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두교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힌두교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작성일 2009.10.07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힌두교 책과 인터넷 정보들을 아무리 찾아보아도 혼자서는 힘드네요

도와주세요^^

 

 1. 힌두교 궁극적 실재에 대한 태도

 2. 힌두교의 현황과 전망


#힌두교에 대해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힌두교에 대해>

 

힌두교의 힌두라는 말은 산스크리트어로 Sindhu(大河라는뜻)인데 페르시아어로 인도라고 하고 흔히 인더스 문명이라는 말이 사용 된다.

주전 약2000-1500경에 아리아인이 정착하면서 경전인 리그베다경을 편찬 했는데 그 후 다른 편집들과 신화,전설,민간신앙에 카스트제도 까지 도입해 사상이 혼란하며 인도인들은 문맹자가 많아서 베다를 읽는 사람도 적다.

힌두교나 불교나 자이나교등은 범신론이면서 여러 신을 갖고 있다.

힌두교는 로마 신화보다도 복잡한 신들을 갖고 있다.

330만의 신들을 갖고 있는데 다 알기도 어렵고 복잡하다.

동물도 소 뿐아니라 물고기,뱀등도 신들과 함께 등장하며 숭배의 대상 이다.

불교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코끼리,물고기,뱀등이 나오는데 자이나교와 함께 힌두교에서 유래된 때문이다.

로마신화 같이 반인간 반 동물인 신들도 많이 있다.

뱀도 1천개의 머리를가진 아난타 라는 것도 있고 비슈누신의 배꼽에서 연꽃이 피었다는 터무니 없는 이야기도 있다.

힌두교는 창조와 파괴신인 '시바'신을 최고 신으로  믿는데 음역하면 '마혜수라 마혜습벌라'라 하며 불교에서는 호법신으로 하늘 一尊(일존)에 지나지 않는다.
힌두교는 창시자가 없이 전해져 오고 있다.

힌두교는 서방종교들과는 전혀 다른 종교 입니다.
유대교나 그리스도교는 우상을 배제하고 유일신을 믿는 반면,힌두교는 불교,자이나교 등과 범신론으로 윤회를 믿는다.
이런 사상의 원조가 힌두교 로서 경전 베다경에 있는 우파니샤드에 기록되 있다.

 

우파니샤드는 베다 끝 부분으로 주전600-300년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가 편집 된 신비체험이 철학적 비유로 기록됐고,범신론적 사상으로 여러 잡다한 사상이 혼합 되 있음(yho5958).

 

이 우파니샤드의 윤회 사상은 동,식물과 신들 조차도 예외가 없음.

흔히 힌두교도들은 겐지스강에서 화장을 시키는데 화장시 불길에서 나와 여러 과정을 거처 태양,달,전광 등으로 들어가 신이되고(고행자만),선행자는 바람,비,구름이 되어 지상으로 내려와 생물의 태에 들어가 인간이나 동물로 환생한다는 사상.

 

이 사상은 다시 두가지로 나뉘어 선행자는 카스트제도의 인간으로 태어나나,추행자는 천민이나 동물로 태어나고,범죄자는 미생물(벌래)로 태어난다는 사상.

해탈의 수행 방법은 주로 고행으로 금욕주의임.

단식이나 불면 등이 이에 해당(벽면수행 등).

교도들이 모이는 곳은 분파에 따라 다른데 분파에 따라 최고 신(데바)도 다릅니다.
모이는 곳은 주로 사원인데 피지 사원,비슈와나트 사원,물간다쿠티 사원,로로 존그란 사원 등 이다.

성지는 '바라나시'로서 힌두교의 성지 뿐 아니라 불교,자이나교,이슬람의 성지이기도 하다.

 

주후 8세기에 이슬람교가 침투해 13세기 후는 다시 여러파가 생겼다.

 

여러 범신,민간토템 신관 중에 힌두교의 주신은 브라마,비슈누,시바를 들 수 있다.

 

<신관 >

 

브라마는 창조의 인격신으로 남성상이되 신도들에게 은혜는 베풀지 않는 다는 신관 때문에 숭배 신전과 분파는 극소수.

