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중에 조씨의 조상은 누구누구가 있나요?

성중에 조씨의 조상은 누구누구가 있나요?

작성일 2012.01.1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저는 이제 3학년에 올라가는 조 하빈이라고 하는 대요..제가 갑자기 Why? 삼국의 경쟁을 봤는데

거기 캐릭터가 자기의 조상이 강 이식 장군님이라고 해서 제 조상은 누구인지 궁금해서 올립니다!!

1.조씨와 박씨의 조상은 누구인가요?

2.어떤 사람이고, 어떤 휼륭한 일을 하셨나요?(자세히,좀 간단하게)

3.여러 사람이시면 다 올려주세요.....

위의 내용 잘 포함과 지켜주세요....

*내공냠냠 신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의 질문에 간추려 답변을 드리지요.

조씨를 질문하셨는데 광범위한 답변이 됩니다.

또 다말씀 드릴 수도 없고해서 요점들만 골라 말씀드리지요.

이유는 다 말씀드릴려면 A4용지 수백장 아니 수천장을 쓰도 인물을 다 말씀드릴 수가 없어요.

설명상 한글과 한문을 병행합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이제 3학년에 올라가는 조 하빈이라고 하는 대요..제가 갑자기 Why? 삼국의 경쟁을 봤는데

거기 캐릭터가 자기의 조상이 강 이식 장군님이라고 해서 제 조상은 누구인지 궁금해서 올립니다!!

1.조씨와 박씨의 조상은 누구인가요?

2.어떤 사람이고, 어떤 휼륭한 일을 하셨나요?(자세히,좀 간단하게)

3.여러 사람이시면 다 올려주세요.....

위의 내용 잘 포함과 지켜주세요....

*점수냠냠 신고!!!

 

1.조씨와 박씨의 조상은 누구인가요?

 

박씨는 박혁거세 시조가 있지요.

조씨는 님이 본관을 선정하시지 않으셔서 아는데로 설명합니다.

 

답변 : 먼저 조씨(曺氏)부터 역사적으로 내려오는 답변을 드리면.

 

☞ 조씨(曹氏) → 조씨(曺氏)로

 

조비(曹丕) 186 ∼ 226년 : 위(魏)의 첫 번째 황제인 문제(文帝). 제위 기간은 220 ∼ 226년, 자는 자환(子桓)이고.....

조식(曹植)은 192 ∼ 232년 : 조조(曹操)의 넷째 아들이며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이다. 자는 자건(子建). 안휘성(安徽城) 사람,

 

조귀인 - 조조의 딸로서 나중에 조조가 조조를 위협하려는 복완과 복황후를 죽이고 난 뒤 헌제에게 시집보내어 귀인이 되었다가 복황후가 죽고 조황후가 되었습니다.

양심이 있는 인물로서 조비가 헌제에게 선양을 받을때 조비를 꾸짖었다네요.

 

조등 - 위나라는 아니지만 그래도 조조의 할아버지입니다. 근데 친할아버지가 아니라 양할아버진데요, 환관이었습니다. 환관중에도 좀 착한 환관인데 세력이 커지자 양아들을 둘 수가 있게 되어 조조의 아버지 하후숭이 그의 양자로 들어가 조숭이 되었습니다.

 

조숭 - 조조의 아버지인데요 양아버지 조등의 큰 재산을 이어받아 돈 주고 태위노릇을 했습니다. 그래도 조조의 말은 잘 듣는 너그러운 아버지였지만 도겸의 부하인 옛 황건적 장수 장개에 의해 참살당해서 조조가 도겸을 치러갔었죠.

 

조식 - 조조의 아들인데요 몇째 아들인지는 불분명합니다. 시적 재능이 탁월해서요 조조도 조비보단 조식을 더 사랑했지만 원씨 일가처럼 되기 않기 위해 후계를 조비에게 물려주었습니다. 그의 시적 재능은 정말 정말 탁월해 현재까지 많은 사랑을 받고 연구가 되고 있다고 하더군요. 불쌍한 인물로 보입니다.

 

조비 - 조조의 아들로 나중에 위나라 초대 황제인 문제가 됩니다. 재능도 조조닮아 뛰어나구요 조식과의 후계자 다툼에서 이겨서 조조의 큰 세력을 이어받습니다.

정치도 잘하고 위나라를 안정시켰지만 일찍 죽었습니다.

 

조앙 - 조조의 맏아들인데요, 조조가 장수를 칠때 병법을 가르쳐 주기 위해 데려갔다가 그만 조조의 실수로 조조군이 퇴각할때 조조를 위해 말을 내어주고 자신은 장수군에게 죽고맙니다,

 

조예 - 조비의 아들로서 위나라 2대 황제인 명제가 됩니다. 처음에는 참 영특하고 훌륭했지만 만년에는 많이 사치해지고 해서 좀..

