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사 질문입니다.

윤사 질문입니다.

작성일 2023.06.17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부파불교랑 소승불교는 다른뜻인가요?계율해석에 대한 차이로 부파불교랑 소승불교로 나뉜건가요?그런데 부파불고(=소승불교)라고 필기가 되어있는데 이건 같다는 뜻 아닌가요?뭐가 맞는건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부파불교와 소승불교는 조금은 다른 내용입니다.

부파불교는 부처님 열반 후 교단이 분열된 것을 말합니다.

부처님 열반 후 100여년이 지난 아쇼카왕 시절에 교단의 분열이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당시까지는 하나의 교단으로 이루어져 내려왔으며 그후 대승불교의 성립에 따라 근본불교로 봄)

분열은 교리문제 등 논쟁으로 인한 것인데 당시 교단은 용상중, 변비중, 다문중, 대덕중 등 네 부류로 나누어 논쟁을 벌이고 있다가 결국 대중부와 상좌부의 두 파로 분열되었습니다.

이를 근본분열이라 부르며 이후에도 논쟁이 있을 때마다 서로 다른 견해를 갖고 분열되었는데 지말분열이라 합니다.

결국 대중부는 네 번의 분열로 8개 부파가 성립되었고 대중부를 포함하여 본말 9부파라 부르게 됩니다.

상좌부도 7번의 분열로 11개의 지말 부파로 나누어집니다.

따라서 총 20개의 부파로 나누어지는 부파불교시대가 있게 됩니다.

이는 많은 일반 대중들과는 괴리 현상이 생기면서 훗날 대승불교운동 발생에 영향을 주게 되었습니다.

물론 대승불교의 입장에서 이러한 불교의 교리로 인한 분열이 된 당시의 교단을 소승불교로 비판하기는 했으나 그것은 자신들의 논리를 합리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부파불교랑 소승불교는 다른뜻인가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부파불교=상좌부와 대중부

부파불교를 대승불교도들이 소승이라 부른 것

계율해석에 대한 차이로 부파불교랑 소승불교로 나뉜건가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계율문제로 갈라진 것이 부파불교=상좌부와 대중부

부파불교(상좌부와 대중부)를 대승불교들이 소승이라 부른 것

근본분열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나. 제2회 결집 ③ / 근본분열(根本分裂)과 20부파(部派)

나. 제 2 회 결집 ③근본분열(根本分裂)과 20부파(部派)대중들은 이 말을 듣고 대경실색하고 "너의 말은 불교가 아니다" 하고 가부의 논쟁이 극심히 일어났다. 특히 상좌부 계통의 장로들은 대천의 이 다섯 가지 일을 터무니 없는 것이라고 규정지어 일고(一考)의 가치도 없는 외도의 나쁜 소견이라 단정했다. 그리하여 가부(可否)가 결정되지

cafe.daum.net

근본분열의 원인은 대천이라는 비구가 아라한의 경지에 관하여 밝힌

다섯 가지 견해에 대한 대립(大天의 五事)에 의한 것이라 한다.

다섯 가지 견해는 다음과 같다.

1. 여소유(余所有) ; 천마에게 유혹당할 때는 아라한일지라도 더러움이 새어나갈 때가 있다.

2. 무지(無知) ; 아라한에게도 무지는 있다.

3. 유예(猶豫) ; 아라한에게도 의문이나 의혹은 남아있다

4. 타령입(他令入) ; 자신이 아라한이 되었다는 것을 타인이 알려줌으로써 아는 경우가 있다.

5. 도인성고기(道因聲故起) ; 도는 소리에 의해 일어난다.

이 五事는 상좌부 교단에서 최고의 깨달음을 얻었다고 생각하는 성자인 아라한을 비방한 것이다.

이 주장에 의해 교단의 화합이 위협받자 당시의 왕(아쇼카왕)이 중재를 위해 집회를 열어주었다.

표결에 의해 다수를 차지한 대천의 무리는 스스로 큰 집단임을 의미하는 대중부라고 자파를 명명하였고,

반면 소수파인 보수적 장로들은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기로 공포하고 스스로를 상좌부라 칭하였다고 한다.

근본분열에 의해 한번 갈라진 교단은 다시 그 내부에서 분열을 계속하여

20개의 부파로 분립하게 된다.

이를 지말분열(枝末分裂)이라 하는데

이렇게 원시(초기)교단이 상좌, 대중의 두 부파로 분열한 이후의 전통적인 교단의 불교를 부파불교라 한다.

부파불교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상좌부와 대중부로 나뉜 근본분열 후 약 200년 동안에 걸쳐

상좌부와 대중부 모두에서 부파적 분열이 거듭되어

총 20부로 나뉘었는데 이것을 지말분열이라하고

각 부파는 붓다의 가르침을 정리 · 분류하고, 각기 독자적인 "경(經)"과 "율(律)"을 전하였다.