 

비뉴스는 태양의 편조작용이 신격화 된 것으로 악마를 멸망시킨다는 신관으로 차차 숭배 대상이 되어 인도의 2대 서사시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의 영웅 크리슈마와 라마가 신격화 되어 비슈누 신의 권세화 되는 등 제2의 최고 인격신이 됨.

 

여기에 신성이나 인성을 지닌 화신 외에 물고기.거북.멧돼지 형상도 있고,비슈누 신의 배우신으로 라크슈미나 슈리 연신 등이 있음.

힌두교의 상징은 소,코끼리,등이 있고,원숭이,뱀,거목,바위,강물,성력도 신성시 하며 성력(샤크티)신을 '시바'라 하고 시바의 부인은 우마와 광폭한 여신 '두루가'와 '칼리'.

 

비슈누는 거북의 모습으로 나타나 등에 만다라 산을 업고 있는 모습이 있는데, 

힌두교는 신들(데바)이 수없이 많고 악귀도 있다고 합니다.

신들도 로마신화 같은 신들 처럼 등급이나 능력의 차가 있다.

 

'브라만'(梵)신은 主신이며 창조신.

 

'비슈누'신의 세가지 모습은 물고기 모습의 '마트샤'.'붓다'.'칼키'.

비슈누의 부인들은 복,부,미의 여신 '라크슈미나','슈리' 등.

 

몸은 소에 머리는 사람의 상반신 모습의 악귀 '마히샤수라'.

그 악귀를 죽이는 '두루가'여신(팔이 12개).

 

100개의 머리를 가진 뱀 아난타에 기대어 누워있는 모습의 비슈누 신의 모습이 있음.

 

비슈누의 화신 '크리슈나'와 그의 아내 '라다'.

비슈누의 화신 중 또다른 '라마'.

그의 아내 '시타'.

형제 '라크슈마나'.

 

경전 베다를 들고 있는 모습의 '브라마','사라스바티',비슈누',라크슈미','시바','파르바티'.

 

코끼리신 '가네쉬'.

 

'가네샤'신상.

 

'두세라'영웅신.

 

서광의 신격화인 '우샤스'(새벽신).

 

태양신 '수리아'.

 

폭풍신 '인드라'.

 

불의 신 '아그니'.

 

酒神 '소마'(술자체가 신격화 된 것).

 

명부의 신 '야마'.

 

조령숭배의 '아슈라'.'야크샤','라크샤스' 등 등.

 

그리고 비슈누 신에 귀의 하는 파를 비슈누파라함.

 

파괴신 시바:

시바란 폭풍의 신 루드라를 형용하는 존칭.

시바의 배우신은 설산(눈산)의 처녀라는 우마와 광폭한 여신 '두르가'와 '칼리'가 있고 이와 관련 성적 에로스도 중시한 성기숭배가 생겼음.

이를 시바라하고 남성기 링가나 여성기 요니 등의 성적인 표상을 숭배하는데 원래는 불순한 목적이 아니였으나 결국 남여의 근친도 무시하고 輪坐(윤좌)하여 야간에 해탈한다면서 의례를 행하여 타락케 되었음.

이런 사상에서 몽고의 라마교가 생겼음.

흔히 인도의 신들을 말하는 사람들은 '사람보다 많은 신과, 집보다 많은 신전'이라는 말로 힌두교의 복잡성을 이야기 한다. 사실 일본의 신도와 더불어 힌두교만큼 신이 많은 종교는 드물 것이다.(누군가의 말에 의하면 인도가 해방되었을 당시 인도의 신이 4억 8천만이라니......) 이런 이유로 대부분의 이방인의 눈에 보기에 힌두교는 여러 원시적인 신앙이 뭉뜽그려진 신앙쯤으로 표현되기에 이르렀다. 힌두교에서 가장 중요한 신은, 창조의 신인 브라흐마와 유지와 재생의 신인 비슈뉴, 그리고 파괴의 신인 쉬바이다. 그외에 대중적인 신을 꼽자면 비슈뉴의 화신인 라마와 크리슈나, 라마와 함께 라마야나에 등장하는 하누만, 쉬바의 큰아들인 가네사, 지혜의 여신인 락쉬미, 그리고 캘커타에서 현재까지 벌어지는 희생제의 주인공인 깔리여신이 그들이다.