 

조안민 - 조조의 조카인데요 장수토벌때 여자를 소개시켜줬다가 조조가 큰 실수를 해서 큰 화를 당합니다. 그래서 조안민은 열받은 장수군에게 무참히 죽게됩니다.

 

조인 - 조조의 종제? 라는데 종제가 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친척인가봐요.

조조가 거병할때부터 같이 했고 많은 공을 세웠습니다. 무예에도 뛰어나도 뛰어난 장군이 되고 나중에는 대사마와 대장군도 해봤습니다.

 

조웅 - 조조의 아들중에 한사람인데 어릴적부터 몸이 약해서 많이 앓았습니다. 나중에 조비가 황제가 된 후 조조의 장례식때 조웅이 안왔다고 조금 화내자 조웅은 벌을 받을까봐 무서워서 자살했다군요. 쯧쯧쯔,

 

조조 - 조조.. 아실거에요..  

조진 - 조조의 조카인데요 원래 참 뛰어난 장군입니다. 병사들과 생사고락을 함께하고 제갈량의 북벌을 저지시키는데 많은 일을 하고 잘지내는데 연의에서는 못난 인물로 나옵니다.

 

조창 - 역시 조조의 아들인데요 무예가 뛰어나고 또 노란 수염을 가져서 황수아 라고 불렸습니다. 정말 무예 뛰어납니다. 조비가 황제가 되자 처음에는 열받아서 군사를 이끌고 쳐들어가지만 가규라는 똑똑한 신하의 설득을 받아서 그냥 조비를 축하하고 먼 변방으로 나갔습니다.

 

조충 - 조조의 아들인데요 어릴적부터 매우 총명해서 코끼리의 무게를 잰 일이 유명합니다. 조조는 정말정말 사랑했는데요 안타깝게도 어른이 되기도 전에 요절하고 맙니다.

 

조홍 - 조조의 사촌동생으로 조씨 가문의 천리마라고 불릴 정도로 날렵하고 충성스럽습니다. 여기저기서 많은 공을 세워 조조에게 많은 도움을 줍니다.

 

조휴 - 조조의 조카인데요 역시 많은 공을 세웁니다만 나중에 오나라 주방에게 패한뒤 안타깝게 병사합니다.

 

조환(曹奐) 자는 경명(景明)이다. 불명 출신으로 위나라의 마지막 5대 황제이며, 연왕인 조우(曹宇)의 아들이다. 조모 황제가 시해 된 후, 황제에 올랐으나 사마씨에 실권을 빼앗기고 265년 사마염에게 왕위를 내 줌으로써 위왕조가 무너졌다. 이후 진류왕에 봉해졌습니다.

 

조환(曹奐)

위 원황제 조환(魏 元皇帝 曹奐, 246년 ~ 303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의 최후이자 제5대 황제이다. 자는 경명(景明)으로 초명은 조황(曹璜)이었으나, 이름에 쓰인 ‘황’이라는 글자를 많은 사람들이 쓴다 하여 이름을 ‘환’으로 바꿨하였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조조(曹操)의 아홉째 아들 연왕(燕王) 조우(曹宇)로, 조예(曹叡)의 고명대신으로 지목되었으나 물러선 사람입니다.

 

그 조환(曹奐) 생애를 본다면,

 

258년 상도향공에 봉해졌는데, 263년 조모(曹髦)가 시해되자 사마소(司馬昭)에 의해 제위에 오르고 이름을 조환으로 개명합니다. 그해에 사마소가 등애(鄧艾)와 종회(鍾會)에게 촉한(蜀漢) 정벌을 명했고, 그해에 촉한을 멸망시켰습니다.

 

이듬해인 264년, 사마소가 서천 정벌의 공으로 진왕(晉王)에 올라 제위 찬탈을 위한 준비를 마치고 265년 사망했습니다. 이후 사마소의 장자 사마염(司馬炎)이 진왕의 지위를 이어받은 뒤 조환을 협박해 황문시랑 장절을 죽이고 제위를 찬탈하여 진 왕조를 세우고 조환을 진류왕(陳留王)으로 강등시켰습니다.

 

진 왕조하에서의 조환의 삶은 별로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사마염(진세조 무황제)은 조환에게 황족의 품위를 유지할 수 있게 했으며, 조환의 조상에 대한 황실 제사도 허가했다. 또한 조환이 스스로를 진 황제의 신하로 생각하지 않도록 했습니다.

