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성장애진단

자폐성장애진단

작성일 2016.08.10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자폐성장애판정을 받을려고 인터넷에 찾아보니까 일단 동사무소 가서 장애인등록진단서 발급받고

2,3차(종합병원)에 가라는데 자폐성장애판정을 받을려면 종합병원의 무슨 과를 가면 되나요??

종헙병원에서 진료하는 ~~과 있잖아요......

ex)안과,소아과,이비인후과,치과 처럼 말해주세요

 

장애인등록방법

1.주민 센터(동사무소)복지 계에 가서 장애인 등록을 할 여 고 한다면 장애인등록용 진단서발급의뢰서를 줄 것이다.

2.그 서류를 가지고 자기가 치료 하던 병원이 2~3차병원으로 종합병원 이면 그곳에서 진단서를 발급받아 다시주민 센 터에 제출하면 국민연금공단에 위탁 심사하여 장애등급이 나오면 복지카드(장애인증명카드)를 제작 후 장애인에게 전 달한다.

3.장애인등록은 발병이나 수술한지 6개월이 지나야 가능하며 장애등급은 전문가인 의사도 짐작만 할뿐 확실한 급수는 모른다.

4.동네병원인 1차병의원의 진단서는 국가에서 인정을 안 한다

5,기간은 약2~30일 걸린다.

6.준비물 : 장애인등록용 진단서, 증명사진2, 신분증

이런글을 봤는데요

3번은 의사가 장애인등록용 진단서에 자폐성장애라고 해줘도  장애인등급 못받을수도 있다는건가요?

그리고 제가 지금 20대인데 20대는 자폐성장애 진단을 못받나요??

자폐성진단이라는게 어린이들 대상인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문의하신 자폐성장애의 경우는 장애진단은 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소아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할 수 있으며, 장애판정 시기는 전반성발달장애(자폐증)가 확실해진 시점(최소 만 2세이상)에서 장애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애등급 심사규정에 따라 장애진단서상의 장애정도와 진료기록지, 검사결과에서의 자폐 증상 및 기능상태 등을 검토하여 장애등급에 해당하는지 심사하여 결정되므로, 주치의의 장애진단서상의 진단 만으로 장애등록을 할 수 있는것은 아니며, 장애심사 전문기관인 국민연금공단에서 신청하신 해당 장애의 전문의 2인 이상이 참여하는 자문회의를 통하여 제출하신 장애진단서, 진료기록지, 검사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장애등급이 결정됩니다.


자폐성장애의 질환적 특성에 따라 대부분이 유아기·아동기에 지속적으로 진료 받은 병원에서 자폐 진단 및 자폐 증상 기록이 확인되나, 성인이라고해서 자폐성장애 등록 신청을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며,


다만, 자폐성장애의 장애등급 심사 시 유아·아동기에 자폐 증상으로 인한 치료기록 및 경과기록이 요구될 수 있으므로 진료 받은 해당 주치의와 상의 후 장애등록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질문자님의 질문과 다소 벗어난 답변이라면 죄송합니다. 질문자님의 질문은 아동심리상담
센터에서 진행되는 부분과도 연관되기에 이에 대한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동심리상담센터 대상영역

-감정코칭이 필요한 아이

-영유아발달검사가 필요한 아이

-사회성결여 문제가 있는 아이

-너무 소심한 아이

-너무 소극적인 아이

-경계선지능 검사가 필요한 아이

-정서검사가 필요한 아이

-자폐장애(자폐아증상)가 의심되는 아이

-유아문제행동을 보이는 아이

-학습부진아동

-자폐아증상을 보이는 아이

-영유아심리 검사가 필요한 아이

-소아정신상담이 필요한 아이

-발달장애진단이 필요한 아이

-사회성결여가 의심되는 아이

-아동불안장애가 있는 아이

-행동장애가 있는 아동

-자신감향상이 필요한 아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의심 아동

- ADHD 검사가 필요한 아동

- ADHD 증상 등 도움이 필요한 아동

-틱장애가 있는 아동

-분리불안장애가 있는 아이

-정서장애가 의심되는 아동

-돈 훔치는 아이

-욕심이 많은 아이

-엄마와 떨어지지 못하는 아이

-친구와 사귀지 못하는 아이

-형제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

-의욕이 없는 아이

-우울하거나 불안한 아이

-신경질과 짜증이 많은 아이

-부모자녀 관계에 어려움이 많은 아이

-거짓말, 도벽, 반항 등의 행동문제를 보이는 아이

-주의 집중이 안 되고 산만한 아이

-공격적인 아이

-충동조절이 안 되는 아이

-야뇨증이나 유분증이 등의 신체증상이 있는 아이

-학습에 의욕이 없거나 학습장애가 있는 아이

-말이 늦는 아이, 말을 더듬는 아이

-발달이 지연된 아이

 

