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자리에 대해서 여쭤보려구요.

묘자리에 대해서 여쭤보려구요.

작성일 2012.01.1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묘자리에 대해서 여쭤보려구요.

저희 아버지 땅에 제일 위쪽(서쪽)부터 증조부.조모 그 다음 아래줄엔 조부.조모 묘소가 있습니다.

얼마전 큰 아버지(아버지 형님)가 갑자기 돌아가셔서 아버지 땅에 묘를 쓰기로 했습니다.

형제간 묘지 배열은 좌우로 서열별로 쓴다고 들었는데 아버지가 지관이랑 상담까지 하고 제일 왼쪽에

자리까지 잡아주었는데, 아버지가 잠시 자리를 비운사이 오해가 생겨 제일 오른쪽으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나중에 아버지가 아시고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그럼 당신 자리는 없다고 너무 많이 속상해 하십니다.

형제간 묘지배열이 정해져 있는가요?

저희 아버지는 당신 땅에 형님 묘가 제일 왼쪽으로 자리잡아서 순서대로 동생들 묘지를 쓰려고 했는데

형님 묘가 오른쪽으로 위치해 있어서 당신은 묘 쓸 곳이 없다고 너무 속상해 하십니다.

형제간 묘지에도 배열이 정해져 있는지요?

부모님이 많이 속상해하셔서 여쭤봅니다.

부모님 맘이 너무 잘 헤아려지기에 자식인 제가 여쭤봅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위쪽과 왼쪽(死者 以西爲上 방식. 사람이 봤을 때 왼쪽)이 상석입니다. 그래서 항렬이 위인 사람이나 항렬이 같으면 형인 사람이 해당됩니다. 그러나 그런 방식은 조선중기 이후부터 확고해진 것으로써 그 무렵 대 학자,벼슬아치 가문도 그 방식을 따르지 않은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런 방식을 따르지 않은 묘소들이 많이 있다는 말입니다.(ㅇㅇ최씽ㅇ파 집안, 율곡 이이, 사계 김장생, 세조 아들 의경세자(추존 덕종)와 소혜왕후 묘소 등등. 윤보선 전 대통령의 경우도 집안?)

 사소한 예입니다만 저희 아버지께서도 동네에서 준풍수로 인정 받고, 꾀나 따지는 분이신데도 당신의 당숙 당숙모 산소를 공간이 협소하다하여 死者 以西爲上과는 반대 위치로 쓰셨습니다. 질문자님의 아버님께서 너무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답변 드리겠습니다 산위로 쳐다보면 왼쪽 위에서 산아레로 쳐다 보면 오른쪽 부터 위분부터 묘를 씀니다

형재도 마찬 가지 임니다 쌍봉을 할때에는 먼저 돌아 가신분 보다 30~50샌티 내려서 쌍봉을 함니다

도움이 되었서면 함니다

묘자리에 대해서 여쭤보려구요.

묘자리에 대해서 여쭤보려구요. 저희 아버지 땅에 제일 위쪽(서쪽)부터 증조부.조모 그 다음 아래줄엔 조부.조모 묘소가 있습니다. 얼마전 큰 아버지(아버지 형님)가 갑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