 

조환(曹奐)은 서진 혜제가 집권했던 303년에 향년 57세 일기로 사망했고 황제의 시호를 받았습니다.

 

이외에도

조모 조방 조환(曹奐) 같은 다음 황제들이 있습니다만 그 후예는 .....

 

 

1.성씨(成氏)

 

주 문왕제칠자 성숙무지후 자손 인이국위씨후위초소멸

(周 文王第七子 郕叔武之後 子孫 因以國爲氏後爲楚所滅)

자손거읍 위성씨. 창녕성씨 시조 인보 호장 중윤

(子孫去邑 爲成氏. 昌寧成氏 始祖 仁輔 戶長 中尹)

 

2.조씨(曹氏)

 

주 문왕제십이자 진탁 봉어 조(국) 기후세잉이국위씨

(周 文王第十二子 振鐸 封於 曹(國) 其後世仍以國爲氏)

 

창녕조씨 시조 계용 협하유조자고잉성 조씨급장

(昌寧曹氏 始祖 繼龍 脅下有曹字故仍姓 曹氏及長)

 

위진평왕여서 봉창녕부원군

(爲眞平王女婿 封昌寧府院君)

 

1) 성씨: 옛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일곱째 아들 성숙무의 자손(子孫)이 성(郕)나라로써 성씨(姓氏)를 삼었는데, 뒤에 초(楚)나라로 바뀌면서 나라가 망하게 되자, 자손이 고을 읍(邑)자 즉(卽), 우부방변을 버리고 이룰 성(成)자로 하였습니다. 창녕(昌寧) 성씨(姓氏) 시조(始祖)는 인보(仁輔)이며, 호장(戶長)과 중윤(中尹)에 이르렀습니다.

 

2) 조씨(曹氏) :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열둘 째 아들 진탁(振鐸)에게 조(曹)나라로 봉(封)하였는데, 그 뒤에 후손(後孫)이 조(曹)나라의 이름으로 써 성씨(姓氏)를 삼았다. 창녕조씨(昌寧曹氏) 시조(始祖)는 조계룡(曹繼龍)으로, 신라(新羅) 진평왕(眞平王) 때, 측근(側近)에 성씨(姓氏)로 조(曹)자를 가진 사람이 있었는데, 조씨(曹氏)가 장(長)에 이르니, 진평왕(眞平王)의 사위(서壻)로 써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에 봉(封)하게 되어 창녕(昌寧)을 본관(本貫)으로 하였습니다. 참고 : 창녕(昌寧)조씨(曹氏)의 조(曹)자는 마을 조(曹)자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는 것으로 曺(성조)자는 원(原) 뜻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을 드리고......

 

창녕(昌寧) 조씨(曹氏)와 창녕(昌寧) 성씨(成氏)의 관계(關係)는, 조(曹)씨는 고대(古代) 중국(中國)의 주문왕(周文王)의 제 十二子 진탁(振鐸)을 曹(마을 조) 나라 제후로 봉(封)하였는데, 그 후(後) 나라 이름을 성씨(姓氏)로 세(世)를 잇게 되였다. 참고(參考)로 조(曺)는 약자(略字)로 쓰이며, 정자(正字)는 마을 조(曹)자로 쓰는 것이 옳다고 한다. 진평왕(眞平王)의 사위(서壻)가 조(曹)씨로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에 봉(封)하게 되어, 본관(本貫) 창녕조씨(昌寧曹氏)를 이룬다. 성(成)씨는 주문왕(周文王)의 제칠지(七子)로 성숙무(成에 우부방인읍(邑)자로,(나라이름 성 : ) 숙무(叔武)의 후손(後孫)이 후(後)에 성씨(成氏)로 했는데 그후(後) 초(楚)에 와서 멸(滅)하자 자손(子孫)이 성의 우부방변을 떼어내고 이룰 성(成)자로 성씨(姓氏)로 하여, 창녕(昌寧) 성씨(成氏) 시조(始祖)는 인보(仁輔)이며, 창녕(昌寧) 조씨(曹氏)의 시조(始祖)는 계용(繼龍)으로 호형호제(呼兄呼弟)하여 친(親) 형제(兄弟)로, 성씨(成氏)는 제 칠자(七子)의 손(孫)으로 형(兄)으로 호칭(呼稱)하게 된 것입니다.

 

 

☞ 그들의 후세들은 이렇게 본관을 이루어 아름답게 살고 있습니다.

