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 문중 알고싶습니다.

스님 문중 알고싶습니다.

작성일 2008.12.0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청하스님 법문중에서 문중 문중 하시고
스님들 말씀에 저 스님은 뭐슨문중이라 하시고
불국사 가니까 성철스님 문중과 **다르다 하시고(스님법명을 말씀하셨는데 기억이안남)
부석사도 원주스님께서 문중이야기를 하시고
재가자도 알기 쉽게 문중 분류와 족보 문하....
알고싶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도움이 되는 청하스님 글과 불교의 5대총림과 25교구본사가 거의 문중 분류과 상동하여 올려 드립니다.

 양산 통도사     제15교구 : 불지종가 영축총림 영축산 통도사(경남 양산)

청하 스님 다비식 5000여 사부대중 오열
8월 22일 입적한 조계종 원로회의 의원 청하당(淸霞堂) 성원대선사(性源大禪師)의 영결식 및 다비식이 8월 26일 양산 통도사에서 원로회의장으로 봉행됐다.

11시부터 시작된 영결식에 참석하기 위해 전국에서 몰려든 불자들과 스님들은 아침 일찍부터 통도사 일주문을 들어섰다. 한꺼번에 몰려든 5000 여명의 불자들로 통도사 경내는 물론 사찰 옆으로 난 계곡 길 곳곳에까지 장사진을 이뤘지만 산만하거나 소란스러움은 없었다.

이날 영결식은 5번 종을 치는 명종으로 시작해 삼귀의, 반야심경, 청혼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조계종 원로회의 의장 법전 스님의 영결사에 이어 조계종 종정 혜암 스님의 법어, 총무원장 정대 스님, 종회의장 지하 스님, 새천년민주당 김중권 대표 등이 조사(弔辭)를 통해 청하 스님 가시는 마지막 길을 축복했다. 이어진 헌화·분향 의식을 각 문도·문중·총림·종단·내빈·신도 대표들이 엄숙히 거행했으며 통도사 합창단의 조가(弔歌)와 사홍서원을 끝으로 약 1시간 30분 여 걸친 영결식은 끝났다.

12시 30분부터 시작된 운구 행렬 역시 장엄하게 봉행됐다. 다비식장에 모인 5천 여 신도가 청하 스님의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염불과 금강경, 법성게를 합송하는 가운데 거화(擧火)를 알리는 세 번의 외침 “스님, 집에 불 들어갑니다” 신호가 끝나자 화장가마에 안치한 스님의 주검에 향과 함께 불이 지펴지고 얼마 지나지 않아 다비식장에 뿌연 연기가 가득 차 올랐다. “아이고, 스님…”하며 오열하는 한 불자의 곡성에 이어 여기저기 스님을 목놓아 부르는 광경도 펼쳐졌다. 대부분의 불자들은 피어나는 연기를 하염없이 바라보며 합장한 채 염불하고, 다비식장의 한쪽 켠에 가부좌를 틀고 앉아 숙연히 배웅했다.

청하 스님의 49재는 10월 9일 양산 통도사 설법전에서 오전 10시 봉행된다. 055)382-7182

통도사=한신애 기자

http://cybuddha.com/maha/?doc=news%2F01_1.html&A_category1=1&A_category2=7&page_no=1313&content=&A_id=5442

 

직할교구본사 : 조계사(서울 종로)

1938년 중건.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45번지 T.(02)732-2115 www.ijogyesa.net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총본산이다. 도심 속에서도 사찰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전통사찰로 1938년 완공된 서울시 유형문화재인 대웅전은 전북 정읍 '보천교 십일전'을 옮긴 것으로 전국에서 가장 큰 목조건물이다. 매년 10만 명의 외국인이 찾는 사찰로서 한국불교 역사문화기념관이 들어서 있고, 조계종의 중앙종무기관이 있다. 사진에 나오는 나무는 시지정 기념물인 회화나무이며 가까운 곳에 천연기념물인 '백송'도 있다(중국원산으로 몇 그루 안됨).   

 

 

제2교구 : 화산 용주사(경기 수원.화성)

854년 (신라 문성왕 16년) 가지산문 '염거'화상

경기 화성군 태안읍 송산리 188번지 T.(031)234-0040  

 www.yongjoosa.or.kr  

조선중기 문예부흥의 주역인 정조대왕이 비명에 숨진 아버지 사도세자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창건된 효행의 본찰이다. 효행교육원, 효박물관 등을 운영하여 불교의 효사상을 널리 실천하고 있으며, 국보 제120호로 지정된 아름다운 고려범종이 천년을 이어오고 있다. 대웅보전 앞뜰에 천연기념물인 '회양목'이 있다.  

