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경전은 어떤 형식으로 되있나요?

불교 경전은 어떤 형식으로 되있나요?

작성일 2021.12.31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불교 경전은 일반인은 읽고 알아듣기 힘들정도로 한자어로 기술 되있나요? 그래서 전문가가 해석해줘야되나요? 난하주나 주석이 있어야 읽거나 들을수있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외국어를 알아듣거나 읽으려면 먼저 말과 글을 배워야겠지요

불경의 언어에 대해 여기에 어떤 분이 정리해 두셨네요

요약해보면 한국인이 접하기 쉬운 불경은

빠알리어, 산스크리트어, 한자어, 한글 (영어등 다른 언어로의 번역본도 많이 있습니다)

로 된 것인데

한글로 번역된 불경들이 많으니 먼저 읽어보시면 좋겠구요

뭔가 마음에 차지 않는다면

한글로 번역된 불경의 원본을 읽어보기 위해

해당 언어를 공부하시며 읽어보시면 되겠네요

좀 규모 있는 서점에는 불경들도 많이 있으니

가서 직접 열어보시면 제일 빠르실 것 같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경전은 빨리어나 산스크리트어로 전승되던것이

문자화되고 그것이 번역하는데

산스크리트어로된 것은 페르시아어로 한자로 또 한글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뜻과 소리로 번역되면서 난해하게 번역된 것들이 많습니다

한자를 알아야하고 음사된 것은 원뜻도 알아야하지요

그러나 요즘은 빨리어를 직접 한글로 현대 용어로 본역된 것이 많습니다

아주 쉬워요 아래 예를 들어들이지요

맨 아래 사이트에 가셔서 니까야를 참조하세요

아래를 읽어보고 해보세요

반야심경을 수행을 하는데

제대로 하는 법을 가르쳐드리죠

반야심경은 한번만 읽고 그대로 하는 것

핵심은 "조견오온"인데요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자기 생각을 가지지 않고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것

그렇다면 현상이 일어나면

일어나는구나 하고 있는 그대로 보고 있으라는것

그리고 감정이 일어나면 감정이 일어나는대로 그대로 보는것

이렇게 하는 것을 조견오온이라합니다

모든 현상이 일어나더라도 그대로 보며 알아차리면

모든 현상이 사라집니다

이것을 공이라합니다

조견오온 개공이라고 되어 있지요

읽고 외우고 암송하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해보는 것

자세한 것은 아래 참고

BUDDHA 수행법 BUDDHAPALA저 를 추천합니다

읽기전에 간단히 아래와 같이 해보면서 읽어보셔유

부처님은 법의 상속자가되라 고 강조하셨으므로

부처님이 알려준 방법을 먼저하시고

그것을 가르쳐주는 절에서 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해보세요

갈애로 부터 자유로워지는 것 그것을 해탈이라합니다

갈애가 떠오르면 알아차림하면

생각이 갈애로 부터 알아차림으로 바뀝니다

계속 떠오르면 계속 알아차림하면 안 떠오릅니다

마음이 그게 안되니까

이번에는 다른 것을 가지고 마음을 휘두릅니다

거기에 끌려가면 실력이 올라가지 않죠

원전을 잘 읽어보시고 이해하십시요

마음강화 하는 훈련이 불교 수행법입니다

아래와 같이 열심히 훈련해보세요

(1~5분 해보면 금방 알거예요)

지나간 일들을 생각하면 후회스럽고

미래를 생각하면 두렵고 불안하죠

생각은 꼬리를 물고 끝없이 몰려와요

그래서

현재에 머무르는 훈련을 해야해요

몸을 편안히 한다음 움직이지 말고

눈을 감고

숨이 들어오면 하나

나가면 둘

하나 둘 하나 둘

다른 생각이 들어오더라도 무시하고 또는 빠르게 알아차리고

다시 하나 둘 하나 둘

그렇게 하면 그생각이 안 떠로르죠

그렇다고 기억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예요

생각이 떠오르더라도 귀찬아지지 않아요

느낌 같은것 들더라도 무시하고

계속 하나 둘 하나 둘 하세요

(응용해서 무자화두를 든다면

숨이 들어오면 무, 나가면 무, 무, 무, 무, 무,

생각이 들어오면 무, 나가면, 무, 무, 무 하는 것이죠)

