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조항 내공300

맞춤법조항 내공300

작성일 2022.05.3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수행평가로 맞춤법 틀린 간판을 조사해왔는데 무슨 맞춤법조항을 틀린건지 궁금합니다! 맞춤법조항과 관련이 없은 단어들은 없다 말해주시면되요!
[틀린 단어]
떡복이
컷트
케익
드라이크리닝
우아하개
리모텔링
커텐
쥬스
랜즈
쭈꾸미
읍니다
돈까스
고추가루
베너
라이타
카다로그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아는 범위 내에서 답변드립니다.

혹시 틀릴지도 모르니 한번 더 검토 해주세요!

떡복이 --> 떡볶이 : 제 19항 어간에 '이'나 '-음'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과 '-이'나 '-히'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설명) 떡볶이는 떡볶이(볶다)이기 때문에 '볶다'의 원형을 밝힌 떡볶이가 맞습니다.

컷트 --> 커트 or 컷 : 제 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설명) 머리 등을 자를때는 커트, 영화 등에서 컷 으로 뜻에 따라서 두가지 표기로 적으며, 외래어 표기법 제 1장 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으로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라는 내용을 따른 것입니다.

케익 --> 케이크 : 제 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설명) 외래어 표기법 제 3장 제 1절 제 1항과 제 8항에 따라 'Cake[Keik]'는 어말의 [k]에 '으'를 붙여 '케이크'로 씁니다.

드라이크리닝 --> 드라이클리닝 : 제 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설명) 외래어 표기는 발음을 바탕으로 표기를 상정하는데 ‘cleaning’의 발음 정보가 ‘[|kli:nɪŋ]’으로 되어 있어 이를 참고로 상정한 부분입니다.

외래어 표기법 영어의 표기 세칙(제3장 제1절) 제6항 2에 따르면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m], [n])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습니다.

우아하개 --> 우아하게

설명) 맞춤법 조항보다는 '-게'의 쓰임이 '앞 내용이 뒤에서 가리키는 사태의 목적이나 결과, 방식, 정도 따위가 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이기 때문에 '우아하게'가 맞습니다.

리모텔링 --> 리모델링 : 제 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설명) 제 2장 표기일람표를 보면 Remodeling에서 [d]는 자음 'ㄷ'와 대조되므로 '리모델링이 맞습니다.

커텐 --> 커튼 : 제 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설명) curtain[kɜr·t̬n]은 발음기호상 으로 [tn]이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 '튼'으로 적는것다 맞습니다.

쥬스 --> 쥬스 : 제 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설명) 'juice'는 그 발음이 [dʒuːs]로 나며, 외래어 표기법 제 3장 제 1절 제 4항 2에 따르면 모음 앞의 [dʒ]는 'ㅈ'으로 적고 국제 음성 기호와 한국 대조표에 따라 'u'는 'ㅠ'가 아닌 'ㅜ'가 되게 됩니다. 따라서 '주스'가 맞습니다.

랜즈 --> 렌즈 : 제 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설명) lens[lenz] 는 제 2장의 표기일람에 따라 국제 음성 기호와 한국 대조표에 따라 'e'는 '에'가 되며, 'æ'는 '애'가 되기 때문에 발음기호 및 대조표에 따라서 '렌즈' 가 맞습니다.

쭈꾸미 --> 주꾸미

설명) 맞춤법 조항보다는 표준어가 '주꾸미' 입니다. 어두에서 된소리로 발음하는 현상 때문에 ‘쭈꾸미’로 잘못 쓰이거나 일부 방언으로 사용됩니다.

읍니다 --> 습니다

설명) 맞춤법 조항보다는 표준어 사정 원칙에 따른 것입니다.

제17항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습니다. ‘-습니다’는 종래 ‘-습니다, -읍니다’ 두 가지로 적고 ‘-습니다’ 쪽이 더 깍듯한 표현이라고 해 왔으나, 이 규정에서는 ‘-습니다’와 ‘-읍니다’ 사이의 그러한 의미차가 확연하지 않고 일반 구어(口語)에서 ‘-습니다’가 훨씬 널리 쓰인다고 판단하여 ‘-습니다’ 쪽으로 통일하였습니다.

