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유관에서 사문이 상징하는 의미가

사문유관에서 사문이 상징하는 의미가

작성일 2023.04.04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사문유관에서 사문이 상징하는 의미가 무엇인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불교에 입문하여

좋은일을 행하고, 나쁜일을 하지 않으며,

깨달음을 추구하는 사람을 사문이라 합니다.

나한전 응진전 오백나한전 :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자중에서 아주 뛰어난 아라한과를 얻은 나한(아라한의 약칭으로, 성자라는 뜻)을 모신 전각인데,가운데 석가모니부처님, 좌우에 아난존자와 가섭존자를, 그 좌우에 16나한을, 그 끝부분에 범천왕과 제석천왕을 모신다.

이들은 공양을 받을 충분한 자격을 갖추었고, 사람들을 진리로 이끌 충분한 능력이 있다고 하여 응진전이라고도 한다. 이들은 중생에게 복덕을 성취하게 하고, 정법으로 인도하겠다는 서원을 세운 성자들로서 많은 영험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오백나한전은 석가 삼존을 중심으로, 아라한과를 얻은 5백나한을 모신 전각이다. 이 오백나한은 각기 다른 모습을 하고 있는데, 중생에게 복덕을 주고 소원을 성취시키는 독특한 능력과 높은 영험이 있다고 한다.

알려진 영험한 나한 기도처 ~ 나한전, 응진전에서 기도한다. 16나한전에는 "십육성중", 오백나한전에는 "제대성중"이라 부르며 기도하고, 대웅전의 중단에 계시는 화엄신에게 기도할 때에는 "화엄성중"이라 부르며 기도함. 공물은 쌀등 일반적 공물 뿐만 아니라, 생수, 사탕, 빵등을 올리기도 한다.

안성 칠장사 ~일곱 나한의 가피로 유명하며, 꿈속에서 나한을 뵙고, 과거 시제를 받아, 장원급제 하였다는 어사 박문수의 설화가 있다(따라서 특히 학업성취 기도처) ② 영천 거조암 영산전 (국보 14호) ③ 과천 관악산 연주암 연주대의 응진전(약사 기도는, 바로 옆의 마애 약사 여래불)

경주 기림사 나한전서울 북한산 문수사 ~태고 보우국사가 득도했다는 문수사​는, 문수굴의 나한 기도 뿐만 아니라, 문수보살 기도처 ⑥ 제천 와룡산 고산사 (응진전 석조 나한) ⑦ 칠곡 도덕산 도덕암서귀포시 약천사봉화 청량산 청량사 응진전 (청량사의 유리광전은 영험 약사기도처) ⑩ 군산 취성산 상주사(석조 16나한상) ⑪ 강화도 보문사 "나한굴"의 나한기도 ⑫ 산청 중산리 지리산 반야-사~산신각에 달마대사의 스승으로 알려진, "반야다라"존자의 석불을 모신, 나한기도 영험한 성취명당으로 알려져 있다.

울진 불영사 응진전(보물 730호)~인현왕후가 곧 복위될 것이라는 불영사 스님의 꿈을 꾸고, 왕후에 복귀하였고, 그 사유를 쓴 상량문 원본이 발견 됨. 불영사의 "황화실"전각은 일명 "환생전"이라 불리는데, 그 전각안에는 1396년 울진 현령인 "백극재"가 죽었다가, 부인의 간절한 기도로 3일만에 살아났다는 것을 기록한 "환생전기 현판"이 있다. 그외 여러 나한기도 영험사례가 전해진다.

속초 설악산 계조암 나한 석굴 ~ 고승들의 수행처인 나한석굴(입구에, "신통제일나한석굴"이라 되어 있음)과 함께, 이곳의 삼성각은 나반존자 영험 기도처로 알려져 있다. ⑮ 함양 금대암 나한전

도봉산 망월사 영산전 ~ 신라선덕여왕 8년(639년) 해호화상이, 신라왕실의 융성을 기원하며 창건하였으며, 1066년 고려시대 혜거국사가 중창하였다. 신라말 경순왕의 태자인 마의태자가 이곳에 은거하였다고 전해진다. 망월사 문수굴과 영산전은 한가지 소원은 꼭 들어준다고 소문 난, 영험한 나한 기도처로서, 매년 봄, 가을 2차례에 걸쳐 철야 기도를 봉행하고 있다. 영산전 좌측으로 가면, 명당자리에 경기도 지방문화재 122호의 혜거국사탑이 있다.