또한 이와 동시에 경과 율을 해석 · 연구하여 조직 체계화하는 학문을 발달시켰는데

경과 율의 주석에 치중하였기에 아비담마불교라 하며

이 과정에서 붓다의 가르침이 왜곡되었다

대승불교운동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부파불교(아비담마)에 의한 가르침의 왜곡을 바로잡고

붓다의 근본 가르침으로 돌아가자는 운동

특히 상좌부인 설일체유부의 법유 주장을 비판한

제법은 실체가 없다는 (空,연기) 용수의 중론과

제법은 마음에서 생겨난(연기와 연생의 법) 업식(業識)이라는 세친의 유식(만법유식,유식무경)

대승불교의 대표적인 교리

상좌부는 미얀마를 중심으로 한 동남아에

대중부는 중앙아시아와 동남아

대승불교는 선종위주의 북방불교에 전승되었으며

남방불교던,북방불교를 막론하고

석가모니 (불보살)를 신격화하여

기도,불공하며 복과 내세(극락왕생)를 바라는

샤머니즘에 오염된 기복불교는 불교 아니고 불교를 사칭하는 것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불교가 생기고 300년쯤 지나나

전통을 그대로 이어가는 테라와다(상좌부, 장로부)라고 있었읍니다

부처님 생전에 하던 방식을 유지 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힌두교나 이슬람이 권력을 잡자 불교를 무자비하게 탄압하고 스님을 죽임을 당하죠

윤회를 믿으면 안죽이고 안 믿으면 죽이죠 (금강경에는 몸이 갈갈이 찟어져도 반감을 품지 않는다 라고 되어 있죠)

그래서 수십개의 부파불교가 생깁니다

(부처님은 깨달았으면

혼자서 가라

둘이 같이 가지 마라

세상에 원하는 사람에게 전하라

나름대로 깨달은 것을 전하므로 수많은 부파가 생기겠지요

판별법은 8정도 12연기 3법인 4성제 가 있으면 불교라고합니다)

그중 가장 대승부 부파불교가 만들어지면서

힌두교 신들을 불교로 개종시키고 많은 사람을 구제(대승)이라하면서

다른 부파불교는 소승이야라고 폄훼한것

대표적인 것이

관자재(힌두교신)보살이 깨닫는다는 반야심경입니다

부처님은 역사적 실존했던 분이지만 관자재는 개념적으로 모든 것을 보살피는 분이라는 개념적인분이죠

32 부파불교에 소승불교는 없고

대승불교가 다른 부파불교를 소승불교라고 한것

나는 이런 사람이고 니네는 그런 사람이라는 것이므로 갈라치기 하는 소승을 쓰면안됨

대승불교적 개념은 이해하지만 이렇게 받아들이면 안되는 것

마하야나(대승)은 있지만 히야야나(소승)는 없음

만일 이렇게 가르치면 반박해야합니다

분명 남방의 불교는 테라와다이므로 장로게 부파불교라고 해야합니다

불러달라는대로 부르는 게 맞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부파불교랑 소승불교는 다른뜻인가요?

=> 부파불교는 석가모니 사후 100년~400년 사이 20여개로 교단이 분열될 때의 불교를 말하는데,

소승불교(상좌부불교)도 20여개 교단 중 하나입니다.

계율해석에 대한 차이로 부파불교랑 소승불교로 나뉜건가요?

=> 계율해석 문문제는 제2차 결집 이후 제3차 결집 때 마무리됩니다.

분파가 된 이후는 밥그릇 싸움때문입니다.

아래 참고바랍니다.

[불교 타 종교 혼합]

석가모니는 그 제자들의 신분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을 따르는 이들 모두를 동등하게 대함으로써 브라만교의 신분제도인 카스트에 반발하며 평민과 천민 계층의 지지를 받게 된다. 그로 인해 석가모니의 제자들은 평민과 천민 계층의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기원전 3세기 마우리아제국의 아소카 왕에 의해 초기불교가 급성장하게 되고, 기원후 2세기 쿠샨제국의 카니슈카 1세 왕에 의해 대승불교가 급성장하게 되나, 이후 굽타제국에서 힌두교를 국교로 받아들임으로써 초기불교와 대승불교는 인도지역 바깥으로 내몰리게 되자 각 지역이나 국가로 전파되면서 그 지역의 각종 무속신앙을 받아들이게 되고 각종 종교와 혼합하게 된다.

