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교의전개 에대해 알려주세요...(내공50)

한국유교의전개 에대해 알려주세요...(내공50)

작성일 2003.09.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한국유교의전개 에대해 서술해주세요..광범위하게 되도록 길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공 많이 드리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리나라에서는 성리학이 도입된 초기부터 16세기까지 사단과 칠정을 이기론으로 설명할 때 각각을 이(理)와 기(氣)에 분속시켜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사단칠정논쟁의 직접적인 계기가 된 정지운(鄭之雲 : 1509~61)의 〈천명도 天命圖〉에서도 사단의 발은 순리이며 칠정의 발은 기가 겸한 것이라고 했다. 이황(李滉 : 1501~70)도 역시 이 〈천명도〉를 수정하면서, 사단은 이에서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에서 발한 것, 혹은 사단은 이가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한 것이라 하여 사단과 칠정을 각각 이와 기에 분속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1559년(명종 14)에 기대승(奇大升 : 1527~72)이 이황의 사단칠정론에 의문을 제기하고 이에 이황이 자신의 견해를 설명하면서 8년에 걸친 사단칠정논쟁이 이루어졌다. 사단칠정의 이기 분속 문제가 16세기 후반에 이르러 커다란 철학적 문제로 대두하게 된 배경에는 이 시기 조선 성리학에 이제까지의 이기이원론과는 다른 이기일원의 이기론이 성립하기 시작했다는 사정이 있었다. 형이상학의 측면에서 이기이원론은 이를 기의 존재 근거로까지 인정하는 견해를 가리키며 이기일원론은 이를 기의 조리(條理)로만 인정하는 견해를 가리킨다. 이러한 차이가 사단칠정론에서는 기발과 함께 이발을 인정하는 견해와 기발만을 인정하는 견해로 나타난다. 이황은 이기이원론에 바탕을 두고 사단과 칠정을 각각 이와 기에 분속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기대승은 이기일원론적인 견해에 바탕을 두고 사단과 칠정을 설명함으로써 사단과 칠정을 명확하게 이와 기에 분속하는 것을 반대했다. 이에 대해 이황은 이기의 관계가 비록 밀접해서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사단은 이가 발함에 기가 따르는 것(理發氣隨之)이고 칠정은 기가 발함에 이가 타는 것(氣發理乘之)이라 해도, 사단은 그것이 유래하는 바가 마음 속에 있는 본연지성이요, 칠정은 그 유래하는 바가 기질지성이며, 또 사단은 기가 따르는 것이지만 주로 하여 말하는 것(所主而言)이 이에 있고 칠정은 그것이 기에 있기 때문에 각각을 '이지발'과 '기지발'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고 했다. 사단칠정 문제에 대한 이황의 이러한 견해는 이기호발설(理氣互發設)이라 불린다.