망월사는 경기도 지방의 “선”기도 사찰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재가 불자를 위하여, “선’수행 지도법회를 수시로 열고 있다. 전각의 명칭은 특이하게, ​동방 약사불, 중앙 석가불, 서방 아미타불의 삼계불을 모신 전각을, 일반적으로 "대웅보전" 이라 하는데, "고불전"이라 명칭하고 있으며, 관음전을 “낙가보전”이라 현판하였으며, 지장전을 “무설전”이라 현판하였다. 무설전 현판 밑의 “망월사” 현판은 청나라 원세계(위안스카이)의 글씨이다. (망월사 인근 원효사는, 신라 선덕여왕때 원효대사가 한동안 이곳에서 머무르며 수도 했던 곳으로, 원효대사 동상이 있다)

* 남양주 운길산 수종사( 양수리 인근을 지나던 세조임금이, 물방울 소리가 종소리로 울려 퍼진다하여, 절을 중수하고 수종사라는 이름을 내림) * 용인 용덕사(용굴을 세번 오르내리며, 기도하면 소원을 이루어 준다는 전설) *양주 도봉산(오봉산) 석굴암 나한전 (특이하게 칠성전의 나반존자를, 나한전에 모신, 영험한 나반존자 기도처)* 광주 증심사 오백나한전 등등

영산전 팔상전 :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여덟시기로 나누어 그린, 팔상탱화를 봉안한 전각을 말함. 천태종사상을 계승한 사찰에서 영산전을 본전으로 삼는 곳도 있기도 함.

조사전 조사당 국사전 : 선종사찰에서 그 종파를 연 조사를 봉안한 곳인데, 조사당이라고도 한다. 조사당이 없는 사찰에서는 영각을 지었고, 국사를 배출한 사찰에서는 국사전을 짓기도 했다. 송광사 국사전에는 고려시대부터의 16국사의 영정을 봉안하고 있다.

교종은 소의경전을 근거하는데, 선종은 이심전심 심법에 의지한다. 이러한 심법은 서로의 마음과 마음으로 깨달음의 정도와 그 경계를 증명하고 이를 인증받게 된다. 이러한 깨달음의 가르침을 주신 스승에 대한 존중으로 부도와 탑비외에 조사전과 영각을 세워 이를 기리게 됨.

염화미소~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을 말하며, 이심전심을 상징하는 말이다. “대범 천왕문 불결 의경”에 나오는 내용에서, 부처님이 영산회상에서 대중에게 설법을 하시기 전에, 아무런 말없이 연꽃 한송이를 들어 보이셨다는 것이다. 무슨 영문인지를 몰라 대중들이 어리둥절하였는데, 유독 “가섭존자”만이 미소를 지었다는 것이다.

즉, 스승과 제자가 아무 말없이, 꽃과 미소만으로 이심전심의 소통을 하였다는 것이었다. 가섭의 미소를 본 부처님은, “내게는 바른 법을 꿰뚫어보는 눈, 현묘한 마음, 겉모습을 벗어난 진실한 모습, 미묘한 법문이 있다”고 말하며, 이것을 문자에 의존하지 않고 전하니, 이것을 “마하가섭”에게 부촉(부탁)하노라”하셨다. 선종에서는 “염화미소”로 상징되는, “이심전심”을 전법의 상징이 되는, 조사법통의 근거로 삼고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블로그 참조

불교사찰과 불교기도문 불교의 진언 부처와 보살의 모습 ~블로그 바로가기

https://blog.naver.com/andsing/221955604245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동문 서문 북문 남문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동서남북 4개의 문을 말합니다.