​초기불교*⇒부파불교**⇒소승불교***(남방불교, 상좌부불교****)

⇒대승불교(북방불교)

​힌두교=브라만교+인도무속신앙

초기불교=조로아스터교+브라만교+영지주의

대승불교=초기불교+석가모니 신격화

인도대승불교=대승불교+힌두교+인도무속신앙

티베트불교=인도대승불교+뵌교(티베트무속신앙+마니교)

중국불교=티베트불교+마니교+경교+중국무속신앙

=인도대승불교+마니교+경교+중국무속신앙

​한국불교=중국불교+한국무속신앙

=조로아스터교+브라만교+영지주의+힌두교+뵌교+마니교+경교+석가모니신격화+인도무속신앙+티베트무속신앙+중국무속신앙+한국무속신앙

*초기불교 : ⸢근본불교⸥라고도 하며, 석가모니 사후부터 약 100년간 석가모니의 가르침과 승가의 규율 등 불교의 공통적 가르침을 따르던 시기의 불교

**부파불교 : ⸢원시불교⸥라고도 하며, 석가모니 사후 약 100년∼400년간 20여개의 교단으로 갈라진 시기의 불교

***소승불교 : 대승불교에서 상좌부불교를 낮추어 부르는 명칭

****상좌부불교 : 팔리어로 된 불전을 경전으로 하며, 초기불교의 전통을 계승한 불교

[석가모니 사기질]

석가모니의 사기행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불전 <구사론> <장아함경 세기경>에는 해가 지구를 돈다는 천동설 주장

☞ 지구가 해를 돌기 때문에 석가모니의 사기질

● 불전 <장아함경 세기경>에는 해와 달이 네모나게 생겼다

☞ 천안을 가진 자들이 해와 달을 보더라도 해와 달은 동그랗게 생겼기 때문에 석가모니의 사기질

● 불전 <구사론> <장아함경> 등에는 수미산을 세 개의 바퀴(륜)가 떠받치고 있다.

☞ 수미산이나 지구를 떠받치는 바퀴가 없기 때문에 석가모니의 사기질

● 불전 <구사론> <장아함경> 등에는 지구보다 큰 네모난 수미산이 지구에 있다.

☞ 지구보다 150배나 더 크고, 네모난 산이 지구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석가모니의 사기질

● 불전 <아비달마구사론> <장아함경> 등에는 산 아래 땅속에는 지옥이 있고, 땅 위에는 사람이 살고, 산 위 정상에는 제석천이 살고, 산 위 하늘에는 천상세계인 불국토가 있는, 사후세계인 수미산이 지구에 있다.

☞ 지구보다 150배나 더 크고, 지구에서 달까지 37번을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높이의 네모난 산이 지구에 없기 때문에 불교의 사후세계는 석가모니의 사기질

● 불전 <사문과경>에는 해탈하여 보살이나 부처가 되면 초능력을 가진다.

☞ 인간의 육체는 물질로, 아무리 깨달았다 하더라도 물리학 법칙을 초월하여 초능력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석가모니의 사기질

● 불전 <아함경>에는 고통과 괴로움에서 벗어나 해탈할 수 있다.

☞ 석가모니 자신도 고통과 괴로움 속에 식중독으로 죽었기 때문에 석가모니의 사기질(대반열반경)

● 불전 <아함경>에는 윤회한다.

☞ 윤회는 논리적으로 틀렸음. 해탈하여 극락에 가는 존재는 윤회를 하지 않으므로 윤회를 하는 존재는 갈수록 작아져 이 세상에서 살아가는 생물체의 수가 점점 작아지다가 언젠가는 단 하나도 없어야 함. 결국 윤회는 모든 동식물 멸종한다는 것. 그러나 공룡과 같이 개체의 멸종이 있어서는 안 됨. 왜냐하면 다른 개체가 업보에 의해 공룡으로 다시 태어나야 하는데 태어나지 못했으니까 석가모니의 사기질

[석가모니 지구보다 더 큰 네모난 수미산 주장]

석가모니는 <불설장아함경 세기경 삼재품> <장아암경 염부제주품> 등에서 "수미산의 높이가 수천만 km, 가로와 세로가 각각 수백만 km인 사각형 산이 지구에 있다"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지구에서 달까지 37번을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높이와, 지구 직경보다 150배나 더 크고 네모난 산은 지구에 존재하지 않으며, 우주에서 지구를 들여다봐도 그런 수미산은 보이지 않습니다.

※ 60만 8천 유순 = 608,000유순*60리/유순*0.39km/리 = 14,227,200km

※ 8만 4천 유순 = 84,000유순*60리/유순*0.39km/리 = 1,965,600km

※ 지구에서 달까지 거리 : 383,000km

※ 지구 직경: 12,756km

석가모니는 자신이 태어난 네팔 지역을 벗어난 적이 없었으니, 지구가 얼마나 큰지, 바다가 얼마나 깊은지, 성층권까지의 높이가 얼마가 되는지를 몰랐을 것입니다. 히말라야산맥의 큰 산을 보고 수미산이란 것을 상상했다고 할 수밖엔 없는데, 그 허풍이 너무 과도하여 지구보다 더 큰 산이 있다고 주장한 것입니다.