창녕조씨가 위주로 해서,

 

조씨(曺氏)의 본관(本貫)을 살펴보면,

 

창녕 조씨(昌寧 曺氏)

남평 조씨(南平 曺氏)

옥주 조씨(玉州 曺氏)

가흥 조씨(嘉興 曺氏)

능성 조씨(綾城 曺氏)

장흥 조씨(長興 曺氏)

안동 조씨(安東 曺氏)

청도 조씨(淸道 曺氏)

수성 조씨(壽城 曺氏)

창평 조씨(昌平 曺氏)

영암 조씨(靈岩 曺氏)

인산 조씨(仁山 曺氏)

옥천 조씨(沃川 曺氏)

용담 조씨(龍潭 曺氏)

탐진 조씨(耽津 曺氏)

  

시조 조계룡(曺繼龍)은 신라진평왕의 사위이시고. 그의 어머니는 한림학사 이광옥의 딸 예향(禮香)으로 조계룡의 출생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옵니다.

예향은 창녕현 고암촌(鼓岩村) 태생으로 그녀가 자라서 혼기에 이르렀을 때 우연히 복중에 병이 생겨 화왕산용지에 가서 목욕재계하고 기도를 올리니 신기하게 병이 완쾌되었고 몸에는 태기가 있었습니다. 어느날 밤 꿈에 한 남자가 나타나 "이 아이의 아버지는 용의 아들 옥결이지요. 잘 기르면 자라서 경상이 될 것이며 자손만대 번영이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하고 사라졌다지요. 그후 달이 차서 진평왕 48년에 아들이 태어나니 용모가 준수하고 겨드랑이 밑에 조자가 붉게 씌여져 있었습니다. 이것을 본 학사는 이상히 여겨 이 사실을 왕에게 알리자 왕도 신기하게 여기며 성은 조, 이름은 계룡 자는 인경(鱗卿)이라 특별히 하사하였다고 합니다.

뒤에 부마를 삼음으로써 창성부원군에 봉해 지고 벼슬이 보국대장군 상주국대도독 총지휘제군사(輔國大將軍 上柱國大都督 總指揮諸軍事) 금자광록대부 태자태사(金紫光祿大夫 太子太師)에 이르렀습니다.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본관을 창녕으로 하고있습니다.

 

=====================================================================

 

다음은 조씨(趙氏)에 대(對)하여

 

 조(趙)씨의 본관을 살펴보면,
 
본관을 클릭하면 각 성씨의 유래, 인구수를 볼 수 있습니다.
 
가림 강서 강진 경주 광주 금화 김제 김해 나주 남양
남원 남해 단양 대전 대천 도강 동래 문화 밀양 배천
분양 상주 선산 성주 순창 순천 양성 양주 양천 양평
연백 연일 영산 영춘 옥천 운남 이천 임천 전주 주암
주천 직산 진보 진위 진주 진해 창원 청주 충주 태원
파릉 파평 평산 평양 평택 풍산 풍양 풍연 하동 한산
한양 함안 함양 함열 함평 해주 횡성 흥양    
※ 총 68개의 본관에 인구는 984,913명이 있습니다.(2000년 인구조사 기준)


인구수가 많은 한 본관을 하나 골라 소개하겠습니다.

 

한양조씨(漢陽趙氏)의 시조 조지수(趙之壽)는 덕원부(德原府) 용진현(龍津縣)에서 세거한 사족의 후손으로 고려 때에 명종(明宗), 신종(神宗), 희종(熙宗), 강종(康宗) 4왕조에 걸쳐 벼슬을 하였으며, 조순대부(朝順大夫) 첨의중서사(僉議中書事)에 이르렀다고 합니다.그 후 후손들이 조선이 개국하자 한성(漢城, 지금 서울)으로 옮겨 가세를 크게 번창시켰고, 훌륭한 인물들이 많이 배출되어 가문을 빛냈습니다.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삼고 한양(漢陽)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고 합니다.

 

파명(派名)을 살펴보면, 안정공파(安靖公派), 도총제공파(都摠制公派), 지평공파(持平公派), 판관공파(判官公派), 월계당파(月溪堂派), 백당공파(栢堂公派), 세마공파(洗馬公派), 봉사공파(奉事公派), 첨추공파(僉樞公派), 한풍군파(漢豊君派), 도제공파(都制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고사공파(庫使公派), 총제공파(摠制公派), 돈녕공파(敦寧公派), 공안공파(恭安公派), 병참공파(兵參公派), 현령공파(縣令公派), 현감공파(縣監公派), 사정공파(司正公派), 파서공파(坡西公派), 봉례공파(奉禮公派), 사직공파(司直公派), 정랑공파(正郞公派), 호의공파(戶議公派), 현감공파(縣監公派), 참의공파(參議公派),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로 나뉘어졌습니다.

위의 파조를 보시면 전부가 훌륭합니다.

