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21살 10월 출산 예비맘 입니

저는 21살 10월 출산 예비맘 입니

작성일 2021.05.26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는 21살 10월 출산 예비맘 입니다 만약 아이를 혼자 키우려고 하면 미혼모의 혜택은 어떤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부양가족은 엄마 아빠 언니 다 있고 (자가) 인데 따로 살려고 합니다 대출도 알아 보려 하는데 미혼모도 전세자금대출이 되는지 얼마까지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


#저는 21살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출산율이 현저히 낮아진 요즘

국가에서 산모의 산후조리를 도와주기 위해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을 통해 산후조리에

사용되는 비용을 일부 지원해줌으로써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

신청기간은 출산예정일 40일 이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신청이 가능해요.

신청 시 방문 신청일 경우 산모의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서 신청이 가능해요.

온라인 신청의 경우 복지로 사이트(https://bookjiro.go.kr) 신청할.

< 구비서류 >

1. 산모 및 배우자 신분증, 건강보험증 사본

2. 출산 또는 출산예정일 증빙자료, 등본상 가족 분리 시 가족 관계 증명서

3. 휴직 확인 서류

4. 결혼 이민 산모의 외국인등록증

5. 가족 관계 등록부의 혼인관계 증명서,, 대리인 신청 시 위임장

지원 대상은 2021년 기준 중위소득120% 이하로 확대되었고

희귀 난치성 질환, 장애인, 새터민, 결혼이민, 미혼모 산모,

쌍생아, 셋째아 이상 출산 가정일 경우 기준 중위소득 140% 이하

지원이 가능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글쓴이 님과같은 부/모님들을 위한 정부/민간 지원이 몇 가지 있습니다.

도움이 될 수 있을 만한 정보들을 정리해 두었으니, 읽어보시고 결정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내용이 많아 최대한 간결하게 정보를 담았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거나, 이외에 어떤 도움이든지 필요하시다면,

▷ 품(puum)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세요 :)

우리 '품'으로 와요

아이를 키우는데 필요한 수많은 정보와 지원을 담아낸 모바일 서비스

puum.me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 010-7366-5007 또는

사단법인 비투비 010-4059-6925로 전화주세요!

(‘품’ 카카오톡 채널 http://pf.kakao.com/_uxjeUK/chat)

1. 먼저 산부인과를 다녀오셨나요?

- 임신, 출산 지원 정책을 받기 위해선 ‘임신확인서’가 필요합니다.​

산부인과에서 임신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2. 아이와 함께 살 수 있는 주거 지원

1) 신혼부부전세임대 유형 1

- 임신사실이 확인이 되면 ‘신혼부부전세임대’ 정책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임신부 + 아이가 한가족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신혼부부전세임대 지원 대상에 해당합니다.)

신청 후 선정이 되면, 본인이 원하는 주택을 찾습니다.

그리고 그 주택의 집주인과 글쓴이님이 직접 계약하는 것이 아니라, LH주택공사와 집주인이 계약을 맺습니다.

이후에, LH주택공사에서 선정된 본인에게 저렴하게 다시 전세를 내주는 방법입니다.

- 입주하게 되면 총 보증금의 5%(최대 675만원)를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데, 이 금액에 대한 지원이 별도로 필요한 경우, 관련 민간단체에서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010-7366-5007), , 전주 예람센터(063-253-1007), 사단법인링커(031-423-5533), 적십자(1577-8179)에서 보증금 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 주거 관련해서는 공공 임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신청 후 선정되기까지 시간이 소요되어 당장 주거가 필요한 글쓴이님의 입장에선 어려운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시설 입소가 아닌 임시 주거와 관련해선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010-7366-5007) 또는 사단법인 비투비 010-4059-6925 에서 안내해드릴 수 있으니 필요하실 경우 연락부탁드립니다. 글쓴이님 상황에 맞춰 이용가능한 제도를 안내드려야 하기때문에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경제 지원

- 대표적으로, 기초생활보장 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초생활보장수급과 아래에 언급된 정책들 중 대부분은 소득수준에 따라 지원이 달라집니다.