이렇게 하면 세상을 바라보는 눈 마음의 변화가오죠

잠이 안오더러도 하나 둘 하나둘

우울한 생각이 들더라도 무시하고 하나 둘 하나 둘

안되면 소리 내면서 하나 둘 하나 둘

지루하면 자기도 모르게 잠이 드는데 엄청 편해져요

걸어갈 때는 오른발 왼발 오른발 왼발

​​

https://sati.center/

1. 유일한 길 :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꾸루 깜맛사담마라는 꾸루들의 성읍에 머무셨다.

그곳에서 세존께서는 "바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부르셨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응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이 도는 유일한 길이니,

중생들의 청정을 위하고,

근심탄식을 다 건너기 위한 것이며,

육체적 고통정신의 고통을 사라지게 하고,

옳은 방법을 터득하고,

열반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것은 바로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이다.

무엇이 네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身隨觀)하며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 되어 머문다.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受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 되어 머문다.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心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 되어 머문다.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 되어 머문다."

* 대념처경(大念處經, Mahasatipatthana Sutta)

부처님의 육성이 생생히 살아있는 초기경들 가운데서

실참수행법을 들라면

본경 「대념처경」과,

「중부」의 「들숨남숨에 마음챙기는 경」(Anapanasatii Sutta, 出入息念經, M118)과

「몸에 마음챙기는 경」(Kayagatasati Sutta, 念身經, M119)의 셋을 들 수 있다.

물론 「중부」의 「염처경」(M10)도 들어야겠으나

「염처경」은 사성제에서 고성제에 관한 부분만 제외하고는 본경과 그 내용이

일치하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세 경들(대념처경, 들숨날숨에 마음챙기는 경, 몸에 마음챙기는 경)을

초기경들 가운데서 실참수행을 설하신 수행삼경(修行三經)이라 불러도 괜찮다.

이 가운데서 본경은 수행법을

몸(身)·느낌(受)·마음(心)·법(法)의 네 가지 주제 하에 집대성한 것으로

초기 수행법에 관한 한 가장 중요한 경이며 그런 만큼 유명한 경이기도 하다.

마음챙김으로 대표되는 초기불교 수행법은

이 경을 토대로 지금까지 전승되어 오고 있으며

남방의 수행법으로 알려진 위빳사나 수행법은 모두 이 경을 토대로 하여

가르쳐지고 있다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본경은 「장아함 」에는 실려 있지 않고 「염처경」(念處經)으로 옮겨져서

「중아함」의 98번째 경으로 중국에 소개되었다.

2-1. 몸을 관찰(身隨觀): 들숨날숨에 마음챙김

2.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무는가?

여기 비구는 숲 속에 가거나, 나무아래 기거하거나, 외진 장소에 가서

가부좌를 틀고 몸을 곧추 세우고 전면에 마음챙김을 확립하여 앉는다.

그는 마음챙겨 숨을 둘이쉬고 마음챙겨 숨을 내쉰다.

길게 들이쉬면서 '길게 들이쉰다.'고 꿰뚫어 알고,

길게 내쉬면서 '길게 내쉰다.'고 꿰뚫어 안다.

짧게 들이쉬면서 '짧게 들이쉰다.'고 꿰뚫어 알고,

짧게 내쉬면서 '짧게 내쉰다.'고 꿰뚫어 안다.

'온몸을 경험하면서 들이쉬리라.;며 공부짓고

'온몸을 경험하면서 내쉬리라.'며 공부짓는다.

'신행(身行)을 편안히 하면서 들이쉬리라.'며 공부짓고,

'신행을 편안히 하면서 내쉬리라.'하면서 공부짓는다.

비구들이여,

마치 숙련된 도공이나 도공의 도제가

길게 돌리면서 '길게 돌린다.'고 꿰뚫어 알고

짧게 돌리면서 ;짧게 돌린다.'고 꿰뚫어 아는 것처럼,

그와 같이 비구는

길게 들이쉬면서 '길게 들이쉰다.'고 꿰뚫어 알고,

길게 내쉬면서 '길게 내쉰다.'고 꿰뚫어 안다.

