林氏) 대표적(代表的) 인물(人物) - 임언수(彦修) : 고려 말 삼중대광 문화시중 평장사(平章事)을 지내고 충정공파 1세조이다. - 임세춘(世春)...

평택임씨 충정공파 부사공파

... (판윤공파) 5. 평택 임씨(平澤 林氏) 대표적(代表的) 인물(人物) - 임언수(彦修) : 고려 말 삼중대광 문화시중 평장사(平章事)을 지내고 충정공파 1세조이다. - 임세춘(世春)...

평택임씨 정랑공파 질문이요

... 갈곡공파 6. 평택 임씨(平澤 林氏) 대표적(代表的) 인물(人物) - 임언수(彦修) : 고려 말 삼중대광 문화시중 평장사(平章事)을 지내고 충정공파 1세조이다. - 임세춘(世春)...

평택임씨 갈곡공파 항렬 관련

... (판윤공파) 5. 평택 임씨(平澤 林氏) 대표적(代表的) 인물(人物) - 임언수(彦修) : 고려 말 삼중대광 문화시중 평장사(平章事)을 지내고 충정공파 1세조이다. - 임세춘(世春)...

평택임씨 갈곡공파 족보

... (판윤공파) 5. 평택 임씨(平澤 林氏) 대표적(代表的) 인물(人物) - 임언수(彦修) : 고려 말 삼중대광 문화시중 평장사(平章事)을 지내고 충정공파 1세조이다. - 임세춘(世春)...

평택임씨 맹산공파

... 갈곡공파 6. 평택 임씨(平澤 林氏) 대표적(代表的) 인물(人物) - 임언수(彦修) : 고려 말 삼중대광 문화시중 평장사(平章事)을 지내고 충정공파 1세조이다. - 임세춘(世春)...

안녕하세요 평택임씨 전객령공파 돌림자

... 갈곡공파 6. 평택 임씨(平澤 林氏) 대표적(代表的) 인물(人物) - 임언수(彦修) : 고려 말 삼중대광 문화시중 평장사(平章事)을 지내고 충정공파 1세조이다. - 임세춘(世春)...

평택임씨 세춘자손입니다 공파를...

... 갈곡공파 6. 평택 임씨(平澤 林氏) 대표적(代表的) 인물(人物) - 임언수(彦修) : 고려 말 삼중대광 문화시중 평장사(平章事)을 지내고 충정공파 1세조이다. - 임세춘(世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