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이씨 족보를 찾습니다~급해요!!ㅠㅠ(내공20)

전주이씨 족보를 찾습니다~급해요!!ㅠㅠ(내공20)

작성일 2010.11.3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 남자친구가 저랑 똑같은 전주 이씨에요...ㅠㅠ

전 전주이씨 양영대군파 인데 남자친구는 모른데요;;ㅎㅎ

할아버지는 춘짜 돌림이시고  아버지는 승짜 돌림이시고 남자친구는 한짜 돌림입니다..

같은 양영대군이면 안될텐데...

답변 부탁드립다...

 

P.s 남자친구가 전주이씨 무슨 파인지 알고 싶어요 꼭 갈켜 주세요...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정도의 정보로는 두 분의 촌수 등 관계를 전혀 감 잡을 수 없습니다.

 

일단, 8촌여부가 중요한데요,,

고조할아버지가 같은 분이면 8촌입니다.

증조할아버지끼리 형제이면 8촌이고

할아버지끼리 4촌이면 8촌입니다.

그러므로 우선 급한대로 양쪽 집안의 고조,증조,조부님들의 함자(돌아가신 조상의 이름)를 알아내셔서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같은 파이더라도 8촌이 될 가능성은 별로 없습니다. 8촌은 생각보다 가까운 친척이거든요. 즉, 알고 지낼 가능성이 많은 것이지요,, 설사 모르고 지냈더라도 두 집안의 내력들을 대화해 보면 알 수 있게 됩니다.

 

양녕대군파 등 전주이씨에 대해서는 http://www.rfo.co.kr/를 참고(질문)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2005년도에 법이 바뀌어서 지금은 동성동본도 얼마든지 결혼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같은 성씨에, 같은 본, 같은 문파, 같은 돌림자이더라도 8촌이 넘으면 결혼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동성동본 결혼이 가능하도록 법을 바꾸면서 '근친혼 금지' 제도를 도입하여 결혼의 제한 범위를 "8촌이내의 친척, 6촌이내의 인척" 등으로 바꾸므로써 행복추구권 및 평등권을 반영하였습니다.

 (동성동본 결혼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논리는 윤리적문제, 우생학적문제입니다.)

 

즉, 법이 바뀌었으므로 같은 성씨에, 같은 본에, 파까지 같아도 아주 가까운 사이인 8촌이내가 아니면 얼마든지 결혼할 수 있습니다.

 

동성동본이든 아니든 간에, 구청에 혼인신고서(결혼신고서) 낼 때 부모님이나 다른 사람이 증인(도장) 서는 것은 있습니다.

 

- 참고 :

--- 개정후 ---

민법 제809조 (근친혼 등의 금지)

① 8촌 이내의 혈족(친양자의 입양 전의 혈족을 포함한다) 사이에서는 혼인하지 못한다.

② 6촌 이내의 혈족의 배우자, 배우자의 6촌 이내의 혈족, 배우자의 4촌 이내의 혈족의

    배우자인 인척이거나 이러한 인척이었던 자 사이에서는 혼인하지 못한다.

③ 6촌 이내의 양부모계(養父母系)의 혈족이었던 자와 4촌 이내의 양부모계의 인척이었던

    자 사이에서는 혼인하지 못한다. [전문개정 2005.3.31]

 

--- 개정전 ---

민법 제809조 [동성혼(同姓婚) 등의 금지]

① 동성동본(同姓同本)인 혈족 사이에서는 혼인하지 못한다.

② 남계혈족(男系血族)의 배우자, 부(夫)의 혈족 및 기타 8촌 이내의 인척이거나 이러한

    인척이었던 자 사이에서는 혼인하지 못한다.

 

참고(1)

- 족보,뿌리,파 ,댓수 찾기:

일단, "ㅇㅇㅇ씨"로 검색하여 자기 성씨의 대종회,종친회,홈피,카페,블로그 등을 최대한

여러개 찾아서 참고(질의)하시는 방법이 있구요.


조상님들이 어느 지역에 사셨었는지 알아보신 후,   
그 지방에 어느 파가 살았었는지,   
먼 친척이라도 살고 있는지,

혹시 조상님을 아는 사람이 있는지 등
그 지방을 방문하여 선조를 추적해 보는 방법이 있구요.