 

 

제3교구 : 설악산 신흥사(강원 속초)

652년 (신라 진덕여왕 6년) '자장'율사(慈藏律師)

강원 속초시 설악동 170번지 T.(033)636-7044

http://user.chollian.net/~bdsfm/walk23.html   

 석가모니께서 고행하여 성도하신 설산을 상징하는 설악산 자락의 수행처이다. 삼재(풍.수.화재)가 범하지 못하는 신인(神人)이 점지한 터로 통일의 염원을 담고 있는 동양 최대의 청동좌불상이 있으며 울산바위 아래 계조암과 비선대 금강굴 등 이름난 기도처인 산내암자들이 있다. 산사음악회를 통하여 자연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사찰이다.   

 

 

제4교구 : 오대산 월정사(강원 평창)

643년 (신라 선덕여왕 12년) '자장'율사

강원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63번지 T.(033)332-6661~4

www.woljeongsa.org/  

5만의 보살이 상주하는 불교의 성지인 오대산에 자리 잡은 오대신앙의 본산으로 개산조 '자장'율사에서부터 근대의 '한암 중원', '탄허 택성'대강백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름난 선지식들의 선풍이 살아있는 곳이다. 국보로 지정된 8각9층석탑과 이 탑을 향한 석조보살상이 천년을 이어지고 있으며, 사시사철 푸른 그림자를 드리우는 전나무 숲으로 유명하다. 중대 사자암 적멸보궁, 동대 관음암, 서대 염불(수정)암, 남대 지장암, 북대 미륵암 그리고 상원사 동종과 문수동자상 등 수많은 전설과 이적들을 간직한 유물.유적들이 즐비한 사찰이다.   

 

 

 제5교구 : 속리산 법주사(충북 보은)

553년 (신라 진흥왕 14년)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 209번지 T.(043)543-3615

www.pubjusa.or.kr  

세속을 떠난 곳이라는 속리산 자락에 부처님의 진리가 머문다는
   이름을 가진 수행처로 '금오 태전'대선사의 법향이 전해지고 있다.
   우리나라 유일의 목탑인 팔상전을 비롯하여
   국보급 문화재가 산재해 있는 살아있는 박물관이다.
   한국 미륵신앙의 대표적인 사찰로 온 국민의 성원 속에 청동미륵대불을 조성하였다.
   복천암, 탈골암, 중사자암, 상고암 등 여러 산내 암자를 거느린
   호서 제일 가람이자 대한 8경의 빼어난 절경을 자랑하는 대찰이다.
  


   제6교구 : 태화산 마곡사(충남 공주)
   643년 (신라 선덕여왕 12년) '자장'율사
   충남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567번지
   T.(041)841 -6220~3
   www.magoksa.or.kr
   '자장'율사가 창건한 충남의 대표적인 사찰로,
   '보조'국사가 중창하여 불법의 큰 도량으로
   "골짜기에 가득 찬 삼대"같은 운수납자들로 불교의 혜맥을 이어오고 있다.
   물의 흐름과 산의 형세가 태극형이라고 하는 이곳은 택리지, 정감록 등
   옛 비기(秘記)에서 전란을 피할 수 있는 명당으로 꼽힐 만큼 산세가 아름답다.
   충남지역(청양 장곡사 등)에서 보이는 상.하불전인
   대웅보전과 대광보전을 갖추고 있으며,
   몽고(라마)계통의 5층석탑과 더불어 해남 대흥사, 고성 건봉사 등지에서
   볼 수 있는 지형에 따른 권역별 가람배치를 보이고 있다.
   '백범 김구'선생의 체취가 배어있는 마곡사는
   금강산 유점사(북방 畵所)와 수락산 흥국사(京山 화소)와 더불어
   '남방 화소'로 "마곡사화맥"을 형성하고 있다.
   봄의 색깔이 가장 좋다는 '춘마곡(春麻谷)'에는
   금어들의 솜씨뿐 아니라 여러 명필들의 흔적을 접할 수 잇는 사찰이다.
         


