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산과 빙하의 차이는?

빙산과 빙하의 차이는?

작성일 2003.01.12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빙산과 빙하의 차이는 무엇인가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빙산은 물에 나니는 얼음 덩어리이고

빙하는 육지에 있는 것입니다.

밑에 참고자료..^^;



빙산 氷山, iceberg

육빙(陸氷)으로부터 분리되어 해면을 표류하는 빙괴.

붕빙(棚氷) 등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탁상빙산(卓狀氷山)과 곡빙하나 빙설(氷舌) 말단으로부터 떨어진 첨두빙산(尖頭氷山) 또는 빙하빙산이 있다. 또 좁은 뜻으로는 빙괴가 해면상 5m 이상인 경우에 한하며, 그 이하인 것은 빙산편(片), 더욱 소형인 것은 빙암(氷岩)이라 한다.

북극해 주변에서 빙하가 있는 것은 젬랴프란차이오시파(프란츠조세플란드)·스피츠베르겐섬·그린란드·배핀섬·엘즈미어섬 등인데, 이른 봄철에 그린란드 동쪽을 남하해 오는 것은 불규칙한 모양을 이루나 대체로 산처럼 솟아오른 것이 많으며, 약간 녹색을 띤다. 또 엘즈미어섬에서 유출된 것은 빙도(氷島)라 불리는데, 이는 두께가 100m나 되는 평탄한 얼음으로 항공기의 발착도 가능하고 북극의 기상관측 등 미·소 양국의 기지로서 이용된다.

보통의 해빙(海氷)보다 굳기가 크며, 해면 아래에는 해면 위의 질량의 6∼7배나 되는 빙괴가 잠겨 있기 때문에 이것이 선박에 충돌하면 매우 위험하다. 1912년 영국의 호화여객선 타이타닉호(號)의 사고는 사상 최대의 해난으로 유명하다.

현재는 레이더·항공기·기상위성 등에 의한 관측으로 빙산에 의한 사고는 거의 없다. 빙산은 북반구의 경우 빙도를 제외하면 산괴상으로 솟아 있는 데 반하여, 남극대륙 주변의 빙산은 머리부분이 편평하고 거대한 테이블 모양을 이루며, 빛깔은 백색이 많다. 일반적으로 남빙양의 빙산은 북빙양의 빙산보다 크며, 주위가 100km, 해면상의 높이 50∼90m, 빙산의 두께가 800m에 이르는 것이 있다. 수명도 길어서, 북빙양의 것은 약 2년이면 녹는 데 반하여 남빙양의 것은 10년 이상 녹지 않는 것도 있다. 빙산은 해면 밑부분이 크기 때문에 해수에 의한 침식은 해면 밑일수록 왕성해서 위도 40∼50°부근까지 남하(남반구의 경우는 북상)하면 그 모양은 급속히 변화한다.

빙산은 해양상에 부유하고 있지만 순수(純水)에 가까운 물로 되어 있으며,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은 4ppm 이하이다. 또 7∼30%의 공기를 포함하고 있다. 빙산·해빙은 해마다 그 양이 변화하며, 그것이 녹아 표층의 한류(寒流)·중간층류(中間層流)·저층류(底層流)가 되어 저위도로 흐르며, 기후를 변화시켜 수산업에 영향을 준다.



빙하 氷河, glacier

만년설(萬年雪)이 응결해서 다시 결정화되어 육지상에 생성된 빙체(氷體).

겨울의 강설량이 여름의 융설량(融雪量)보다도 많은 지역에서 생성되며, 인류의 생활장소로부터 멀리 떨어진 고산(高山) ·극지(極地)와 같은 곳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하천 ·호수 등의 수문현상(水文現象)보다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빙하는 강력한 침투력으로 지표를 깎아 육지의 지형 변화에 큰 영향을 준다.