보명님께서 아주 간단하게, 핵심만 올려 주셨네요.

https://blog.naver.com/magpro3/

[석가모니 사기질]

석가모니의 사기행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불전 <구사론> <장아함경 세기경>에는 해가 지구를 돈다는 천동설 주장

☞ 지구가 해를 돌기 때문에 석가모니의 사기질

● 불전 <장아함경 세기경>에는 해와 달이 네모나게 생겼다

☞ 천안을 가진 자들이 해와 달을 보더라도 해와 달은 동그랗게 생겼기 때문에 석가모니의 사기질

● 불전 <구사론> <장아함경> 등에는 수미산을 세 개의 바퀴(륜)가 떠받치고 있다.

☞ 수미산이나 지구를 떠받치는 바퀴가 없기 때문에 석가모니의 사기질

● 불전 <구사론> <장아함경> 등에는 지구보다 큰 네모난 수미산이 지구에 있다.

☞ 지구보다 150배나 더 크고, 네모난 산이 지구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석가모니의 사기질

● 불전 <아비달마구사론> <장아함경> 등에는 산 아래 땅속에는 지옥이 있고, 땅위에는 사람이 살고, 산 위 정상에는 제석천이 살고, 산 위 하늘에는 천상세계인 불국토가 있는, 사후세계인 수미산이 지구에 있다.

☞ 지구보다 150배나 더 크고, 지구에서 달까지 37번을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높이의 네모난 산이 지구에 없기 때문에 불교의 사후세계는 석가모니의 사기질

● 불전 <사문과경>에는 해탈하여 보살이나 부처가 되면 초능력을 가진다.

☞ 인간의 육체는 물질로, 아무리 깨달았다하더라도 물리학 법칙을 초월하여 초능력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석가모니의 사기질

● 불전 <아함경>에는 고통과 괴로움에서 벗어나 해탈할 수 있다.

☞ 석가모니 자신도 고통과 괴로움 속에 식중독으로 죽었기 때문에 석가모니의 사기질(대반열반경)

● 불전 <아함경>에는 윤회한다.

☞ 윤회는 논리적으로 틀렸음. 해탈하여 극락에 가는 존재는 윤회를 하지 않으므로 윤회를 하는 존재는 갈수록 작아져 이 세상에서 살아가는 생물체의 수가 점점 작아지다가 언젠가는 단 하나도 없어야 함. 결국 윤회는 모든 동식물 멸종한다는 것. 그러나 공룡과 같이 개체의 멸종이 있어서는 안 됨. 왜냐하면 다른 개체가 업보에 의해 공룡으로 다시 태어나야 하는데 태어나지 못했으니까 석가모니의 사기질

[대승불교 사후세계는 사기다]

불교의 사후관은, 이승의 중생들과 저승의 죽은 자들이 함께 살아가는 곳이 <수미산>으로, 대승불교의 불전에는 <수미산>이 구체적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즉 수미산 아래의 땅속에는 지옥이 있고, 땅 위에는 사람이 살고, 수미산의 중턱에는 사왕천이 살고, 정상에는 제석천이 살며, 수미산 위의 하늘에는 천상의 세계인 불국토가 있다는 것이 <수미산>인 것입니다.

또한 석가모니는 불전 <아비달마구사론> <장하함경> 등에서 "수미산 아래의 육지에는 사람이 산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중생인 인간이 사는 곳은 지구밖엔 없고, 우주 어느 곳에 생명체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인간이 아니기 때문에 수미산은 반드시 인간이 살고 있는 지구에 존재해야 합니다.

석가모니는 <불설장아함경 세기경 삼재품> <장아암경 염부제주품> 등에서 "수미산의 높이가 수천만 km, 가로와 세로가 각각 수백만 km인 사각형의 산이 지구에 존재한다고 합니다.

인공위성과 우주선에서 지구를 바라보며, 지구보다 150배나 더 크고, 그 높이가 지구에서 달까지 37번을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어마어마한 크기의 수미산이, 혹시나 지구에 있지는 않을까 싶어 아무리 찾아봐도 못 찾겠다고 하네요.