   제7교구 : 덕숭총림 덕숭산 수덕사(충남 예산)
   384년 (백제 침류왕 원년) '마라난타'스님(?)- 6세기말 (백제 위덕왕 재위시)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20번지
   T.(041)337-6565
   www.sudoksa.com
   "배움과 덕성을 닦는 도량" 즉
   선법(禪法)을 사찰의 정체성으로 삼고 사격(寺格)을 드높여 왔으며,
   '경허 성우', '만공 월면'대선사를 중심으로
   한국 근대선풍을 진작하여 1984년 덕숭총림으로 승격되었다.
   수덕사에는 대웅전 등 백제로부터 시작된 이 지역 불교의 원류와
   시대에 따른 변화과정을 살펴 볼 수 있는
   본,말사의 불교문화재 600여점을 소장 전시하고 있는 근역성보박물관이 있다.
   작금 '대한불교 조계종'의 양대 문중 중 하나인
   "덕숭(만공- 금오대선사)문중"의 본산이다. 



   제8교구 : 황악산 직지사(경북 김천) 
   418년 (신라 눌지왕 2년) '아도'화상
   경북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번지
   T.(054)436-6174
   www.jikjisa.or.kr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見性成佛)"이라는
   선종(禪宗)의 가르침에서 사찰명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조선시대 국난과 일제시대를 거치며 쇠락하였으나
   1960년대 '관응 지안'대강백과 '영허 녹원'화상에 의해
   60동이 넘는 불사를 통해 중창되었다.
   종단 최대의 연수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행자교육원 등
   종단의 각종 승가교육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산내 암자인 중암 "수미산방"에 오르기를 적극 권합니다.



   제9교구 : 팔공산 동화사(대구 동구)
   493년(신라 소지왕 15년) '극달'화상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35번지
   T.(053)982-0101~2
   www.donghwasa.net
   절을 중창할 때 겨울철인데도 오동나무 꽃이 상서롭게 피어나
   '오동나무 꽃이 피는 절'이란 의미에서 개칭했다.
   통일을 염원하는 약사여래불의 조성과 사찰의 법통계승과 뜻을 기리는 개산대제,
   팔공산에서 전쟁으로 산화한 호국 영령의 천도재를 봉행하고 있다.
   설악산 백담사와 더불어 종립 기본선원이 개설되어 있다.
   '통일약사여래대불'로 장엄된 약사기도 도량으로
   산내 염불암, 부도암, 비로암 등지에는 각종 석조 불상들이 조성되어 있다.
  


   제10교구 : 팔공산 은해사(경북 영천)
   809년(신라 헌덕왕 1년) '혜철'국사
   경북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479번지
   T.(054)335-3318~9
   www.eunhae-sa.org
   교구본사 중 본존불로 아미타불을 모시는 미타도량으로 유명하다.
   한국 불교의 강백들을 양성, 교육하는 "종립 은해사 승가대학원"이 있는
   사찰이기도 하다. "불.보살, 나한 등이 중중무진으로 계신 것처럼
   웅장한 모습이 마치 은빛 바다가 춤추는 극락정토 같다"하여 은해사라고 한다.
   종립 승가대학원과 기기암, 백흥암, 운부암, 중암암, 거조암 등
   여러 선방과 유명한 산내 암자들이 있다.



   제11교구 : 토함산 불국사(경북 경주)
   528년(신라 법흥왕 15년) 창건
   경북 경주시 진현동 15번지
   T.(054)746-9913
   www.bulguksa.or.kr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있는 사찰로
   석가탑과 다보탑을 비롯한 수많은 국가지정 문화재가 있고
   매년 수백만의 내외국 방문객들이
   세계적인 불교예술 작품들이 즐비한 불국사와 석굴암을 방문하고 있다.
   과거의 뛰어난 불교문화재 뿐만 아니라 현재의 불국사는 강원과
   선원에서 수많은 스님들이 수행을 하고 계시는
   한국불교의 지혜의 맥을 이어가는 중심적인 수행도량이다.
   부처님의 화엄장엄세계인 불국토를
   현세의 사바세계에 화현시킨 열정적인 신앙의 완성체로
   1970년부터 만3년간의 대역사를 통해 원형에 가깝게 복원되었고
   별도의 수행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살아있는 불도량으로 되살아났다. 



   제12교구 : 법보종찰 해인총림 가야산 해인사(경남 합천)
   802년(신라 애장왕 3년) '순응.이정'대사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번지
   T.(055)931 -1001/ 934-3002
   www.haeinsa.org
   신라시대 화엄십찰이며, 종단 5대 총림 중 해인총림으로서
   세계문화유산인 고려(팔만)대장경으로 유명한 법보종찰이다.
   '용성 진종', '고암 상언', '자운 성우', '퇴옹 성철', '동곡 일타', '혜암 성관'스님 등
   근.현대 고승대덕들이 주석하시면서 선풍을 진작시켜온 한국불교의 종가사찰이다.
   현재 '법전 향봉'종정예하가 주석하고 있다.
   '성철'대선사의 아련야인 백련암, '용성대종사'의 용탑선원, '사명'대사의 홍제암,
   '희랑'조사의 수행처인 독성기도 도량 희랑대, '일타'대선사의 지족암,
   '혜암'큰스님의 원당암 등 여느 독립 사찰같은 사격을 자랑하는 암자들이 즐비하다.
  