돌아가신 조상님들의 제적등본(최대한 윗대 조상까지)과
살아계신 분들의 호적등본 등의 자료(한문 이름 등)를 가지고

(조상님들의 항렬자(돌림자)를 아시면 더 좋구요.)
그 성씨의 대종회, 종친회 등을 방문하여 알아보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참고(2)

성씨 내의 분파는 널리 알려진 대규모의 파들이 있고, 그 파들의 아래에(=그 파들에 속한) 일반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소규모의 분파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성씨에 A,B,C,D.. 라는 파가 있다면 A파 안에도 ㄱ,ㄴ,ㄷ,ㄹ.. 이라는 파가 있고 ㄱ파 안에도 1,2,3,4.. 라는 파가 있습니다. (ㅇㅇ학교>ㅇ학년>ㅇ반>ㅇ번식으로). B,C,D..파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소규모의 분파들은 조상의 호나 주거지역명 등으로 'ㅇㅇㅇ파'라고 명명하여 사용하는데, 그 위의 대규모의 파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은 아니며, 대규모 파의 범위가 너무 넓으므로 편의상 (시제, 문중 재산관리, 종친회 등) 세분하는 것입니다. 성씨 관련싸이트나 서적 등에서 자신의 분파를 찾을 수 없다면 자신의 분파가 속한, 일반에 알려져 있는 윗단계의 파를 아셔야 찾을 수 있습니다.

 

참고(3)

한 가문의 여러 사람들이 같은 항렬자를 써서 이름을 짓다보면 같은 이름이나 비슷한 이름이 생기기 때문에 그것을 피하거나 좋은 이름으로 짓기 위해서 문중에서 정한 기본순서는 지키면서 항렬표에 없는 다른 글자(=그 부수 한자가 들어간 다른 글자)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항렬자는 문중에 따라 金-水-木-火-土순서, 甲-乙-丙-丁...순서, 子-丑-寅-卯...순서,一-二-三-四...순서, 天-地-玄-黃...순서 등의 순서가 있음)

아래의 "참고(4) 이름의 항렬자(돌림자) 정하는 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4)

- 이름의 항렬자(돌림자) 정하는 법:
1).五行相生法(오행상생법) :

    오행의 근본인 金-水-木-火-土(순서)가 들어간 글자를 이름의 앞,뒤 글자에 번갈아 넣는 경우인데

    이 방법을이 가장 많이 쓰인다.
2).十干(십간)순서 :

    A). 甲, 乙, 丙, 壬, 癸(갑, 을, 병, 임, 계)가 들어간 글자나 비슷하게 생긴 글자를 순차적으로 쓴다.

    B).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천간(天干)이 들어간 글자나 비슷하게 생긴 글자를 를 순차적으로 쓴다.

         (주로 쓰이는 글자: 甲,乙,丙,寧,茂,範,任,揆 등)
3).十二支(십이지)순서 :

    A). 子, 丑, 寅, 戌, 亥(자, 축, 인, 술, 해)가 들어간 글자나 비슷하게 생긴 글자를 순차적으로 쓴다.

    B).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의 지지(地支)가 들어간 글자나 비슷하게 생긴 글자를 순차적으로

          쓴다.
4).숫자를 포함시키는 경우 :

    일(一: 丙·尤. 一. 懿 등),  이(二: 宗·重. 元. 恒 등),  삼(三: 泰. 全. 玉 등),  사(四: 寧. 澤. 德 등), 오(五..)..가

    들어간  글자나 비슷하게 생긴 글자를 순차적으로 쓴다.(안동권씨 등) 
5).천자문 글자순... (天-地-玄-黃....)가 들어간 글자나 비슷하게 생긴 글자를 순차적으로 쓴다.
6).드문 경우이지만 韓山李氏는 3단위로, 木-土-水 세 글자가 들어간 글자를 순차적으로 쓴다. 
7).기타 :

    A). 오행과 십간을 병용한 방법

    B). 오행과 숫자를 병용한 방법

    C). 십간과 십이지를 병용한 방법 등이 있습니다.

 

- 전주이씨 유래:

전주이씨(全州李氏)의 시조 이한(李翰)은 선원선계(璿源先系)에 의하면 전주(全州)에 토착해온 명문 태생으로 신라 태종무열왕의 10세손 군윤(軍尹) 김은의(金殷義)의 딸과 결혼하였고, 문성왕(文聖王) 때 사공(司空)을 지냈다고 한다.
이한의 선대에 대해서는 물론 언제부터 전주에 세거했는 지도 알 수 없다 한다. 그러나 이한 이후에는 전주에 세거하여 전주를 본관으로 삼게 된 것 같다.
후손 중에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李成桂)의 6대조 이린(李隣)과 그의 형 이의방(李義方) 등은 고려 중앙정부에 진출, 관직에 있기도 하였다. 그 뒤 이성계의 직계 선조는 동북면(東北面)으로 이주하여 여진족이 사는 지역으로 임시 옮겨가 살기도 했고, 뒤에 이성계가 조선 태조로 즉위하면서 전주이씨는 조선의 왕실이 되었다.
이후 자손이 크게 번성·현달하여 파계도 여러 갈래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성씨를 이를 때 제왕(帝王)은 “불감조기조(不敢祖其祖)”라는, 즉 조상으로 칭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러 왕자, 대군(大君)이나 군(君)을 파조로 분파한 것이다. 전주이씨의 분파는 이안사(李安社) 선계에서 갈라진 파와 그 이후 갈라진 파를 합해 모두 123파이다.

 

- 시조 이한(李翰)은 덕망이 높고 문장이 탁월하여 신라 문성왕때 사공(司空) 벼슬을 지냈으며 그후 대대로 신라시대에 벼슬을 해왔다.
18세손되는 이안사(李安社)는 대대로 전주에 살아온 호족이었는데 새로 부임한 지주의 탐학을 규탄하자 지주가 군사를 휘둘러 보복하려하여 그를 피해 강원도 삼척으로 피했다가 다시 함경도를 거처 원나라 간동으로가 그곳에서 다루가치 벼슬을 지냈고 증손자 되는 이자춘(李子春)이 고려시대에 공을 세워 사복경(司僕卿)에 이르렀다.
이자춘의 아들, 즉 시조의 22세손 이성계(李成桂)에 이르러 어지러운 국정을 바로잡고 배극렴(裵克廉)등 52명의 추대로 왕위에 오르게 됨으로 조선왕조를 창건, 전주이씨의 종시조가 되었다.

 

- 분파:

시중공파(侍中公派)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주부공파(主簿公派)
안천대군파(安川大君派)
안원대군파(安原大君派)
안풍대군파(安豊大君派)
안창대군파(安昌大君派)
안흥대군파(安興大君派)
함녕대군파(咸寧大君派)
함창대군파(咸昌大君派)
함원대군파(咸原大君派)
함천대군파(咸川大君派)
함릉대군파(咸陵大君派)
함양대군파(咸陽大君派)
함성대군파(咸城大君派)
완창대군파(完昌大君派)
완원대군파(完原大君派)
완천대군파(完川大君派)
완성대군파(完城大君派)
영성대군파(永城大君派)
완풍대군파(完豊大君派)
의안대군파(義安大君派)
진안대군파(鎭安大君派)
익안대군파(益安大君派)
회안대군파(懷安大君派)
의안대군파(義安大君派)
의평군파(義平君派)
순평군파(順平君派)
선성군파(宣城君派)
종의군파(從義君派)
진남군파(鎭南君派)
수도군파(守道君派)
임언군파(林堰君派)
석보군파(石保君派)
덕천군파(德泉君派)
임성군파(任城君派)
도평군파(桃平君派)
장천군파(長川君派)
정석군파(貞石君派)
무림군파(茂林君派)
양녕대군파(讓寧大君派)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
성녕대군파(誠寧大君派)
경녕군파(敬寧君派)
함녕군파
온녕군파(溫寧君派)
근녕군파(謹寧君派)
혜녕군파(惠寧君派)
희녕군파(熙寧君派)
후녕군파(厚寧君派)
익녕군파(益寧君派)
임영대군파(臨瀛大君派)
광평대군파(廣平大君派)
금성대군파(錦城大君派)
영응대군파(永膺大君派)
화의군파(和義君派)
계양군파(桂陽君派)
의창군파(義昌君派)
한남군파(漢南君派)
밀성군파(密城君派)
수춘군파(壽春君派)
익현군파(翼峴君派)
영풍군파(永豊君派)
영해군파(寧海君派)
담양군파(潭陽君派)
덕원군파(德源君派)
창원군파(昌原君派)
월산대군파(月山大君派)
인성대군파(仁城大君派)
제안대군파(齊安大君派)
계성군파(桂城君派)
안양군파(安陽君派)
완원군파(完原君派)
회산군파(檜山君派)
봉안군파(鳳安君派)
견성군파(甄城君派)
익양군파(益陽君派)
이성군파(利城君派)
경명군파(景明君派)
전성군파(全城君派)
무산군파(茂山君派)
영산군파(寧山君派)
운천군파(雲川君派)
양원군파(楊原君派)
복성군파(福城君派)
해안군파(海安君派)
금원군파(錦原君派)
영양군파(永陽君派)
덕양군파(德陽君派)
봉성군파(鳳城君派)
덕흥대원군파(德興大院君派)
영창대군파(永昌大君派)
임해군파(臨海君派)
신성군파(信城君派)
순화군파(順和君派)
인성군파(仁城君派)
경창군파(慶昌君派)
경평군파(慶平君派)
인흥군파(仁興君派)
영성군파(寧城君派)
능원대군파(綾原大君派)
소현세자파(昭顯世子派)
인평대군파(麟坪大君派)
용성대군파(龍城大君派)
숭선군파(崇善君派)
낙선군파(樂善君派)
은언군파(恩彦君派)
은신군파(恩信君派)
은전군파(恩全君派)