만약 석가모니가 우주 만물의 이치를 깨달은 부처이거나 혹은 신이라면, 멍청해도 이렇게 멍청한 부처나 신은 없을 것이고, 석가모니가 얘기하는 사후세계와 우주는 그의 망상이자 사기질인 것입니다.

----------------------------​

어떤 인연으로 수미산이 있는가? 어지러운 바람이 일어나 이 물거품을 불어 수미산을 만든다. 이 산의 높이는 60만 8천 유순이고 가로와 세로가 각각 8만 4천 유순이며, 금ㆍ은ㆍ유리ㆍ수정 네 가지 보배로 이루어졌다​. 무슨 인연으로 네 아수륜의 천궁이 있는가? 그 뒤에 어지러운 바람이 큰 물거품을 불어 수미산 사면에 큰 궁전을 세운다. 이 궁전의 가로와 세로는 각각 8만 유순이며, 저절로 7보의 궁전으로 변화한다. 또 무슨 인연으로 사천왕의 궁전이 생기는가? 그 뒤에 어지러운 바람이 큰 바다의 물거품을 불어 수미산 중턱 4만 2천 유순쯤 되는 곳에 저절로 7보 궁전을 변화로 만든다. 그러므로 사천왕의 궁전이라고 한다. 무슨 인연으로 도리천의 궁전이 생기는가? 그 뒤에 어지러운 바람이 큰 물거품을 불어 수미산 위에 저절로 7보의 궁전을 변화로 만든다.

以何因緣有須彌山?有亂風起,吹此水沫造須彌山,高六十萬八千由旬,縱廣八萬四千由旬,四寶所成,金、銀、水精、琉璃。以何因緣有四阿須倫宮殿?其後亂風吹大海水吹大水沫,於須彌山四面起大宮殿,縱廣各八萬由旬,自然變成七寶宮殿。復何因緣有四天王宮殿?其後亂風吹大海水沫,於須彌山半四萬二千由旬,自然變成七寶宮殿,以是故名爲四天王宮殿。以何因緣,有忉利天宮殿?其後亂風吹大水沫,於須彌山上自然變成七寶宮殿。​

출처: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세기경 삼재품

"한 일월이 4천하를 두루 다니면서 광명을 비추는 바 이와 같은 천 세계가 있다."

"그 산은 꼿꼿이 올라 굽은 곳이 없다. 그것은 온갖 나무가 나고 나무는 뭇 향기를 내며 향기는 산림에 퍼져 있다. "

출처: 장아함경 염부제주품, 세기경 세본연품, 아비달마구사론

윤사 질문입니다.

부파불교랑 소승불교는 다른뜻인가요?계율해석에 대한 차이로 부파불교랑 소승불교로 나뉜건가요?그런데 부파불고(=소승불교)라고 필기가 되어있는데 이건 같다는 뜻...

윤사 루소 질문

윤사에서 루소는 사유재산으로인해 사회적 불평등이 많이 발생하여 개인의 권리를 공동체에 양도하였다고하셨는데, 루소는 또 인간의 주권은 양도할수없다고하는데 둘에...

윤사질문

2.6.8 틀린이유 알려주세요..ㅠ 흄은 이성은 감정의 노예이다. 라고 말할 정도로 감정을 이성보다 우위에 두었습니다. 2번의 경우 덕에 대한 식별, 즉 덕과 악덕의 구분은...

생윤 동사 vs 생윤 윤사

... 안녕하세요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윤사 추천드립니다. 생윤 배우면 윤사는 비교적 쉽게 배울 수 있어요. 이건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난이도 자체도 저는 윤사가 더...

2022 고3 10월 모고 윤사

윤사 질문이요. 2번 선지가 왜 틀린거죠? 갑의 원전에 신에게 사랑을 많이 받을 것 이라는 함정 때문에 스토아학파라고 생각하신거같은데 “행복이란 덕을 따르는 정신의...

윤사 질문

맹자는 사단을 확충하면 사단이 된다고 교과서에 나와있고, 이황과 이이는 사단을 확충함으로서 사덕이 형성된다고 보지 않는다고 교과서에 나왔는데, 셋 다 사단과 사덕이...

아리스토텔레스 윤사 질문

아리스토텔리스는 좋음 자체가 좋은 것에서 분리 불가능이라고 주장하고, 또 한편으로는 좋음자체보다 인간이 성취할 수 있는 좋음에 대한 앎이 중요하다고 하였는데(수능특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