   제13교구 : 삼신(지리)산 쌍계사(경남 하동)
   723년(신라 성덕왕 23년) '대비.삼법'화상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8번지
   T.(055)883-1901/ 882-2363
   www.korea108.com
   중국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진감 혜소'국사가
   차 종자를 들여와 지리산 일대에 심고 가람을 중창하였다.
   '진감'국사가 처음으로 범패를 펼쳐보인 곳이며,
   '고운 최치원'선생이 직접 글을 짓고 쓴
   사산비명(충남 보령 성주사지 낭혜(무염)화상 백월보광탑비,

   경북 문  경 봉암사 지증국사 적조탑비, 경북 월성 숭복사비명)의

   하나인 진감국사대공탑비(국보 제47호)가 대웅전 옆에 있다.
   차의 고향으로서 십리의 벚꽃길과 불일폭포가 유명하며
   칠불사의 아자방과 운상선원에서 정진하는 스님들의 열기를 확인할 수 있다.
  


   제14교구 : 금정산 범어사(부산 동래)
   670년(신라 문무왕 10년) '의상'대사
   부산 금정구 청룡동 546번지
   T.(051)508-3722
   www.beomeosa.org
   가야산 해인사, 영축산 통도사와 더불어 영남의 3대 사찰로서
   영남 불교와 부산 불교의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다.
   '의상'대사로부터 근대에 '동산 혜일'대선사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고승을 배출한 명찰이다.
   금어선원을 비롯한 산내 다수의 선원이 운영되고 있는
   범어('용성 진종'대선사 법손)문중의 중심사찰이다.



   제15교구 : 불지종가 영축총림 영축산 통도사(경남 양산)
   643년(신라 선덕여왕 10년) '자장'율사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번지
   T.(055)382-7182/ 381-1442
   www.tongdosa.or.kr
   5대 적멸보궁의 하나로서 자장율사께서
   당나라에서 가져온 진신사리와 금란가사가 모셔져 있는 불보종찰로서
   금강계단과 영축총림을 구성하고 있다.
   '경봉 정석'대선사가 백련암에서 납자들을 제접하였고
   '노천 월하' 방장이 최근까지 총림을 이끄렸다.
   백운암, 자장암, 백련암, 서운암 등 산내 20여개의 암자를 거느리고 있으며,
   성보박물관을  가장 모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제16교구 : 등운산 고운사(경북 의성) 
   681년 '의상'대사
   경북 의성군 단촌면 구계동 116번지
   T.(054)833-2324
   www.gounsa.net
   0.5Km에 이르는 송림이 우거져있는 사찰로
   고운(孤雲) 최치원이 머무른 일화를 계기로
   사명(寺名)을 고운사(孤雲寺)라 했다한다.
   임진왜란때 사명대사가 승군의 전방기지로
   식량비축과 부상병 뒷바라지를 하던 사찰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전국 31본산의 하나로
   호국불교의 법등을 간직했던 곳이다.
   지장 기도와 약사 기도의 영험함이 널리 알려진 도량으로
   우화루 벽면에 그려진 생동하는 호랑이 그림은 보는 위치에 따라
   그 형용이 만변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제17교구 : 모악산 금산사(전북 김제)
   599년 (백제 법왕 1년) 창건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39번지
   T.(063)548-4441
   www.geumsansa.org
   후백제의 시조인 견훤의 유폐지이자
   고려 왕건에게 항복하는 역사적 사건이 전개된 사찰이다.
   '진묵'대사 이래로 미륵신앙을 민중에게 뿌리내리게 한 미륵 제일의 성지이며,
   미륵삼존불(미륵불, 법화림보살, 대묘상보살)을 모신 미륵전(국보 제62호)이 있다.
   봄철 산 입구부터 절까지 이르는 벚꽃이 장관을 이며,
   모악축제, 해넘이축제, 개산대제 등의 행사를 봉행하고 있다.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과 대구 달성 용연사 석조계단과 함께
   3대 계단 중 하나인 "방등계단"이 있고, 복원된 대적광전과
   탑의 상륜부 흔적이 남아있는 대장전 등 우수한 건축물이 산재하여 있다.