위에서 열거된 아동문제들은 놀이심리상담(놀이치료), 미술심리상담(미술치료) 등을 통해서 심리적인
적응을 살피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
계신 지역별로 검색하시면 어렵지 않게 신뢰할 수 있는 센터를 확인
하실 수가 있습니다
.

 

○ ADHD, 틱장애, 학습장애 등이 아동심리상담센터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아동문제입니다.
이러한 아동문제들은 놀이심리상담(놀이치료), 미술심리상담(미술치료) 등의 심리상담 기법을 통해서
근원적인 문제파악 및 아동문제를 개선시킬 수가 있습니다
.

 

그 외에도 다양한 문제 사례에 아동심리상담을 통해서 해결하실 수 있는 분야가 많습니다.
놀이심리상담(놀이치료), 미술심리상담(미술치료)을 적용하여 아동심리상담센터에서 해결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아동문제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 ADHD

○ ADHD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뜻합니다. 주의력이 부족하여 산만하고 과다활동,충동성을 보이는
상태가 지속되는 증상을 보이는데 주로 아동기에 많이 나타나지만
, 소아 청소년기에 바로 잡지 않으면
성인기가 되어서도 증상이 남게 되므로 소홀히 대응해서는 절대로 안되는 대표적인 아동문제입니다
.

 

○ ADHD증상 : 자극에 선택적으로 주의 집중하기 어렵고, 지적을 해도 잘 고쳐지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산만해서 한 곳에 오래 집중하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규율을 이해하고 알고 있는 경우에도 급하게
행동하려는 욕구를 자제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

 

○ ADHD진단 : ADHD아동의 판단은 부주의 및 과잉행동, 충동성 3가지 큰 특징이 6개월 이상 지속되면
ADHD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ADHD극복 : ADHD가 의심되면 조기에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전문
가에 의한 종합심리검사를 시행하여 ADHD
아동에 대한 평가를 확인하셔야 하며, ADHD 아동(청소년)뿐만
아니라 가족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아동심리상담센터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ADHD
아동이
불안장애, 학습장애, 틱장애, 행동장애 등으로 심화되는 것을 차단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틱장애

틱은 자신도 모르게 특정 근육들이 순간적으로 움직이고, 경직이 되면서 어떤 동작을 하거나 기침 혹은
킁킁 거리는 소리 등을 내는 것을 말합니다
. 틱장애는 운동 틱(근육 틱)과 음성 틱 있는데, 이 두 가지의
틱 증상이 모두 나타나면서
1년 이상 지속된 상태를 뚜렛증후군 이라고 합니다.

 

틱장애 원인 : 틱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기질적 소인보다는 심리적, 환경적 요인이 더 강조되고 있습
니다
. 틱증상은 스트레스에 민감하므로 정서적으로 불안할 때 증상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틱증상에 대해 벌을 주거나 아동을 야단을 치는 경우 오히려 악화될 수 있습니다
.

 

틱장애 극복 : 틱장애 어린이는 2차적 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조기에 적극적인 대응이 매우 중요
합니다
. 틱이 오래 되면 정서적 위축을 초래하고 동료로부터 고립돼 성격적 결함을 야기할 수 도 있기 때문
입니다
. 자녀가 틱장애가 있을 경우에는 시기를 놓치지 마시고 조기에 아동심리상담센터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해 주시는 것이 부모역할로서 가장 중요하다 하겠습니다
.

 

분리불안장애

분리불안장애는 애착 대상으로부터 분리될 때 혹은 분리될 것으로 예상될 때 느끼는 불안의 정도가
일상생활을 위협할 정도로 심하고 지속적인 경우를 말합니다
.

