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도입과 대중화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셔요

불교의 도입과 대중화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셔요

작성일 2004.04.1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자세히 알려주세욥~^^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한국의 불교 전래

한국의 불교는 인도나 중국불교의 단순한 연장도 퇴화도 아니다. 삼국시대에 전래된
불교는 육로 또는 해로를 통해서 만주대륙과 한반도 등의 우리 민족문화권에로 동류
(東流)한 뒤, 우리나라의 지역과 풍토 및 민족성 안에서 독특하게 전개되었다.

1. 고구려

삼국 가운데에서 제일 먼저 불교를 받아들인 것은 고구려이다.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
는 약 2 · 3백년 후에 중국에 전파되었고, 중국에서 한반도에도 약 2 · 3백년 후에
전파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일반화과정이 진행된 후에 왕실이나 국가에서
거국적으로 국교로 선포하기 때문이다.

372년(소수림왕 2) 국교로 선포된 불교는 전진의 왕 부견(符堅)이 보낸 순도(順道)를
법사(法師)로, 불상과 불경 등이 고구려 왕실에 전하여졌다. 이에 소수림왕은 사신을
보내서 감사의 뜻을 표하고 순도로 하여금 왕자를 가르치게 하였다. 2년 뒤인 374년에
는 진나라의 승려 아도(阿道)가 고구려에 왔다.

소수림왕은 그 이듬해 봄에 성문사(省文寺)와 이불란사(伊佛蘭寺)를 세우고 순도와 아
도를 각각 그 절에 머물도록 하였다. 이 두 절은 한국 최초의 절이다. 고구려에서 처
음 받아들인 불교는 ‘인과적(因果的) 교리로서의 불교’ 또는 ‘구복(求福)으로서의
불교’로 보고 있으나 실은 토속적 기복(祈福)을 벗어나는 수복적(修福的) 불교이다.
이 수복적 불교의 증거가 고대 삼국국가 중 고구려가 제일먼저 중앙집권적 고대국가 형
성의 기틀을 잡게 한 획기적인 일이 그것이다. 수복(修福)은 수심신복(修心身福)의 의
미로 심신(心身) 을 잘 수행(修行)해야 복(福)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적극적인 인과의
개념인데 이를 기복(祈福)으로 오판함은 잘못이다.

391년(고국양왕 8)에는 임금이 교칙을 내려 ‘불법(佛法)을 숭신(崇信)하여 복(福)을
구(求)하라’ 하며 더욱더 불교를 장려하였다. 여기에서 불법(佛法)이란 인과응보 (因
果應報) 적 상대성 세계관을 깨달아야 한다는 의미이고, 숭신(崇信)이란 숭심신신 (崇
心身信) 즉 몸과 마음으로 믿고 받들어 수행하면 복이 있다는 수복(修福)적 의미의 교
시이다. 맹목적인 기복이 아님을 알 수 있다.

2. 백제

백제는 고구려보다 12년 뒤인 384년 (침류왕 1)에 불교가 전래되었다. 인도의 고승 마
라난타(摩羅難陀)가 동진(東晋) 으로부터 바다를 건너서 서울인 광주(廣州)의 남한산으
로 들어오자 왕은 그를 궁안에 머물도록 하였고, 그 이듬해 10명의 백제인을 출가시켜
승려로 만들었다. 526년(성왕 4)에는 인도에서 귀국한 겸익(謙益)을 맞이하여 불교가
크게 발전하였다.