4. 국민행복카드 발급

“국민행복카드”라는 정부지원금 카드를 발급받아 아래의 정책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에 지원금이 입금되면, 해당하는 판매처에서 카드로 계산하여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에 포함되는 바우처는 바우처 이름 옆에 따로 표시해두었습니다.

​-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사업"을 통해 기저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관할 보건소 또는 지역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하거나,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바우처 신청하셔서 국민행복카드에 등록하시면, 국민행복카드로 기저귀 가격을 결제할 수 있습니다.

5. 임신, 출산 지원 관련해서는

1) “임신, 출산 진료비 바우처”가 있으며(60만원의 지원금이 나옵니다.) 청소년 부모의 경우 120만원이 추가로 지원됩니다. 이외의 출산비에 대해선 관련 민간단체에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010-7366-5007), 러브더월드(010-5482-2575), 여성인권동감(032-221-0081)에서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

2) 보건소에서 임신에서 출산까지 영양검사 및 영양식품, 출산 전 검사, 출산 후 검사, 임산부에게 필요한 영양제를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3) 각 지역별로 '미혼모부자 거점기관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한 가구당 70만원 정도의 의료비, 출산비, 입원비를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지원대상이 "만 3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는 미혼모부자가구 (시설입소자 제외) " 이니, 거주지 인근 거점기관에 연락하시면 됩니다.

- 해 각 지역별 거점기관의 연락처를 남겨드립니다.

[각 지역별 거점기관 주소 및 연락처]​

- 서울시한부모가족지원센터: 서울 구로구 가마산로 272 (02-861-3020)

- 나너우리한가족센터: 서울 마포구 백범로1길 4 (02-704-4750)

- 인천서구건강가정지원센터: 인천 서구 서달로 12 (032-569-1546)

- 안산시건강가정지원센터: 경기 안산시 상록구 충장로 432 (031-501-0033)

- 대전시건강가정지원센터: 대전 유성구 테크노 6로 40-17 (042-932-9993)

- 부산 미혼모・부자지원센터: 부산 서구 감천로 229 (051-253-5235)

- 대구서구건강가정지원센터: 대구 서구 옥산로 28 (053-355-8042)

- 광주동구건강가정지원센터: 광주 동구 남문로 693번길 14 (062-234-6053)

- 울산 물푸레 복지재단: 울산 중구 성안10길 16 (052-903-9200)

- 강원 원주시건강가정지원센터: 강원 원주시 예술관길 31(070-4398-4419)

- 청주새생명지원센터: 충북 청주시 상당구 주성로 135-35 (070-7725-6905)

- 천안시건강가정지원센터: 충남 천안시 서북구 동서대로 129-12 (070-7733-8318)

- 전주시건강가정지원센터: 전북 전주시 완산구 서신로 61 (063-231-0386)

- 여수시건강가정지원센터: 전남 여수시 좌수영로 369-1 (061-659-4171)

- 칠곡군건강가정지원센터: 경북 칠곡군 북삼읍 인평1길 54 (070-4333-5976)

- 경남한부모가족지원센터: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호계본동2길 15-1 (070-4334-5335)

- 제주시건강가정지원센터: 제주 제주시 관덕로8길 14 (064-724-9006)

4) 미혼모이시라면 "입양숙려기간 모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출산 예정일 전 40일 또는 출산 후 7일 이내의 미혼/이혼 한부모(지원기간 동안 입양동의 사실이 없어야 함)가 대상이며,

다음 서비스 중 하나를 택하여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1) 가정 내 보호지원

산후지원인력 가정방문서비스 지원(1주일): 50만원

지인의 도움을 받기 원할 경우: 35만원, 아동생필품비 포함

(2) 미혼모자가족복지시설 내 입소자 지원

미혼모자가족시설 입소 시 ,산후지원인력 인건비 지원(1주일): 40만원

(3) 산후조리원 보조지원

1주일 산후조리원 이용료 지원 최대 70만원

(아동생필품비 및 생모 식료품비 포함)

1주 이용료가 70만원 미만인 산후조리원의 경우, 실비 지원

현재 살고 계신 지역(센터가 있는 지역)의 주민센터에 방문하셔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bokjiro.go.kr/welInfo/retrieveGvmtWelInfo.do?welInfSno=46

