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2 생윤 도가 윤리적 접근

고2 생윤 도가 윤리적 접근

작성일 2024.04.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생윤 도가윤리에서 도가 윤리는 '무위의 다스림이 이루어지는 소국 과민을 이상 사회로 본다'는데 무위라는게 직위 같은게 없음을 의미하는? 무위를 뜻하는 건가요?? 여기서 '무위'가 무엇을 뜻하는지 모르겠어요


#고2 생윤 문제집 추천 #고2 생윤 #고2 생윤 교과서 #고2 생윤 기출문제 #고2 생윤 모의고사 #고2 생윤 문제 #고2 생윤 기출 #고2 생윤 등급컷 #고2 생윤 문제 pdf #고2 생윤 정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무위(無爲)의 궁극적인 뜻은 마음(사념,자아,에고,거짓 나)이 완전히 사라져서 저 너머(피안,열반,불성,본래면목,도,진리)에 도달한, 깨달은 존재로부터 나오는 마음(자아,에고,거짓 나)의 작위 없는 행위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도가의 노자와 장자 또한 석가모니 처럼 깨달음에 든 존재입니다.

<달마어록 중에서>

​마음이 움직임을 멈출 때 그것은 열반으로 들어간다.

열반은 바로 텅 빈 마음이다.

이 무심(無心)을 아는 것이 곧 부처를 보는 것이다.

마음이 일어나지 않음은 피안(彼岸)에 다다른 것이다.

그대의 내면에서 마음이 일어나지 않을 때 바깥 세계도 생겨나지 않는다.

바깥 세계와 마음이 둘 다 사라질 때 그것이야말로 참된 견해이다.

그대의 마음은 본래부터 텅 비어 있다. 모든 형상들은 환상일 뿐이니 그 형상에 집착하지 말라.

모양에 집착하지 않으면 그대는 모든 장벽을 넘어갈 것이다.

"만일 누군가가 깨달음에 이르고자 결심했다면 그가 수행할 수 있는 가장 본질적인 방법은 무엇입니까?"

가장 본질적인 방법은 다른 모든 방법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것은 곧 마음을 지켜보는 것이다.

마음을 이해하는 사람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깨달음에 이른다.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은 무슨 수행을 하더라도 헛된 것이다.

열반의 영원한 축복이 마음이 쉬는 데서 나온다.

삼계에 태어나는 윤회도 이 마음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마음은 모든 세계로 들어가는 문이다.

마음 없음이 곧 모든 것이고, 적멸(寂滅)이 곧 마음 없음임을 알아라.

​이 마음(=무심)은 불법의 본성으로 불린다.또한 이 마음은 해탈로 불린다.

그것은 생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존재이며,신성한 자아이며,불멸이고 위대한 성자다.

인연의 조건에서 벗어난 그대 본성의 실체가 바로 마음에 의해서 전달되는 것이다. 그대의 마음이 바로 열반이다.

그대가 마음을 벗어나 부처나 깨달음을 찾는다면 그런 곳은 존재하지 않는다.

경전에 이르기를 "사람은 항상 자신 속에 부처의 본성이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고 했다.

마하가섭도 오직 자신의 본성을 깨달은 것이다.

모양에 집착하지 않으면 그대는 모든 장벽을 넘어갈 것이다.

머뭇거리는 순간 그대는 마귀의 수하에 떨어질 것이다.

석가모니 부처의 십대 제자 중에서 아난다(Ananda)는 부처의 가르침을 배우고 기억하는데 있어서 제일이었다.

그러나 그는 부처를 알지 못했다. 그가 한 것은 단지 공부하고 기억하는 것이었다.

모든 고통은 부처의 씨앗이다.고통으로 인해 지혜를 찾는 마음을 내기 때문이다.

그대의 마음과 육체는 하나의 밭이다.고통은 씨앗이다.지혜는 그 싹이고 불성은 그 열매이다.

삼 아승지겁은 바로 삼독심에 물든 마음을 말하는 것이다.범어로 아승지겁이란 말은 그대가 셀 수 없이 많다는 뜻이다.

부처가 삼 아승지겁이라고 말한 것은 바로 무수히 많은 생각을 의미하는 것이다.

육바라밀은 여섯 가지 감각을 청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우리가 바라밀이라고 부르는 것은 그대는 '피안에 이르는 방편'이라고 부를 수 있다.

여섯 가지 감각에 낀 때를 벗겨 냄으로 해서 육바라밀은 그대를 집착의 강을 건너 깨달음의 언덕에 이르게 해 줄 것이다.

계(戒), 정(定), 혜(慧), 삼학을 지키는 것은 삼독심을 물리치고 깨달음에 이르기 위한 것이었다.

마음은 모든 세계로 들어가는 문이다.또한 마음은 피안에 닿아 있는 여울이다.

문이 어디에 있는지 아는 자는 그것에 어떻게 이르는 지 걱정하지 않는다.

​​

heal4us.tistory.com

(깨달음과 해탈과 명상과 수행)

생윤 동양 윤리적 접근

생윤 공부 시작한 고2 체대입시생 입니다 생윤 첫부분인 윤리학들의 특징은 문제집의... 동양 윤리적 접근 하려고보니까 무슨말인지도 모르겠고 이 문제집에 개념정리...

생윤 선지 질문드려요

생윤 '동양윤리적 접근' 관련 문제 중 선지에서 '어진사람은 선·악한 사람을 분별없이... 묵자의 주장이라고 적혀있는데 도가의 좌망심재(분별심을 버림)으로 봐도 될까요? 아...

청소년 범죄의 윤리적 관점

... 범죄의 윤리적 관점을 생윤(생명윤리) 측면에서 접근해보겠습니다. 청소년 범죄는 사회적 문제로서 많은 윤리적 고민을 야기합니다. 다음은 청소년 범죄의 윤리적 관점을...

고2 생윤 질문합니다! 전통윤리 뜻이...

... - 중국의 예로는 유교와 도가 무게 중심인 기독교에서 전해지는 윤리적 가치관이 있습니다. - 일본의 예로는 부시도나 삼국지와 같은 역사적 이야기에서 나오는 전투, 지도...

생윤 동양 윤리적 접근

... 다름이 아니라 생활과윤리 동양 윤리적 접근(유교,불교,도가)파트 기출문제를 풀던... 꼭 좀 알려주세요.....생윤 전문가분들 음 올해 생윤 윤사 치는 쌍윤러입니다 일단...

생윤 자연윤리

... 생윤(生悠) 자연윤리는 주로 동양의 유교, 불교, 도가 있는 문화권에서 발전한 철학적인 윤리적 관점을... 따르는 접근 방식을 말합니다. 다른 학자들은 레거니앙...

윤사는 고2때 했구

... 동양/서양 윤리 접근 부분에서 꽤 많이 겹칩니다. 윤리... 그 외에도 겹치긴 하는데, 생윤은 어떠한 윤리적 쟁점에... 해서, 고2 지구과학I이 엄청 쉬워지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

올해 고2 생윤 인강 (급합니다)

인강을 듣는데 학교 교육과정이랑 인강이랑 많이 다르더라구요 '현대 윤리문제에 대한 동양 윤리적 접근' 이라는 파트강의를 듣고싶은데 ebs나 다른 인강을 찾아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