돈까스 --> 돈가스 : 제 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설명)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라는 ‘외래어 표기법’ 제1장 표기의 원칙, 제4항에 따라, ‘까’가 아닌 ‘가’를 써서 ‘돈가스’로 적습니다. 또한 ‘돈가스’는 일본어 ‘豚カツ’에서 온 말로서, 관용적인 쓰임을 고려하여 정부언론외래어 심의공동위원회 제7차 회의(1995.05.11)에서 ‘돈가스’로 쓰도록 정하였습니다.

고추가루 --> 고춧가루 : 제4장 형태에 관한 것-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제30항을 보면 사이 시옷 현상에 대해 나와있습니다. '고추'와 '가루'가 결합한 합성어에서 뒷말인 '가루'가 [까루]와 같이 된소리가 되어, 그러한 현상이 나타났음을 사이시옷으로 표시한 것입니다. 사이시옷은 (1) 순우리말 또는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에서, (2)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3)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날 때에 받치어 적습니다.

베너 --> 배너 : 제 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설명) banner[bænə] 의 경우 제 2장의 표기일람에 따라 국제 음성 기호와 한국 대조표에 따라 'æ'는 '애'가 되기 때문에 발음기호 및 대조표에 따라서 '배너' 가 맞습니다(위의 렌즈 와 비교 해보시길 바랍니다).

라이타 --> 라이터

설명) lighter[láitəːr] 의 경우 제 2장의 표기일람에 따라 경우 국제 음성 기호와 한국 대조표에 따라 'ə'는 '어'가 되기 때문에 발음기호 및 대조표에 따라 '라이터'가 맞습니다.

카다로그 --> 카탈로그 : 제 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설명) catalog는 외래어 표기법 영어의 표기 세칙(제3장 제1절) 제6항 2에 따르면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m], [n])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습니다. 또한 국제 음성 기호와 한국 대조표에 따라 't'는 'ㅌ'가 되어 '카탈로그'가 맞습니다.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내공많이걸었어요)

... 저도 이번에 수시를 여러개 써봐서 알지만, 300~600자... 다만 책도 자주 읽으시고, 맞춤법 지식도 숙지하셔야 하며... 금하는 조항이 없었습니다. 2007년 수시나 정시논술에서도...

4학년2학기 국사연표 만들기 좀 (내공...

... 300년 중국의 연(燕)이 요동에 장성을 축성하여... 292년 고구려, 서천왕 죽고(?~), 봉상왕(烽上王) 즉위(~300)... 300년 고구려, 봉상왕을 폐하고 미천왕(美川王)을 세움....

제꿈이형사인데요..^^;

... ㅜㅜ 맞춤법틀려도 쫌 이해해주세요 ^^; 제꿈은 강력반... 내공은 뭘어떻게하는지잘몰라서 ^^ 일단 제가... 불합격되던 조항이 삭제되었다. 최종합격자 최종합격자는...

천주교에 대한 이해

... 내공이 좀올라서 그러기는 합니다만) ============================================================================= 맞춤법 정리와... 대죄냐 소죄냐 하는 것에 대해선 법조항과 같이 뚜렷한...

국사 연표 주제 알려주세요~!

... 감사하겠습니다.내공 20 드리고요 내공냠냠 이라던가 도움 안되는 글은 즉시... 300년 중국의 연(燕)이 요동에 장성을 축성하여 기자조선(箕子朝鮮)과 국경을 삼음....

우리나라 역사연표(주요사건,인물...

... 부탁합니당 ^ㅁ^ 내공 쁠러스 100!!! 한국사 연표 [기원전] 10000년 중석기문화 형성.... 300년 중국의 연(燕)이 요동에 장성을 축성하여 기자조선(箕子朝鮮)과 국경을...

한국의 긴 역사

우리나라의 긴~~~~~~~~역사좀 알려주세요 구체적으로요.내공100!~! 꼭 길게요... 300년 중국의 연(燕)이 요동에 장성을 축성하여 기자조선(箕子朝鮮)과 국경을 삼음. 대동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