6. 아동 양육 지원 관련

​1)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 만 24세 이하 청소년일 때: 매월 35만원(기초생활수급자일 경우 25만원)과 학습지원비를 받으실 수 있고요,

- 본인이 만 25세 이상~34세 이하이면서 아동이 만 5세 이하일때: 30만원(기초생활수급일 경우 20만원)을 받을 수 있고,

- 본인이 만 34세 이하이면서 아동이 만6~18세일 때, 25만원(기초생활수급일 경우 15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만 35세 이상이면서 아동이 만 5세 이하일때는 25만원(기초생활수급일 경우 15만원),

- 그 외의 연령대에는 20만원(기초생활수급일 경우 10만원)이 지원됩니다.

2) 육아용품지원

지역 드림스타트(https://www.dreamstart.go.kr/contents/sub04_01_01.asp에서 거주하고 계신 지역의 드림스타트 연락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010-7366-5007), 러브더월드(010-5482-2575), 적십자(1577-8179), 여성인권동감(032-221-0081) 에서 출산/양육물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3) 아동수당으로 매월 10만원을 아이가 만 7세가 될 때까지 받을 수 있으며, 지자체별 출산축하금, 자녀장려금(소득수준에 따라 자녀 한명당 최대 70만원) 등의 현금지원도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news.joins.com/Digitalspecial/312 <- 사이트에서 본인 지역에 해당하는 지원금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4) 아이의 돌봄에 대해서도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학교를 다니거나 일을 하는 동안 아이를 돌봐줄 사람이 필요한 경우 ‘아이돌봄서비스’를 정부지원금을 받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

5) 지역에 따라 가사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곳도 있으니, 아래 사이트에서 거주하고 계신 지역의 지원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mogef.go.kr/cs/opf/cs_opf_f004.do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거나, 이외에 어떤 도움이든지 필요하시다면, 언제든지 아래 연락처로 연락주세요!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 010-7366-5007 또는 사단법인 비투비 010-4059-6925로 전화주세요!

(‘품’ 카카오톡 채널 http://pf.kakao.com/_uxjeUK/chat)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미혼모자공동생활가정인 대구클로버입니다.

자녀를 임신하신 후 그동안 얼마나 마음이 복잡하고 힘드시겠어요.

임신하신 상태에서 들어갈 수 있는 미혼모시설과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을 결심했을 때 입소할 수 있는 미혼모자시설이 있습니다.

저희 "대구클로버"는 자녀를 출산하여 양육을 결심하였을 때 도움을 드리는 기관으로

5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는 미혼모의 안전한 양육과 건강한 자립에 도움을 주는 목적으로 설립된 미혼모공동생활가정입니다.

기본생활지원인 숙식보호서비스 및 주부식비지원 뿐만 아니라 자격증 또는 학교 등 자립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문의사항은 대구클로버 053-654-0181로 연락주세요^^

저는 21살 10월출산예정 예비맘입니

저는 21살 10월출산예정 예비맘입니다 미혼모 혜택과 전세자금 대출이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얼마정도 되는지 궁금해서 여쭈어 봅니다! 부양가족은 엄마 아빠 언니 다계시고...

곧있으면 출산하는 초보 예비맘입니다.

... 이제21살이라 뭐가 뭔지 전혀 모르겠네요. 병원에서... 저도 10월 출산을 앞두고 있는 예비 맘입니다. 갑자기... 저는 아직 출산 용품 뭐필요한지는 안알아봐서 이부분은...

미혼모 혜택

저는 21살 예비맘입니다 제가 10월출산을 합니다 미혼모 혜택뭐가 있을까요 처음이라 뭐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 미혼모 시설 쪽은 들어가지 않으려고 합니다 들어가지...

여러분이 저라면 어떤 선택을...

임신 15주인 예비맘입니다.. 저는 21살이되고 신랑은... 이번년10월에 군대를 갔어요.. 임신한걸 군대 가고 알았어요.... 그전까진 생활비도 그렇고 출산에 들어가는 금전 절대...

21살 임신후 행복한가정 만들기

저는 21살예비맘이된 한여성입니다. 남자친구는... 임산부들은 출산후에 어떤일들을하나요?... 제가뚜렷한... 지금 21살, 작년 10월에 애기낳았어요. 애기를 낳는다 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