 

한양조씨(漢陽趙氏) 가문의 번영

 

고려시대에 시조 조지수의 외아들로 고려 고종 45년(1258) 원(몽고)의 쌍성총관부 초대쌍성총관을 지낸 조휘(趙暉), 조휘의 아들로 13세의 나이로 제2대 총관이 되고 부원수를 지낸 조양기(趙良琪), 공부상서와 예의판서를 역임하고 삼중대광 용성군에 이른 조돈(趙暾), 판의덕부사를 지낸 조인벽(趙仁璧) 등의 인물이 있었고,조선시대에 이조판서를 지낸 조인옥(趙仁沃), 개국공신 한천부원군 양절공 조온(趙溫)과 한평부원군 양경공 조연(趙涓)등 많은 관직자를 배출하면서 가문의 기틀을 세웠습니다.


중종 때에 조광조는 일찌기 김굉필에게 수학하고 성리학 연구에 힘써 김종직의 학통을 이은 사림파의 영유가 되었습니다. 1515년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 여러 관직을 거치면서 여씨향약을 실시케 하고 소격서를 폐지하는 등 급진적인 개혁을 단행하였으나 훈구파의 반발로 사약을 받고 죽었다.조병옥은 1909년 평양숭실학교를 졸업하고 콜럼비아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수여받았습니다. 


그는 1929년 광주학생운동사건의 배후인물로 지목되어 왜경에게 체포되어 3년간 복역하였고,1937년 수양동지회사건으로 다시 2연간 복역했습니다. 1945년 해방이 되자 한국민주당을 창당하고 이승만 대통령의 정치노선을 비판하며 반독재 투쟁의 선봉에 나섰으며 1960년 민주당 후보로 대통령에 입후보 했으나 병사하고 말았다. 그에게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단장이 수여되었습니다.청록파 시인 중의 한 사람인 조지훈도 빼놓을 수 없는 인물입니다.

 

이하 생략하겠습니다.

 

끝으로 임진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우리 고유의 설명절 잘 쉬시고,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조씨는 모모 있나요

조씨가 모모있나요 저희 아버지한테듣기론 재가... 그리고 하만조씨의 조상은 유명한사람 누구누구잇는지... 지낸 정(趙 鼎)이다. 정(鼎)은 당(唐)나라 출신으로 신라말...

전주 이씨 이름만으로 찾을 수 있나요

... 누구의 몇대손인지 알 수 있을까요?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전주 이씨 이름만으로 찾을 수 있나요... 完昌大君 성중 ○현 태○ ○모 성○ ○균 전○ ○영 병...

경주 이씨 질문

... 몇대손인지 조상은 누구인지 알 수 있나요? 님의... 이성중(李誠中) 후손(後孫)에서 좌의정 1명이 나와 이들... 17世 (?) 사인공파 (舍人公派) 21世 지수(之秀) 월성군공파...

진주강씨 수평공파

진주강씨에 수평공파라는 파가 있나요? 있다며 조상은 누구인가요? 그리고 은사공파도... 연산 (朝)에서 55년간 벼슬하고 연산 8년(1502) 9월19일에 별세하니 향년 79세.벼슬은...

김씨성의 역사

김씨성의 역사에 대한 자세한 자료가 있나요? 본관... 258성중 제1위였으며, 85년도 조사에서는 208만 852가구로 전국... 그러나 누구보다 강릉김씨(江陵金氏)를 빛낸 사람은...

무당사주인지 봐주실수있나요?

... 직계조상은 아니다 부계 종조상은 나와 성씨가 같은 성씨 이지만 모계 종조상은... 영혼으로는 누구에게라도 6대조부, 5대조모, 고조부, 증조모 외에는 없다 위의 영혼이...

혜명스님 제 사주도 봐주실 수 있나요?

... 직계조상은 아니지만 집안의 어른 영혼들이다 2,지지의 네 글자는 자신이나 부계... 후손중 누군가가 태어날때 따라붙게 됩니다 만약 할아버지가 젊은 시절에 연애를 하여...

무당팔자라는데요..그런게따로있나요

... 직계 조상은 아니지만 집안의 어른 영혼들이다 2,지지의 네 글자는 자신이나 부계... 후손중 누군가가 태어날때 따라붙게 됩니다 만약 할아버지가 젊은 시절에 연애를 하여...

귀문관살 원진살 상충살 화개살이있나요?

... 직계조상은 아니지만 집안의 어른 영혼들이다 2,지지의 네 글자는 자신이나 부계... 후손중 누군가가 태어날때 따라붙게 됩니다 만약 할아버지가 젊은 시절에 연애를 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