창조의 신인 브라흐마는 창조주라는 위치에도 불구하고 인도에서 그리 대중적인 신은 아니다. 브라흐마의 신전은 전 인도를 통털어 라자스탄주의 푸쉬카르라는 곳밖에 없다. 인도인들에게 어째서 브라흐마가 인기가 없는지를 물어보면 그들의 말은 이렇다. '이미 창조가 끝났기 때문에 창조신으로서의 역할이 현시대에는 끝났기 때문이다.' 브라흐마는 4개의 팔과 4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는 그 각각의 4개의 얼굴에서 4개의 베다를 만들어냈다고 한다. 그의 부인으로는 지식과 배움의 여신인 사라스와띠와 얼떨결에 두 번째 부인이 된 가야뜨리가 있다.

재생과 유지의 신인 비슈뉴 역시 4개의 팔을 가지고 있는데, 비슈뉴의 특징은 다샤바라타(화신)라고 불리우는, 쉽게 말해 구세주 신앙이다. 비슈뉴는 세상이 혼란 할 때 세상을 구제하기 위해 10가지의 다샤바라타의 모습으로 세상에 등장하게 되는데, 그때의 상황에 따라 물고기 형상의 맛스야, 거북이 모양의 꾸르마, 멧돼지 형상의 나라심하, 난쟁이 형상의 바마나, 도끼를 들고 있는 파라슈라마, 인도 현군의 대명사인 라마와 크리슈나, 그리고 불교의 창시자인 붓다가 9번째 화신이다. 10번째 화신인 깔끼 아타바르는 아직 세상에 등장하지 않았는데, 그가 등장할 때 세상을 종말이라고 한다. 아타바르의 이미지에 대한 재미있는 사실이 성서와의 유사성이다. 우리나라에서 종말론자들의 성서중의 성서라 할 수 있는 요한계시록이라는 책에서도 세상의 종말에 흰말을 탄  뙽봉隔?세상에 등장한다고 했는데, 이것은 힌두교의 깔끼 아타바르의 모습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 이러한 비슈뉴의 부인은 부의 여신으로 알려진 락시미이다.

파괴의 신이면서, 신상보다는 발기한 남성기의 모습으로 숭배되고 있는 쉬바는 가장 많은 관련 전설과 가장 많은 부인을 자랑한다. 첫 번째 부인은 서띠, 그리고 그녀의 환생인 파르바티가 있다. 첫 번째 부인이니만큼 파르바티 사이에 두명의 아들이 있는데 그중 장남이 인도의 거의 모든 상점에 걸려있는 가네사라는 코끼리 머리를 한 신이다. 이 가네사가 코끼리 머리를 한 데에는 재미있는 신화가 뒤따르는데, 히말라야에서 오랜기간 수행을 하던 쉬바는 간만에 집에 오게 되었단다. 먼길을 달음에 달려와 집에 다다랐는데, 이런일이~! 아내인 파르바티가 어떤  뙽?남자 곁에서 같이 있는게 아닌가 ? 성질급하기로는 둘째 가라면 서러운 우리의 쉬바, 상황 파악도 하지 않은채  뙽? 남자의 머리통을 날려 버렸다. 파트바티는 화를 내며 당신의 아들이 자라서 이렇게 커졌는데 아들도 몰라보냐며 쉬바를 나무랐고 결국 떨어진 머리통은 찾지 못한채 가네사는 코끼리 머리를 달고 다니게 되었다는......얘기다. 가네사의 불룩 나온 배는 풍요를 상징하고, 또 지혜와도 관련이 있어 많은 인도의 책들은 앞머리에 '이 책을 가네사에게 바친다'는 문장을 올리기도 한다. 쉬바의 둘째 아들은 카르티카야라는 전쟁의 신이다. 다시 쉬바의 여성편력으로 돌아가서...... 쉬바는 본처인 파르바티 이외에도 수많은 여신들을 부인으로 거느리고 있는데, 10개의 손에 손마다 무기를 지니고 호랑이를 타고 다니는 두르가 여신, 두르가 여신과 종종 헷갈 리는 죽음과 관능의 여신 깔리(앞 페쥐에 그림이 있다.) 그리고 이번 인도여행 최고의 황당 스토리 중의 하나인데, 우리가 아는 마더 테레사역시 쉬바의 부인으로 등극했다는 사실이다.