이기호발설에 대해 기대승과 그후의 이이(李珥 : 1536~84)는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질지성 속에 갖추어 있는 이가 기를 타고 발한다는 점에서 그 유래하는 바가 같으며, 다만 발해서 순선한 것만을 가리켜 사단이라고 한다고 했다. 그들은 이황의 견해 가운데에서 기가 발함에 이가 타는 것만을 인정하고 그것으로 사단과 칠정이 유래하는 바를 모두 설명했으며, 칠정 이외에 따로 사단의 정이 있는 것이 아니라 칠정 가운데 사단이 포함되는 것이라고 했다. 기대승과 이이의 이러한 견해는 이기겸발설(理氣兼發設)로 불려진다. 1572년(선조 5)에 성혼(成渾 : 1535~98)은 사람의 마음을 형기(刑氣)의 사사로움에서 생기는 인심(人心)과 성명(性命)의 정리에 근원하는 도심(道心)으로 구분할 수 있듯이 성이 발한 정도 사단과 칠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단은 이에서 발한 것으로 칠정은 기에서 발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면서, 성혼과 이이 사이에 다시 사단칠정논쟁이 벌어졌다. 성혼의 이러한 견해에 대해 이이는 인심·도심의 구분과 사단칠정의 구분은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사단칠정을 각각 이기에 분속하는 이황과 성혼의 견해를 비판했다. 16세기 후반에 이루어진 호발설과 겸발설로 정리된 사단칠정의 이기론적 해석은 그후에도 우리나라 성리학의 중요한 이론적 탐구 대상으로 남아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었고, 성리학 이해에 깊이를 더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그 가운데 이황의 호발설을 지지하는 견해를 주리론(主理論)이라 하고, 이이의 겸발설을 지지하는 견해를 주기론(主氣論)이라 하여, 우리나라 성리학의 양대 흐름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퇴계철학의 연구 : 윤사순,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3
한국유학사 : 배종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4
퇴계의 생애와 사상 : 이상은, 서문당, 1973
사단칠정설의 바른 해석 - 인간행위의 선악성립의 보편적 기준 〈담수〉 15 : 안긍섭, 1986
퇴계의 성선관 - 그의 사칠설을 중심으로 〈퇴계학보〉 45 : 윤사순, 퇴계학연구원, 1985
기대승 이기론의 주기적 특성 〈부대사학〉 9 : 윤사순, 부산대학교 사학회, 1985
이성호의 사단칠정론 〈동양철학연구〉 5 : 안재순, 동양철학연구회, 1984
쟁점으로 본 한국성리학의 심층 - 퇴율의 이기사칠논변과 호락의 인물성동이논 쟁의 문제 〈월간조선〉 : 이남영, 조선일보사, 1981.6
율곡의 사단칠정론과 인심도심설 〈동방학지〉 19 : 배종호,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78
사칠논변에 있어서의 퇴계 고봉의 입장 〈퇴계학보〉 19 : 友枝龍太郞, 퇴계학연구원, 1978
사단칠정에 관한 논점 - 이론적인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사상〉 11 : 최동희, 한국사상연구회, 1975

전개 에대해 알려주세요...(내공50)

한국유교의전개 에대해 서술해주세요..광범위하게 되도록 길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공 많이 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성리학이 도입된 초기부터 16세기까지...

유교에 대해 알려주세요 (빨리ㅠㅠ)

... 나라의 근본 정신이 된 유교에 대해 알아가는게... 자세히 알려주세요..... 내공은 20드립니다. 유교儒敎란... 그리고 한국에는 삼국시대 후 전래되어 한국인의 생활에 영향을...

조선정부의 유교 문화 보급한사례

... 정부의 유교 문화 보급한 사례 구체적으로 알려주세요... 써주세요 ) 내공100 오늘까지입니다! 서양은 신 앞에... 있었는데 한국사 교육이 징용에 대해 황당한 거짓을...

의미와 전개과정에 대해 알려주세요.

... (제가 개을러서 열심히 찾아보지 않았을 수도 있겠지만.) 탕평정치의 의미, 그리고 그 전개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공 30점 드립니다. 조선시대...

역사에 대해 알려주세요(내공50)

걸스카우트의 연맹가가사와 역사에 대해 조금 알려주세요 내공 50달려있습니다. 전... 1996년에는 창립 50주년을 맞아 각종 기념사업을 전개하였으며 이듬해 한국걸스카우...

유교가 백성들에게 끼친 영향 조사하기...

... 유교가 백성들에게 끼친 영향 조사히기- 삼강오륜, 충효정신 에대하여 알려주세요 내공은 없지만 오늘 9시50분까... 고려의 성립은 한국 민족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역사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내공...

... 감사하겟습니다 ,, (내공40걸꼐여 ) <고조선은 2333년... 설치 유교경전 시험을 쳐서 관리를 뽑음 발해는... 한국에 대해 잘 모르는 외국인에게 우리나라가 늘 외세에...

배경 전개과정 의의(내공50)

... 배경 전개과정 의의를 알려주세요. 배경-어쩌구저쩌구... 대해 정당행위를 부정, 범인은닉죄로 처벌한 판례가 있다. 이회창 대법관이 참여한 재판이며, 한국의...

한국의 세계 유산에 대해 알려주세요...

한국의 세계 유산에 대해알려주세요... 선생님께서... 그리고 내공은 조금 밖에 못 주지만 제발 부탁합니다.... 왕릉은 유교사상과 토착신앙 등 한국인의 세계관이 반영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