빙하가 차지하는 면적은 현재 약 1억 5000만km2로 전 육지의 약 10%에 해당한다. 그 중 98%는 남극대륙과 그린란드에 존재하고 그 밖에는 오스트레일리아를 제외한 각 대륙의 고산과 북극에 산재하는 섬에 분포한다. 현존하는 빙하를 수량(水量)으로 환산하면 약 1650만km3에 이르며, 해양을 포함한 지구상의 물의 1.1%에 해당하고, 육지의 물 중에서는 75%를 차지한다. 또, 현존하는 빙하가 전부 녹는다고 가정하면, 해면은 현재보다 60m 정도 상승할 것으로 계산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해하기 쉽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빙하란 만년설이 응결되어서 육지에

생선된 빙체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서 몇천년동안 내린눈이

쌓여서 압력에 의해 빙하가 되는것이죠..

지구 면적의 10%나 차지하고요..

대부분이 남극대륙이랑 그린란드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빙산은 육지의 빙하로 부터

분리되어 나온 얼음덩어리가

해면을 표류하는것입니다..

얼음덩어리라지만 사실은 엄청나게 크지요..

이해하기 쉽도록 사진

붙여드릴께요..^^

위의것이 빙하이고

아래것이 빙산입니다..

이해가 되션는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빙하(glacier)는 육상에서 수백 수천 년 동안 쌓인 눈이 자체의 무게로 압력을 받아 단단한 얼음으로 바뀐 것입니다.

오랫동안 눈이 쌓여 자체의 무게만으로도 굉장히 거대하지요.
빙하는 중력에 따라 지형이 상대적으로 낮은 곳으로 이동하게 되지요.
빙하가 해안가에 도달하면 빙하의 끝 부분에서
얼음이 바다로 떨어져 나가는데 이것을 빙산(iceberg)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바다에 떠있는 얼음 조각이구..(조각이라 하기엔 큰가?)
빙하는 얼음강입니다. 1년에 몇cm 정도로 느리게 흐릅니다. 흐름은 중심부가 가장 빠르구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빙산[氷山] 빙하[氷河]죠~

빙산은 육빙(陸氷)으로부터 분리되어 해면을 표류하는 빙괴.

빙하는 만년설(萬年雪)이 응결해서 다시 결정화되어 육지상에 생성된 빙체(氷體).

라고 사전에 되있는데

빙산은 '얼음이 언 산'이고....빙하는 '얼음이 언 강'이런 뜻이겠죠...(?)

빙산과 빙하의 차이는?

빙산과 빙하의 차이는 무엇인가여? 빙산은 물에 나니는 얼음 덩어리이고 빙하는 육지에 있는 것입니다. 밑에 참고자료..^^; 빙산 氷山, iceberg 육빙(陸氷)으로부터 분리되어...

빙하하고 빙산하고 뭔차이죠?

... ㅎㅎ 아 빙산과 빙하의 차이를 말씀하시는 거죠?? 네가 아주 쉽게 말씀 드릴게요... 빙산이랑 수면위에 떠 다니는 얼음 덩어리를 말하고 빙하는 수면아래에 있는 것을...

빙산 빙하 차이

빙산이랑 빙하의 차이점좀요!! 땅위에 있으면 빙하 바다위에 있으면 빙산 즉, 있는 장소의 차이임.

빙하가 녹는것과 빙하가 녹아서 빙산이...

... 그런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온실효과에 인한 해수면 상승은 빙산으로 갈 빙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남극이나 그린란드에 있는 얼음이 녹는 것을 말합니다. 그 얼음들은...

타고 내려온것은 빙하일까요?? 빙산일까요??

... 것은 빙산편(片), 더욱 소형인 것은 빙암(氷岩)이라 한다. 북극해 주변에서 빙하가 있는 것은 젬랴프란차이오시파(프란츠조세플란드)·스피츠베르겐섬·그린란드·배핀섬...

빙하빙산의 특징

제가 빙하빙산의 특징을 알아야하는데 아무리찾아봐도 없네여ㅠㅠ여러분제가빙하와비안의차이는알겠는데특징을몰라서그래염 모양 크기 무늬 있는곳 등등...

빙산도 담수인가요?

... 빙하빙산차이도 알려 주세요 빙산빙하로부터 떨어져나와 바다를 표류하는 것이므로, 빙산빙하와 같은 담수입니다. 연안 빙하로부터 분리되어 바다를 떠돌고...

빙산이많은곳

빙산과빙하가많은곳남극북극빼고요 남극과 북극을뺀다면 알래스카밖에 생각이... 비교, 빙하가 있었던곳이 없어져 확연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비록 북극 남극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