   제18교구 : 고불총림 백암산 백양사(전남 장성)
   632년 여환(?)선사 개창
   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26번지
   T.(061)392-7502
   www.baekyangsa.org
   백제의 고찰로서 종단의 5대총림 중 고불총림을 구성하고 있다.
   후학양성으로 유명한 '만암 종헌'대종사께서 출가하고 입적한 곳이며,
   '서옹 상순' 방장스님께서 "참사람 결사운동" 일환으로 무차(선)법회 개최와
   참사람수행원 등을 운영하시며 임제선풍을 진작시키시다 
   좌탈입망으로  입적하신 곳이다.
   산내 운문암은 충남 대둔산 태고사, 전북 능가(변)산 월명암, 전남 불갑산 해불암과
   함께 호남 4대 선방의 수좌를 차지하는 명당으로 제방 납자들의 수행처이다.



   제19교구 : 지리산 화엄사(전남 구례)
   544년(백제성왕 22년) '연기'조사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번지
   T.(061)782-7600
   www.hwaeomsa.org
   한국 화엄사상의 중심도량으로서
   국가와 왕실의 지대한 관심 속에 대승고덕들이 주석하면서
   한국 화엄의 조류를 이끌어 온 화엄교학의 중심사찰이다.
   조선시대 중기 건축양식을 대표하는 국보 제67호 각황전과
   각황전 앞 석등, 효대(4사자석탑) 등 문화재가 풍부한 사찰이자
   구층암, 연기암, 지장암 등 여러 산내 암자를 거느리고 있는 거찰이다.



   제20교구 : 태고총림 조계산 선암사(전남 순천, 한국불교 태고종)
   529년 (백제 성왕 7년) '아도'화상
   전남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번지
   T.(061)754-5247(?)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찰이자 사철 꽃이 지지않는 자연정원으로
   가장 고풍스런 향취를 간직하고 있는 사찰로서
   아이러니하게도 이는 조계.태고종간 분규의 이면에서 이루어진 성과(?)이다.
   무우전 내 각황전 장육존불과 대웅전 앞 좌우 쌍탑 및 선조암지 부도,
   무우전 뒤 부도, 대각암 '대각 의천'국사 부도 등 1불 2탑 3부도가
   선암사의 역사를 대변하고 있으며, 가장 아름다운 해우소(측간)와
   절 뒤 녹차밭 그리고 칠전선원 안 석확(돌물그릇)들은
   제방 사진예술가들의 표적(?)이 되고 있다. 
   한국에서 가장 아름답다는 쌍무지개 다리인 승선교와
   그 사이로 투영되는 강선루의 풍광은 누구나 감탄해마지않는
   남도의 상징 중 하나이다.
  


   제21교구 : 승보종찰 조계총림 조계산 송광사(전남 순천)
   신라말 '혜린'선사 창건
   전남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번지
   T.(061)755-0107~8
   www.songgwangsa.org
   종단 5대총림 중 조계총림이자,
   '보조국사 지눌'스님 이래로 조선초 '법장 고봉'국사까지
   16국사를 배출한 승보사찰로서 한국불교의 승맥을 이어온 사찰이다.
   근대에 '효봉 학눌', '구산 수련'대선사 등 선지식이 유명하며,
   종단의 전계대화상인 '보성 범일'스님이 방장으로 주석하고 있다.



  제22교구 : 두륜산 대흥사(전남 해남)
   426년 (백제 구이신왕) 신라 '정관'존자
   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799번지
   T.(061)534-5502
   www.daeheungsa.com
   4㎞의 울창한 숲길이 어우러져 있는
   빼어난 절경의 두륜산 자락에 자리 잡은 수행처이다.
   임진왜란 때 나라를 지켰던 '서산(청허당 휴정)대사'의 유품이
   소장되어 있는 표충사 전각이 있으며,
   13대 종사('풍담 의심'에서 '초의 의순'까지)와
   13대 강사('만화 원오'에서 '범해 각안'까지)를 배출한 수도도량이다.
   '초의 의순'대선사에 의해 발전된 차문화의 전통이 전해지며,
   주말수련회를 통한 일반인들의 수행활동도 활발하다.