도대체 지구보다 150배나 더 큰 수미산이 지구 어디에 숨어 있을까요?

또한 불자들은 <아비달마구사론>에는 '지구'라는 명칭이 나오지 않고, 해와 달이 수미산을 돌고, 네모나게 보이는 것은 우주의 창조 시점이라고 주장하지만 아래의 불전 경율이상(經律異相)에는 창조 시점의 3가지의 재앙이 지나가고, 4가지의 바람에 의해 해와 달, 수미산 등 4천하가 생긴 이후임을 분명히 적시하고 있고, <아비달마구사론> 또한 창조 이후의 상태를 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자들은 어거지를 부리며 무조건 부정하지만 진실을 거짓으로 덮을 수는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지구보다 더 크고, 네모난 수미산이 지구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석가모니가 말한 사후세계는 석가모니의 사기질인 것입니다.

----------------------------

달라이 라마는 2011년에 다람살라에서 태국 불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공개적으로 ‘불교 우주론을 믿지 않는다’고 했다. ‘수미산을 믿지 않는다’고 했다. 오히려 현대과학이 제시하는 우주론을 믿는다고 했다.《구사론》은 해와 달이 지구를 돌고 지구 한가운데에 수미산이 있다고 하지만, 훨씬 더 발달한 현대과학적 우주론을 믿지 구사론적 우주론을 믿지 않는다는 것이다.

출처 : 불교평론(http://www.budreview.com)

주(洲)의 각기 다른 곳이란 4대주(大洲)를 말하는데, 첫 번째가 남섬부주(南贍部洲, Jambudvīpa)이며, 두 번째가 동승신주(東勝身洲, Purvavideha)이며, 세 번째가 서우화주(西牛貨洲, Avaragodnīya)이며, 네 번째가 북구로주(北俱盧洲, Uttarakuru)이다.

言洲異者,謂四大洲:一南贍部洲,二東勝身洲,三西牛貨洲,四北俱盧洲

출처: 아비달마구사론

섬부주에 사는 사람의 신장은 3주(肘) 반 내지 4주이며, 동ㆍ서ㆍ북 주의 사람은 차례대로 각기 두 배씩 증가한다.

贍部洲人量 三肘半四肘 東西北洲人 倍倍增如此

출처: 아비달마구사론

북쪽의 구로주(俱盧洲:Uttarakuru-dvīpa)는 그 형태가 네모진 의자[方座]와 같은데, 네 변의 너비는 동등하여 각기 2천 유선나이며, 둘레의 양은 8천 유선나이다. 여기서 ‘동등하다’고 말한 것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일이 없음을 분명히 밝히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각각의 주(洲)의 형상에 따라 그곳 사람들의 얼굴 모습도 역시 그러하다. 다시 여덟 곳의 중주(中洲)가 있으니, 이는 대주(大洲)에 딸린 권속이다.

盧洲形如方座四邊。量等面各,二千等言。爲明無少增。減隨其洲相。人面亦然復,有八中洲是。

출처: 아비달마구사론

출처: https://kabc.dongguk.edu/

수천억만 년을 지나서 물의 거품이 천차[千第]로 제14천궁과 여러 가지 보배로 변화되고, 물이 점차로 줄며 거센 바람에 불려서 차례로 천하의 모든 하늘과 일월 궁전이 되며, 다음에는 천의 수미산이 되고, 차례로 천의 4천하 땅과 산ㆍ하천ㆍ성곽 및 못이 되기에 이르는데, 이 때에 물이 맑고 깨끗해진다. 거품이 천궁이 되고 뭇 보배로 이루어진 초기에 광명이 가장 훌륭했다가 차츰 덜해지고 점차 흐려져서 모든 하늘 궁전과 7보의 광명이 점차로 낮아지고 떨어진다. 땅이 드러나려 할 적에 물과 모래의 흐름이 급하여 아래로 밀어닥치다가 드디어 하천을 이루고 바다로 흘러 드는데, 바다 깊이는 8만 4천 유순이요, 그 너비는 그지없다.『누탄경』에서는 “깊이는 840만 유순이다”고 하였다.