3. 신라

신라의 불교수용은 순탄하지 않았다. 신라가 고구려의 세력을 배경으로 발전하고 있었
던 눌지마립간 때에 고구려로부터 묵호자(墨胡子)가 신라의 서북경 지방인 일선군 (一
善郡:善山)에 들어와 모례(毛禮)의 집에 기숙하면서 불법(佛法)을 전하였으며, 모례는
신라인으로서 최초의 신도가 되었다. 그때 중국의 사신이 향(香)을 가지고 왔으므로 묵
호자가 나아가 분향예불(焚香禮佛)하는 법을 가르치고 공주의 병을 완쾌시킴으로써 신
라왕실에서도 불교를 알게되었으나 별로 신도를 얻지 못하였다. 그뒤 소지마립간 때에
고구려에서 아도(阿道)가 들어와서 불법을 전도한 뒤로 신봉하는 자가 늘어났다. 신라
에 왔던 이 아도는 고구려에 왔던 중국승 아도와는 동명이인(同名異人)이며, 아도라는
이름은 머리가 없는 자라는 뜻으로 삭발승을 가리키는 일반명사로 보고있다. 그뒤에도
신라왕실은 불교공인을 위하여 노력하였으나 씨족중심 귀족들의 끊임없는 반대로 인해
실패로 돌아갔다. 그러나 그 씨족적 기반을 억누르고 중앙집권적 국가를 확립하고자 했
던 왕실파(王室波)들은 법흥왕을 중심으로 불교를 새 지배체제의 구축을 위한 정신적
지주로 삼아서, 왕법(王法)과 불법(佛法)을 동일시하고 부처님의 위력을 왕의 위력으
로 대치하여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570년(법흥왕 7)에 율령(律令)을 반포하여 국가조직에 관한 정비를 일단락지은 법흥왕
은 527년에 이차돈(異次頓)의 순교(殉敎)를 계기로 배불파(排佛派)를 제압하고 불교국
교를 선포하였으며, 529년에는 영을 내려 살생을 금하도록 하였다. 이차돈이 순교한
지 7년 뒤에는 그가 절을 만들고자 했던 천경림(天鏡林)에 신라 최초의 절인 흥륜사(興
輪寺)를 창건하였고, 법흥왕은 왕위를 진흥왕에게 물려주고 스스로 승려가 되어 법공
(法空)이라고 불렀다. 이때의 불교는 ‘선행수복(善行受福)의 불교’ ‘인과응보적 권
선징악의 불교’였으며 고구려와 같이 토속신앙과 자연스럽게 혼합되었다.

* 불교의 대중화

원효의 정토사상, 즉 죽어서 서방극락정토에 날 수 있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한 불교의
대중화는 처음 불교가 왕권의 강화를 목적으로 한 왕실, 귀족 중심에서 서민 중심, 관
념적 불교에서 다시 생활 불교로 전이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대중화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셔요

자세히 알려주세욥~^^ 한국의 불교 전래 한국의 불교는 인도나 중국불교의 단순한... * 불교의 대중화 원효의 정토사상, 즉 죽어서 서방극락정토에 날 수 있다는 믿음을...

불교대해서 알려주세요~

불교의 배경과 발달사, 근본적인 사상을 자세히알려 주세요~ 궁금 합니다.. *** 부처님 탄생 당시 사회적 배경... 지어 불교의 대중화를 꾀하는 한편 통일불교 창조에 정력을...

불교의 발생과 발전의 대해서

불교의 발생과 발전의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실분계신가요? A4용지 4장이상 정도... 사상을 도입하고, 영지주의의 "깨달음(앎, 그노시스)을 통해 해탈(구원)" 사상을 도입하게...

삼국의 불교대해서 간단명료하면서도...

... 불교대해서 좀 자세하면서도 알아보기 쉽게 알려주... 것을 자세히 배워가지고 돌아왔는데, 그가 관심을... (佛國土信仰)의 대중화를 꾀하였다. 호국의 불사 중 대표적인...

차이점에 대해서알려주세요 ^^

... 대해서알려주세요.. 제가 대충 알기론 브라만교는 카스트제도 때문에 평등하지 않지만.. 불교는 평등한걸로 알고 있는데.. 이밖에도 다른 것이 있으면 좀 자세히...

불교의 역사와 사상에 대해서 ....

불교가 처음 생겼을때부터 사상의 발전과정에대해서알려주세요~ 복잡한 내용은 안적어주셔도 되구요 대충... 지어 불교의 대중화를 꾀하는 한편 통일불교 창조에 정력을...

원효에 대하여 알려주셔요.

원효에 대하여 알려주셔요. 원효 [元曉] 신라의 승려로 일심(一心)과 화쟁(和諍) 사상을 중심으로 불교의 대중화에... 원효가 남긴 저술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견해가 다르지만...

원효의 불교 사상과 그 핵심을 자세히...

자세히 몰라서 좀 잘아시는 분 정확하게 설명좀...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업적의 핵심은 '불교의 대중화'에... 원효의 만년에 대해서는 역시 자세한 자료가 없다. 다만 보살행...

불교의 유래에 대해서 알려주세용...

... 이 도입되어 발전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선종은... 대중화를 꾀하는 한편 통일불교 창조에 정력을 쏟았다. 의상과 원효는 그 학통이 중국과 일본에도 널리 알려졌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