짧게 들이쉬면서 '짧게 들이쉰다.'고 꿰뚫어 알고,

짧게 내쉬면서 '짧게 내쉰다.'고 꿰뚫어 안다.

'온몸을 경험하면서 들이쉬리라.;며 공부짓고

'온몸을 경험하면서 내쉬리라.'며 공부짓는다.

'신행(身行)을 편안히 하면서 들이쉬리라.'며 공부짓고,

'신행을 편안히 하면서 내쉬리라.'하면서 공부짓는다.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그는 '몸이 있구나.'라고 마음챙김을 잘 확립하나니

지혜만이 있고 마음챙김만이 현전할 때까지.

이제 그는 (갈애와 견해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2-2. 몸을 관찰: 자세四威儀)에 마음챙김

3.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걸어가면서 '걷고 있다.'고 꿰뚫어 알고,

서있으면서 '서있다.'고 꿰뚫어 알며,

앉아 있으면서 '앉아 있다.'고 꿰뚫어 알고,

누워있으면서 '누워있다.'고 꿰뚫어 안다.

또 그의 몸이 다른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든 그 자세대로 꿰뚫어 안다.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그는 '몸이 있구나.'라고 마음챙김을 잘 확립하나니

지혜만이 있고 마음챙김만이 현전할 때까지.

이제 그는 (갈애와 견해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2-3. 몸을 관찰: 거동에 마음챙김

4.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나아갈 때도 물러갈 때도 (자신의 거동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앞을 볼 때도 돌아 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구부릴 때도 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가사·의복·발우를 지닐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먹을 때도 마실 때도 씹을 때도 맛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대소변을 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걸으면서·서면서·앉으면서·잠들면서·잠을 깨면서·말하면서·침묵하면서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그는 '몸이 있구나.'라고 마음챙김을 잘 확립하나니

지혜만이 있고 마음챙김만이 현전할 때까지.

이제 그는 (갈애와 견해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http://blog.daum.net/gikoship/

불교경전에 성경책같이 역사적 내용이...

불교경전어떤 내용인가요? 부처님의 가르침이... 답하는 형식의, 지혜로운 부처님 말씀을 모은 경전이... 왕후가 된, “허왕후”와 그 오빠인 “장유화상”에 의해, 이미...

불교 경전의 종류와 그 서열이 궁금합니다

... 감사합니다^^ 불교 경전에는 어떤 것이 있나 흔히 불교경전을 팔만대장경이라고... (本生譚)으로 된 경입니다. 자타카란 본래 특별한 형식과 내용을 갖춘 불교문학의 한...

불교 질문 좀 할게요

... 비로자나불과 관세음보살님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불상 형식으로 보살형, 여래형, 보관여래형 등 다양한... 비로자나불상은 대승불교 경전인 ‘화엄경’의 법신불에서...

불교 역사 공부하는법좀요.

... 수 있나요? 석가모니 ~ 왕자로 출생하였지만, 인간의... 불교의 발전과 경전 ~ ① 부처님 계실때, 최초로 결집된, 구도자의 물음에 답하는 형식의, 지혜로운 부처님...

불교비방하는 카톨릭아~화엄세계에 대해...

... “비유비무”의 형식으로 존재하는, “영혼”(귀신)이나... 대승불교 입니다. 이런 부분이 바로, 지식 수준차이 입니다. 누구든 처음에 모두 다를 알 수는 없고, 어떤...

불교책좀 알려주세요 대표적인책좀...

기독교는 성경이있고 불교에는 어떤책이있나요? 붓다님... 답하는 형식의, 지혜로운 부처님 말씀을 모은 경전이... 가지게 됨. ② 산스크리트 범어 ~인도 아리안 계통의...

윤사 한국불교(원효,의천,지눌) 질문

... 수 있나요? 모두 대승불교입니다. 소승과 대승 ~ 소승은... 대승경전을 부정합니다. 오직, 자신의 깨달음을 이루고... 존재하므로, 어떤 경우에도 변하지 않는 “진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