 

- 많이 사는 곳:

경기도 연천군 중면 도연리
충청남도 부여군 초천면 추양리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완곡리
경상북도 문경군 가은읍 왕릉리
평안북도 정주군 신안면 연봉리
평안북도 정주군 고덕면 관해리
함경남도 북청군 평산면 용전리, 거산면, 단천군 북두일면
함북 길주군 덕산면, 장백면, 웅평면, 양사면, 길주군 동해면 석성동

제주도 북제주군 한림읍

 

- 인구:

2000년 인구조사에서 전주이씨는 808,511가구 총 2,609,890명이 있는 것으로 되었다.

 

- 인물:

조선시대에 4331명의 과거 급제자가 있다.
(문과 785명, 무과 374명, 사마시 2719명, 역과 120명, 의과 70명, 음양과 77명, 율과 17명, 주학 169명)

이부(李溥, 1444 甲子生) : 문과(文科) 세조14년(1468)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목(李穆, 1471 辛卯生) : 문과(文科) 연산군1년(1495)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건(李楗, 1505 乙丑生) : 문과(文科) 중종37년(1542)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정빈(李廷賓, 1539 己亥生) : 문과(文科) 명종18년(1563)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호의(李好義, 1560 庚申生) : 문과(文科) 선조30년(1597)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은로(李殷老, 1554 甲寅生) : 문과(文科) 선조38년(1605)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식립(李植立, 1567 丁卯生) : 문과(文科) 선조38년(1605)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민구(李敏求, 1589 己丑生) : 문과(文科) 광해군4년(1612)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경석(李景奭, 1589 己丑生) : 문과(文科) 인조4년(1626)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만(李曼, 1605 乙巳生) : 문과(文科) 인조6년(1628) 별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

전주이씨는 조선 500년을 이끌어온 왕가이므로 가문의 번성기를 따로 기술할 필요가 없다.
전주이씨의 1백여 파중 으뜸가는 명가는 밀성군(密城君. 침=세종의 아들)파로써 6명의 정승과 3대 대제학(大提學)을 배출했으며,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정종의 아들)파가 부자 대제학등 3명의 대제학과 영의정(領議政) 1명을 내어 밀성군파에 버금간다.
덕천군파 다음으로는 3명의 정승을 배출한 광평대군파(廣平大君派), 정승 2명을 배출한 선성군파(宣城君派), 정승 1명과 숱한 문신과 무신을 배출한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 등이 빼어나다.

전주이씨는 오리정승(梧里政丞)으로 많은 일화를 남긴 인조때 영의정 이원익(李元翼), 흥선대원군(興宣大元君) 이하응,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李承晩), 철기(鐵驥) 이범석(李範奭)장군등 역사의 한획을 그었던 거목들을 배출하였다. 1585년(선조 18년) 이수광은 별시문과(別詩文科)에 급제, 1627년에 이조판서가 되었다.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여러차례 사신으로 명나라에 왕래, 당시 명나라에 와있던 이탈리아 신부에게서 "천주실의(天主實義)" "중우론(重友論)"을 얻어와 1614년(광해군 6년) "지봉유설(芝峰類說)"을 간행하여 우리나라 최초로 천주교와 서양 문물을 소개함으로써 실학발전의 선구자가 되었고 시문에도 능했으며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도조
목조
이긍익
이기붕
이범세
이순신
이재선
이정환
이하전
익조
태조
환조


족보를 찾습니다~급해요!!ㅠㅠ(내공20)

제 남자친구가 저랑 똑같은 전주 이씨에요...ㅠㅠ전주이씨 양영대군파 인데... 참고(1) - 족보,뿌리,파 ,댓수 찾기: 일단, "ㅇㅇㅇ씨"로 검색하여 자기 성씨의 대종회,종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