이들 주요신과 그에 딸린 식구들외에 인도에서 힛트치는 신은 비슈뉴의 화신인 라마와 크리슈나, 라마는 인도의 대 서사시인 라마야나에 나오는 주인공이고, 크리슈나는 대서사시 마하바라타에 나오는 아르쥬나형제의 전쟁을 도와주는 이웃나라의 왕이자 신의 화신이다. 또 라마야나에 나오는 라마를 도와 스리랑카와의 전쟁을 승리로 이끈 원숭이의 왕인 하누만(이 라마야나 신화는 훗일 서유기의 모티브를 제공한다.)등이 인도신들의 주축을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의 민화에 나오는 호랑이가 무서움보다는 친근함을 주목적으로 한다는데, 인도의 신들역시 그런 모양이다. 근엄한 신이라기 보다는 사실 너무나 인간적인 신들이 인도에는 존재한다. 앞뒤안가리는 성질급한 쉬바나, 커다란 코끼리의 몸으로 쥐를 타고 다니는 가네사등이 그런 존재이다.

또 한가지 힌두교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이 놀라운 흡수력이다.

위에 기술했다시피 비수뉴의 9번째 화신을 붓다로 만들면서 결국에는 불교를 힌두교안 에 흡수시킨 힌두교의 힘이야말로 이것이 현재까지 인도 종교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며 힌두교가 살아남은 힘의 원천이라 할 것이다.(인도에서 나오는 종교의 특징인지는 몰라도 절 문 앞에 있는 사천왕들이 힌두교의 신들이라는 것 역시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예는 힌두교 안에서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현재에는 힌두교에서 가장 인기있는 신중의 하나인 크리슈나의 특징중에 하나는 검다는 것이다. 알다시피 카스트라는 뜻이 색깔이라는 뜻이듯이 인도에서 피부색은 그의 계급을 나타내는 표식이기도 한데, 이런 이유로 크리슈나는 원래 아리안의 신이 아닌 드라비디언의 신이었다가 힌두교가 그전의 드라비디언들의 종교를 흡수하면서 크리슈나라는 신까지 흡수하게 되었다는 얘기이다. 유독 비슈뉴와 관련된 신화들은 대부분 이런식인데, 남인도의 마두라이라는 도시에 가면 그 도시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스리미낙시 사원이라는 곳이 있다. 이 미낙시는 비슈뉴의 부인으로 믿어지는 신인데, 이 미낙시 역시 그 지방의 토착신이다가 힌두교가 이 토착종교를 흡수하면서 남게된 미낙시를 여신으로 둔갑시킨후 비슈뉴와 결혼을 시켜 힌두교의 신으로 편입을 시켰다는 얘기다.

비슈뉴만 다른 종교를 흡수해서 쉬바가 골이 났는지 쉬바는 이번에 대 힛트작을 만 들었는데, 바로 위에 기술했다시피 마더 터레사를 그의 부인으로 영입하는데 성공했다.요즈음 나오는 쉬바와 그의 배우자가 그려진 힌두교 그림을 보면은 끄트머리 한구석을 마더 테레사가 차지하고 있다.

 

힌두교는 주로 인도에서만 믿고 있으나 사상은 불교나 자이나교 또는 라마교 등에서 흡수한 경우다.

인도:힌두교81%.이슬람교(시크교:힌두교와 혼합된 것 포함)13%.기타 그리스도교 소수.