經數千億萬歲,水上泡沫,化作千第十四天宮,皆悉衆寶。水漸減,隨嵐吹鼓,次第轉作天下諸天及日月宮殿,次作千須彌山,次第乃至千四天下地。山河、城池水上淸潔,初作天宮,衆寶所成。光明最勝,轉減轉濁。諸天宮殿七寶光明,漸下漸劣。地欲露時,水沙流急,隨下爭赴,遂成川河,流入于海,海深八萬四千由旬其廣無邊樓炭經云深八百四十萬由旬

출처: 경율이상(經律異相)

출처: https://kabc.dongguk.edu/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사문유관(四門遊觀)’은 '동, 남, 서, 북'이라는 4방위와 그에 상응하는 노병사(老病死)와 출가행(出家行)의 네 가지 목격담의 이야기입니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향해 나서게 된 의문이 시작된 기록입니다. 왜 인간은 늙고, 병들고, 죽는 고통을 겪어야 하는가?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어야 하겠다고 마음을 먹고 출가를 하시게 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사문, 즉 네 문.

늙은이와 병자와 죽은 이와 수행자를 각각 보았지요?

누구나 태어나면 늙고 병들고 죽는 것을 피할 수 없습니다.

그 외에도 수많은 괴로움을 겪게 됩니다.

그런 것에 얽매이지 않으려면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워 수행해야함을

비유로써 설명한 것입니다.

사문유관에서 사문이 상징하는 의미가

사문유관에서 사문이 상징하는 의미가 무엇인가요? 불교에 입문하여 좋은일을 행하고, 나쁜일을 하지 않으며, 깨달음을 추구하는 사람을 사문이라 합니다. 나한전 응진전...

사문 기능론 선지 질문

... 상징(의미부여)에 의미가 있죠. 그래서 상상론은 가족 문제를 가족 유대 약화로 보지 않고 사람들이 문제로 인식을 하면 가족 문제가 된다고 설명합니다. 개념보다도...

석가모니의 사문사관, 8정도, 사성제에...

... 또는 사문유관(四門遊觀)으로써 설명된다. 팔정도는 팔정도지(八正道支) 또는... 현대적 의미에서의 해탈은 참 자유, 열반은 참 평화라고 할 수 있다. 출처;ste11a님의 글+a

갈등론, 기능론 등 사문

... 이 관점은 사람들이 상징과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와 정체성을 구성하고 협상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육아훈육법이 다른 맥락과 상황에서 다양하고 변화할 수 있다는...

영어로 된 세계사문풀이

... B의 의미에 가까운데 기독교적인 해석(예수님이 달걀 껍질을 깨고 나오듯 죽음을 극복)에 가깝고, 사실 부활절 상징은 토끼가 먼저...

석가탄신일의 의미

선생님께서 석가탄신일의 의미를 알아오라고 했는데 석가탄신일의 의미가 뭔지... 또는 사문유관(四門遊觀)으로써 설명된다. 석가모니는 29세 때 고(苦)의 본질 추구와 해탈...

석가탄신일의 의미는 무엇이죠?

석가 탄신일 의 의미는 무엇이죠? 제발..ㅠㅠ 석가가 탄생한 날. 초파일(初八日)... 또는 사문유관(四門遊觀)으로써 설명된다. 석가모니는 29세 때 고(苦)의 본질 추구와 해탈...

사문 사회문화 상징적 상호작용론

... 주관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주체라는게 전제인데.. 인간이 상징(언어,문자,몸짓,표정 등등)을 사용해 타인과 상호작용을 하고 인간의 일상생활이 상호작용의 연속인건...

석가탄신일의의미

석가탄신일의 의미를 짧게 요약해서 5월 27일 일요일 까지올려주세요.부탁드립니다.... 또는 사문유관(四門遊觀)으로써 설명된다. 석가모니는 29세 때 고(苦)의 본질 추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