   제23교구 : 한라산 관음사(제주시)
   1905년 '안봉려관(해월)' 비구니 창건 
   제주 제주시 아라동 387번지
   T.(064)755-6830
   www.hallasangwaneumsa.org
   한라산 중턱에 자리 잡은 제주 불교의 산실이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총본산이다.
   1900년대 초에 비구니('안봉려관') 스님에 의하여 현재 위치에 중창(?)된 이래로 제주불교 부흥의 근본도량이 되었다.
   민족통일과 인류평화을 위한 성지로 거듭나기 위해 성역화사업이 한창이며 제주불교의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 



   제24교구 : 도솔(선운)산 선운사(전북 고창)
   577년 (백제 위덕왕 24년) '검단'선사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500번지
   T.(063)561-1422
   www.seonunsa.org
   천연기념물 제184호인 동백나무숲으로 둘러싸인 빼어난 자연경관과  임진왜란 직후 지은 대규모 목조건물인 대웅보전과 흙으로 빚은 대형 삼존불상 등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문화재가 산재한 수행도량이다.근대에 '석전 박한영(영호 정호)' 대강백이 주석했던 곳으로 유명하다. 세상의 시름을 잊게하는 도솔암과 내원궁으로 난 길가에는
   동학혁명의 비원이 서린 높이 13m에 달하는 마애불이 있다. 
   선운산에는 상사화(石蒜: 석산)가 지천으로 깔려있지요.^^
 


   제25교구 : 운악산 봉선사(경기 남양주)
   1469년(조선 예종 1년) 광릉(세조왕릉) 원찰로 창건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255번지
   T.(031)527-1956/ 527-1974
   www.bongsunsa.net
   휴양림으로 탈바꿈한 광릉과 접해있는 능찰이자 수도도량으로
   조선시대 이후 교종본찰로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근대 '운허 용하', '월운 해룡'대강백의 원력으로 역경과 후진양성에 매진하고 있으며, 특히 군포교에 남다른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사용하는 현존 최고의 범종인 봉선사대종과 왕실발원 괘불이 유명하다. 
 
  
**********************************************************************

   대한불교 조계종의 소속 사찰은 전국에 3천여 사찰에 달한다.
   이들 사찰은 25개 교구로 분할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각 교구를 관할하는 교구본사가 있다. 
  

  서울에는 총무원장이 직할하는

교구본사(敎區本寺)로 조계사, 
경기도의 화산 용주사(수원.화성),

운악산 봉선사(남양주), 
강원도의 설악산 신흥사(속초),

오대산 월정사(평창), 
충북의 속리산 법주사(보은),

충남의 태화산 마곡사(공주),

덕숭산 수덕사(예산), 
경북의 황악산 직지사(김천),

팔공산 은해사(영천),

등운산 고운사(의성), 
토함산 불국사(경주),

대구의 팔공산 동화사(동구),

경남의 가야산 해인사(합천), 
삼신(지리)산 쌍계사(하동),

영축산 통도사(양산),

부산의 금정산 범어사(동래), 
전북의 모악산 금산사(김제),

선운산 선운사(고창),

전남의 백암산 백양사(장성), 
지리산 화엄사(구례),

조계산 선암사(순천, 현재 한국불교태고종),

조계산 송광사(순천), 
두륜산 대흥사(해남),

제주도의 한라산 관음사 등이다.


   조계종에는 총무원장이 관할하는 3개 직영사찰로 
서울 조계사,

대구 팔공산 선본사(갓바위),

강화 낙가산 보문사가 있고, 
  

  중앙의 예산을 특별히 분담하는

서울 삼각산 도선사,

서울 수도산 봉은사, 
관악산 연주암(과천),

전북 내장산 내장사(정읍),

경남 금산 보리암(남해), 
경북 토함산 석굴암(경주),

강원 오봉산 낙산사(양양),

강원 설악산 봉정암(인제) 등
   8개 특별(재정)분담사찰이 있다.

   또한 5대 적멸보궁으로 
영축산 통도사(경남 양산),

오대산 상원사 중대(강원 평창),

설악산 봉정암(강원 인제), 
사자산 법흥사(강원 정선),

태백산 정암사(강원 태백)가 있다.