인도네시아.싱가포르 등에 소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힌두사상에서는 구원(Moksa)이란 가현(Maya=Illusion, 말 하자면 항상 변하고 흔들리고 있는 이세상의 헛되고 헛된 모습)으 로부터 벗어나는 일(자유하는 일)인데, 다시 말하자면 고통과 폭력과 속박, 그리고 출생과 죽음의 윤회(힌두교, 불교 사상의 윤회설 참조) 에서 벗어나서 자유롭게 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힌두 아베이타경에 의하면 구원은 개인의 모든 제한과 속박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자유 하여 궁극적 실재(참 神)와 합일(合一)하며 동일(同一)시 되어 버리 는 것이라고 말한다. 힌두사상에서는 기독교의 구원관은 너무 쉽고 값이 싸다고 말한다 (은혜의 높은 차원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선한 행위 카르마(Karma)에의하여 구원을 받기 때문이다. 그들의 구원관은 수많은 고행(선행, 노력, Sadhand=Discipline=계속적인 훈련, 수련)에 의한 결과라고 말하고 있다. 이번 70평생에 이루지 못했다면 다음에 태어나서 또 70평생(윤회사상)때에 잘하면 마침내는 궁극적 인 실재와 합일한다는 사고방식이다

 

http://kcm.co.kr/kwma/mission03.html

 

http://www.reportworld.co.kr/report/data/view.html?no=384521

 

http://sgti.kehc.org/data/person/jung/articles/3.htm

 

1. 힌두교는 약 5천 년간 서서히 발전한 종교다. 힌두교는 유대교 외에 세상에서 가장 오랜 신앙을 가진 종교다.

2. Generally speaking, a Hindu is born, not made, large the growth of Hindu has born biological.

 3. 오늘날 힌두교는 6억1천만으로 세계 인구의 13%에 해당된다. 인도 전인구의 80%가 힌두교다.

4. 힌두교는 회교처럼 근 영향력은 없으나 서서히 종교의 비전을 갖고 세계로 진출하고 있다.

5. 힌두교는 실용과 신앙의 자유를 강조하고 하나의 세계를 내세움으로서 기독교의 절대성과 독자성에 도전함으로서 기독교 선교의 관점에서는  또 하나의 위협적인 종교다.

 

 

힌두교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힌두교 책과 인터넷 정보들을 아무리 찾아보아도 혼자서는 힘드네요 도와주세요^^ 1. 힌두교 궁극적 실재에 대한 태도 2. 힌두교의 현황과 전망 <힌두교에 대해> 힌두교의...

힌두교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힌두교 대한 전반적인 정보(역사, 기본교리등,)나 그... 여기에 지도자들에 의해 힌두교는 여러 분파로 창시되었으니 불교.자이나교 등입니다. 힌두교는 힌두이즘에서...

힌두교에 대해서알려주세요.

힌두교가 무슨 종교인지, 또 왜 소고기를 먹으면 안 되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힌두교 (Hindu敎) [종교 일반 ] 인도의... ‘소’를 힌두교의 신 중 시바신이 타고 다니는...

힌두교에대해서!!! _ 꼭 알려주세요,,

힌두교에 대해서알려주세요 ㅜ ㅜ 1.창시자 2.창시시기 3.전파지역,, 덧붙여서 ㅜㅜ;; 카스트 제도에 대해서 알려주세요ㅜㅜ;; (언제,어디서,누구,특징!!!) 알려주세요...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에 대해서요~

크리스트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에 대해서알려주세요~^ ^ 길어두 좋거든요..^ ^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종교별개념정리 (1) 기독교 1) 기원 : 기원 원년, 팔레스타인, 예수...

힌두교에 대해서!!

힌두교의 풍습 힌두교의 문화 힌두교의 금기사항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내용은 처음듣는 사람도 알아들을 수 있게 좀 쉬웠으면 하구요 내용은 그리 길지 않으면 좋겠네요...

힌두교에 대하여...

힌두교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형식 상관 ㄴㄴ 힌두교에 대한것이면 뭐든지 ㅇㅋ 적은 내용에서 긴 내용까지 상관없습니다. 채택은 제 주관이므로 노력해주세요. 적을 주제가...

힌두교알려주세요

힌두교에 대해서 싹 다 알려주세요 '인도교(印度敎)'라고도 한다. 힌두교를 범인도교라 함은 힌두(Hindū)는 인더스강의 산스크리트 명칭 ‘신두(Sindhu:大河)’에서 유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