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신라의 탑

삼국시대 신라의 탑

작성일 2011.05.0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급합니다ㅜ

삼국시대 신라의 탑 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통일신라시대 말구요

부탁드려요ㅜ

내공 많아요ㅎ


#삼국시대 신라의 왕 #삼국시대 신라의 수도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금 남아 있는 신라의 탑들은 대부분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탑이며, 삼국시대 신라의 탑은 별로 남아 있는 것들이 없습니다.

 

(삼국시대 신라의 탑)

 

1.분황사 모전석탑

 

종 목 국보 제30호  

지 정 일 1962.12.20

소 재 지 경북 경주시 구황동 313 분황사

시 대 신라

 

 현재 남아있는 신라 석탑 가운데 가장 오래된 걸작품으로,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올린 모전석탑이다. 원래 9층이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지금은 3층만 남아있다.

 

탑은 넓직한 1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착실히 쌓아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벽돌이 아닌 자연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네 모퉁이마다 화강암으로 조각된 사자상이 한 마리씩 앉아있다. 회흑색 안산암을 작게 벽돌모양으로 잘라 쌓아올린 탑신은 거대한 1층 몸돌에 비해 2층부터는 현저하게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1층 몸돌에는 네 면마다 문을 만들고, 그 양쪽에 불교의 법을 수호하는 인왕상을 힘찬 모습으로 조각해 놓았다. 지붕돌은 아래윗면 모두 계단 모양의 층을 이루고 있는데, 3층 지붕돌만은 윗면이 네 모서리에서 위쪽으로 둥글게 솟은 모양이며, 그 위로 화강암으로 만든 활짝 핀 연꽃장식이 놓여 있다.

 

선덕여왕 3년(634) 분황사의 창건과 함께 건립된 것으로 추측되며,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백제미륵사지석탑(국보 제11호)과도 좋은 대조를 이룬다. 특히, 부드러우면서도 힘차게 표현된 인왕상 조각은 당시 7세기 신라 조각양식을 살피는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1915년 일본인에 의해 수리된 이후 지금까지 그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수리 당시 탑 안에서 사리함과 구슬 등의 많은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2.동축사 삼층석탑


종 목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호 
지 정 일 2000.11.09
소 재 지 울산 동구  동부동 565 
시 대 신라


동축사는 『삼국유사』의 황룡사 장륙조에 의하면, 인도의 아육왕이 인연 있는 국가에서 장륙존불이 이루어지기를 기원하여 황철 5만 7천근과 황금 3만분을 배에 실어 띄울 때 함께 보냈다는 1불과 2보살의 상을 모시기 위하여 신라 진흥왕 34년(573)에 처음 건립하였다고 전해지는 절이다. 그 후 경순왕 8년(934), 고려 정종 때, 조선 세조 3년(1457), 1931년, 1975년,2005년에 고쳐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동축사 삼층석탑은 신라의 전통양식인 중층기단 삼층석탑이다. 화강암으로 된 이 탑의 기단은 면석이 모두 없어져 원래의 정확한 높이를 알 수 없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모두 한개의 돌로 되어 있으며, 몸돌에는 네 모퉁이에 기둥을 본 떠 새겼는데, 지붕돌의 받침은 1·2층은 5단이나 3층은 3단으로 되어 있다. 상륜부는 노반과 보개만 얹혀 있는데, 돌의 재질이 탑신부와 다른 사암계통이어서 이 석탑이 여러 차례에 걸쳐 고쳐졌음을 알 수 있다. 2005년 현 위치로 옮겨 기단부의 일부 부재를 첨가하여 복원 하였다. 

 

 

 

삼국시대 신라의 탑

... (삼국시대 신라의 탑) 1.분황사 모전석탑 종 목 국보 제30호 지 정 일 1962.12.20 소 재 지 경북 경주시 구황동 313 분황사 시 대 신라 현재 남아있는 신라 석탑 가운데 가장...

삼국시대

삼국시대 4개만 알려주세요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익산 미륵사지 석탑, 경주... 삼국시대를 통일신라시대까지 확장하면 경주 불국사 석가탑, 다보탑, 경주 감은사지...

삼국시대의(고구려신라백제 )...

삼국시대 *고구려신라백제 종류와 그나라의 특징을가르쳐주세요; 비교해주시면 감사 ㅎ 그리고 가능하다면. 삼국시대의 문화재비교해주세요(고분불상 탑등 )*5가지만....

삼국시대의 (고구려, 백제, 신라) 문화제

... 두 중 서쪽에 있는 탑이다. 탑의 원래 이름은 '석가여래상주설법탑(석가... 거기에 삼국시대, 신라, 고구려, 백제 다~ 있어요 거기서 입맛대로 알아보시면 될 겁니다....

삼국시대

... ㅎ 삼국시대 백제후기 정림사지5층석탑 (부여) 정 림 사 터에 남아있는 석탑으로... 쌍 , 옜 신라에 1탑 중심에서 삼국통일 쌍탑 가람으로 가는 최초에 배치를 보이고 있다...

(통일신라시대,삼국시대 등등...

... 통일신라시대,삼국시대,신라시대 등의 각 시대별 문화재의 대해서... 중요한 정림사지 5층석탑 국보 제 9호 시대 : 백제시대 소재지 : 충남 부여읍 동남리 379 부여...

삼국시대&통일신라 방학숙제로 자료수집...

... > 경주로 수학여행을 가신다니 경주에 있는 삼국시대(신라) 및 통일신라시대의... 또한 속에 두었을 사리와 사리장치, 그 밖의 유물들이 이 과정에서 모두 사라져버려 그...

삼국시대때에신라유물

삼국시대때에신라유물많이알려주세요 (삼국시대 때의 신라 유물) 1.금관총 금제... 1915년 일본인에 의해 수리된 이후 지금까지 그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수리 당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