   3보사찰로

불보종찰 영축산 통도사(양산),

법보종찰 가야산 해인사(합천), 
승보종찰 조계산 송광사(순천)가 있으며,

   5대총림은

영축산 통도사의 영축총림(양산),

가야산 해인사의 해인총림(합천), 
조계산 송광사의 조계총림(순천),

덕숭산 수덕사의 덕숭총림(예산), 
백암산 백양사의 고불총림(장성)이 있다. 
   **조계산 선암사의 태고총림(순천, 한국불교태고종 소속)**

   총림(叢林)은 많은 스님들이 함께 모여 수행정진하는 절을 말하는데,
   『백장청규 』에 따라 수행하는 스님들의 화합하는 모습이
   마치 수목(樹木)이 우거진 숲과 같다는데서 유래되었습니다.
   대한불교 조계종에서는 지혜와 복덕을 겸비한 스님을 양성하는 한편
   중생을 교화하기 위하여 <총림설치법>을 제정하였고,
   총림 내에는 강원(講院), 율원(律院), 선원(禪院), 염불원(念佛院)을 두도록 하였다.
   그러나 현재 총림으로 지정된 모든 곳에는 강원, 율원, 선원만 있고
   염불원은 갖추어져 있지 않거나 현판만을 붙여놓은 곳이 대부분이다.
   뿐만 아니라 조계종의 사찰 가운데 염불원을 따로 갖춘 곳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총림이라 하면 강원, 율원, 선원을 두루 갖추고 있는
   절이란 의미로 통용된다.

   강원(講院)은 부처님께서 설하신 경전을 공부하는 4년 과정의 전문 교육기관으로
   현재는 '승가대학'이라 불리며, 팔공산 은해사에는 '승가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다. 
   율원은 스님으로서 지켜야할 계율을 공부하는 2년 과정의 전문 교육기관이며 강원을 졸업해야만 교육 받을 자격을 얻게 되고
   대표적인 율원은 팔공산 파계사의 '영산율원'이다.
   선원은 참선수행하는 전문 도량(道場)으로 수행기간이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평생 수행하는 도량이라 할 수 있으며,
   팔공산 동화사와 설악산 백담사에는 '조계종 기본선원'이 개설되어 있고,
   희양산 봉암사와 가지산 석남사에는 '조계종 (비구/ 비구니) 특별선원'이 개설되어 있다.

   총림은 총무원으로부터 자율권을 많이 보장받아서 사찰을 운영한다.
   총림을 대표하면서 총지휘.감독권을 갖고 있는 스님을 방장(方丈)이라고 하는데,
   방장은 선(禪)·교(敎)·율(律)을 겸비하는 것이 관례이다.

   *종정(宗正)은 종단의 가장 큰어른으로 이판(理判)을 대표한다 할 수 있고,
   *총무원장(總務院長)은 중앙종무기관인 총무원을 관할하고,
      총림을 제외한 각 사찰 주지임명권을 가지는 사판(事判)의 대표격이다.
   *방장(方丈)은 5대총림의 가장 큰어른으로 총림 주지 임명권을 가지며,
   *조실은 선원이 개설된 각 절의 가장 큰 어른이시고,
   *회주(會主)는 특별법회나 불사를 행할 때 이를 주관하던 직책이였으나
      작금에는 각 사찰에서 조실보다는 아래이고 주지보다는 위에 두는 ... ...
     
*********************************************************************

   
    각 사찰 홈을 일일이 링크 시켜놓았으니
    각자 컴에 "줄겨찾기"에 등록해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 ...

大韓佛敎曹溪宗 25敎區本寺 홈피주소 

제1교구본사 조계사 www.ijogyesa.net

제2교구본사 용주사 wwww.yongjoosa.or.kr

제3교구본사 신흥사 wwww.shinheungsa.or.kr

제4교구본사 월정사 wwww.woljeongsa.org

제5교구본사 법주사 wwww.pubjusa.or.kr

제6교구본사 마곡사 wwww.magoksa.or.kr

제7교구본사 수덕사 wwww.sudeoksa.com

제8교구본사 직지사 www.jikjisa.or.kr

제9교구본사 동화사 wwww.donghwasa.net

제10교구본사 은해사 wwww.eunhae-sa.org

제11교구본사 불국사 wwww.bulguksa.or.kr

제12교구본사 해인사 wwww.haeinsa.or.kr

제13교구본사 쌍계사 wwww.ssanggyesa.or.kr

제14교구본사 범어사 wwww.beomeosa.org

제15교구본사 통도사 www.tongdosa.or.kr

제16교구본사 고운사 wwww.gounsa.net

제17교구본사 금산사 wwww.geumsansa.org

제18교구본사 백양사 www.baekyangsa.org

제19교구본사 화엄사 www.hwaeomsa.org

제20교구본사 선암사 www.seonamsa.co.kr

제21교구본사 송광사 www.isonggwangsa.org

제22교구본사 대흥사 www.daeheungsa.com

제23교구본사 관음사 www.hallasangwaneumsa.org

제24교구본사 선운사 www.seonunsa.org

제25교구본사 봉선사 www.bongsunsa.net

* 제 20교구본사인 선암사는 사실상의 태고종 종단에서 실질적 지배

 