 

부모님들께서 소홀히 넘길 수 있는 아이의 분리불안에 대해서 적극적인 대응을 소홀히 할 경우에는
아동의 정서적 심리적인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면밀한 인지적 인식을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리불안장애 극복 : 분리불안장애는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한 면담이나 놀이심리상담, 미술심리
상담,
가족상담이 필요합니다. 등교, 심부름 보내기, 잠자리 분리를 목표로 한 인지행동상담이 시행되어
야 합니다
. 가족 구성원 사이의 경계선을 분명히 할 수 있도록 부모면담을 함께 시행해야 합니다. 아이의
심리적인 변화 및 적응 과정에 대한 면밀한 관찰 및 지지를 통한 전문적인 아동심리상담이 되어야 합니다.

 

아동심리상담센터의 도움이 필요하십니까? 

위에서 열거한 아동문제 사례들은 극히 일부분의 대표적인 아동문제에 불과합니다. 사랑하는 자녀의 마음
을 스켄하고 극복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부모역할이 될 수 있습니다
. 부모님 눈에 비추
어진 아동문제를 그냥 지나치지 마시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셔서 자녀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배려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은 네임카드 참고하시면,온라인무료상담 및 온라인검사를 해보실 수 있도록
안내 받으실 수 있습니다
.


PC에서는 아래쪽 네임카드를 참고하시고,
모바일에서는 답변 위쪽 아이디 옆에 있는 표시를 클릭
하시면 관련 홈페이지로 바로 가실 수 있습니다
.

도움이 되는 정보였다면 답변확정이나 추천 부탁드립니다.

*"만약 인간의 능력 중에서 다른 어떤 것보다 더 경이롭다고 할 만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기억이라고 생각해요." 기억의 능력, 한계, 기복에는 인간의 그 어떠한 지적인 능력보다도 더욱 불가해한 뭔가가 깃들어 있어요." 기억이란 때로는 그처럼 한없고, 유용하고, 우리 마음대로 움직이는 것 같다가도, 또 때로는 한없이 나약하고 혼란스럽기만 하고, 또 어떤 때는 우리가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제멋대로 굴기도 하죠." 물론 모든 면에서 우리 인간의 존재는 기적이라 할 수 있지만, 특히 기억하고 망각하는 우리의 능력은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경지를 벗어난 것 같아요." "If any one faculty of our nature may be called more wonderful than the rest, I do think it is memory." There seems something more speakingly incomprehensible in the powers, the failures, the inequalities of memory, than in any other of our intelligences." The memory is sometimes so retentive, so serviceable, so obedient; at others, so bewildered and so weak; and at others again, so tyrannic, so beyond control! We are, to be sure, a miracle every way; but our powers of recollecting and of forgetting do seem peculiarly past finding out

 

자폐성 장애 진단 기준 질문드려요~

자폐성 장애 진단 기준 자폐성 장애가 발생하고 나서 자폐성 장애로 되는지 아니면 2년 경과후 인지 질문드려요! 그리고 심부전하고 요도증 구분할수 있는 방법 마지막으로...

자폐성장애진단

... 그리고 제가 지금 20대인데 20대는 자폐성장애 진단을 못받나요?? 자폐성진단이라는게 어린이들 대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질문자님의 질문과 다소 벗어난...

자폐성장애로인해 망상증이 생길 수...

제가 자폐성장애진단을 유아기때 받고 중학생때 장애인등록을 했는데 20대 초반때 사이버범죄에 꽂혀서 컴퓨터에 해킹프로그램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할 것 같아서 노트북...

자폐성 장애(심한장애) 자녀의...

... 자폐성장애 같은 경우 장애정도판정기준에서 심한 장애만 해당하는 장애유형이지만 장애인연금 수급을 위한 중증장애인 판정 기준을 살펴보면 'ICD-10의 진단기준에 의한...

자폐성 장애

... 따라서 기준 자체는 지능지수 71이상은 3급에 해당하지만, 자폐성장애 등급의 종합적인 진단자폐성장애의 상태와 GAS 평가를 종합하여 최종 장애등급 진단을 내리게...

자폐성장애 경증(심하지않은장애)

... 자폐성 장애판정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장 애 정 도 장 애 상 태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1. ICD-10의 진단기준에 의한 전반성발달장애(자폐증)로 정상발달의...

자폐성장애도 심각한 거나요?

... 자폐성 장애(ASD)는 다양한 증상을 가진 스펙트럼 장애로, 그 중 일부는 지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ASD로 진단받은 사람들은 대개 정상인과 비교하여 사회적 상호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