교구사찰이 있는 지역

(1)   직할교구본사    조계사(서울 종로)

(2)   제2교구            화산  용주사(경기 수원,화성)

(3)   제3교구            설악산 신흥사(강원 속초)

(4)   제4교구            오대산 월정사(강원 평창)

(5)   제5교구            속리산 법주사(충북 보은)

(6)   제6교구            태화산 마곡사(충남 공주)

(7)   제7교구            덕숭총림 덕숭산 수덕사(충남 예산)

(8)   제8교구            황악산 직지사(경북 김천)

(9)   제9교구            팔공산 동화사(대구 동구)

(10) 제10교구          팔공산 은해사(경북 영천)

(11) 제11교구          토함산 불국사(경북 경주)

(12) 제12교구          법보종찰 해인총림 가야산 해인사(경남 합천)

(13) 제13교구          삼신(지리)산 쌍계사(경남 하동)

(14) 제14교구          금정산 범어사(부산 동래)

(15) 제15교구          불지종가 영축총림 영축산 통도사(경남 양산)

(16) 제16교구          등운산 고운사(경북 의성)

(17) 제17교구          모악산 금산사(전북 김제)

(18) 제18교구          고불총림 백암산 백양사(전남 장성)

(19) 제19교구          지리산 화엄사(전남 구례)

(20) 제20교구          태고총림 조계산 선암사(전남 순천)(한국불교 태고종)

(21) 제21교구          승보종찰 조계총림 조계산 송광사(전남 순천)

(22) 제22교구          두륜산 대흥사(전남 해남)

(23) 제23교구          한라산 관음사(제주시)

(24) 제24교구          도솔(선운)산 선운사(전북 고창)

(25) 제25교구          운악산 봉선사(경기 남양주)

 

스님 문중 알고싶습니다.

... 쉽게 문중 분류와 족보 문하.... 알고싶습니다. 도움이 되는 청하스님 글과 불교의 5대총림과 25교구본사가 거의 문중 분류과 상동하여 올려 드립니다. 양산 통도사...

하시는 축원문 형식을 알고싶습니다

... 형식을 스님들이 한문으로 하시는 그대로 알고싶습니다 삼보통청의 경우 입니다.... 불법문중(佛法門中) 신심견고(信心堅固) 영불퇴전(永不退轉) 발(發)...

중이 되고싶습니다. 스님말이죠..

... ⑥스님이 되고나서 돈을 써야 할 때가 있나요? 어떤 경우에 돈을 쓰는지, 돈은 절에 들어올 때 지참한 돈인지 알고 싶습니다. 답: 수행자로서의 건강한 신체와 강한 정신력을...

표훈(表訓)스님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 표훈(表訓)(생몰연대 미상) 신라 후기의 스님. 의상(義湘)의 10대 제자 중의 한 사람이다. 670년(문무왕 10) 같은 문중인 능인(能仁)과 함께 강산에 표훈사(表訓寺)를 지었다....

무당사주팔자인지 알고싶습니다

...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기가많이쌔다고합니다 (양력)... 내 문중의 아이의 영혼입니다 선망귀란 인간으로 치면... 절에서 스님을 통해서 해야하는 것이라고 보지 않아요...

축원부분의 해석을 알고 싶습니다

사시불공중 축원의 해석을 알고싶습니다~ 앙고 시방삼세... 불법문중(佛法門中) 신심견고(信心堅固) 영불퇴전... 현각스님이 한국을 떠나면서 이런 말씀을 하셨다고 합니다....

타이의 명절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 꽃을 쟁반에 담아들고 문중 어른들과 존경하는 분들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이날 아침에는 스님께 음식공양을 한 후 모래쌓기를 한다. 절에 모래를 쌓는 것은 대단한...

조현병 심리치료 진행법

... 조금 구체적으로 알고싶습니다 내공 500입니다... 사주가든 스님이든 무속인이든 도인이든 그 누구도 남의... 내 문중의 아이의 영혼입니다 선망귀란 인간으로 치면 거지나...

91년 음력 9월 23일 진시생 단명인가요

... 사주팔자인지 알고싶습니다 너무 괴롭습니다.... 것입니다 스님을 찿아가면 툭하면 천도재를 들먹거리게... 같은 문중안의 원한귀들로서 일간과 같은 성씨의 어린애...

쑤마s 사주풀이 부탁드려요

... 사주가 높다는데 이 부분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 올해... 내 문중의 아이의 영혼입니다 선망귀란 인간으로 치면... 절에서 스님을 통해서 해야하는 것이라고 보지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