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의 일심사상에서 일심이문사상이 뭔

원효의 일심사상에서 일심이문사상이 뭔

작성일 2018.07.0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원효의 일심사상에서 일심이문사상이 뭔가요. 진여문이랑 생멸문도 뭔지 알려주세요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문일심(二門一心)

원효에게 있어서 일심이란 모든 중생들의 근원이며 또 돌아갈 곳이기도 하다. 인간이 분별하고 다투게 되는 것은 일심의 근원에서 멀어져 있기 때문이지만 일심으로 인해 화해하고 회통할 수 있다는 것이 원효의 생각이라고 할 수 있다.

원효는 일심과 비슷한 말로써 일승(一乘), 일미(一味), 법성(法性), 여래장(如來藏)과 같은 말을 쓰고 있으나 일심이라는 용어를 보다 포괄적인 용어로 일반적으로 쓰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화쟁사상의 근거가 되고 목적이 되고 있는 일심에 관하여 최유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원효의 일심은 모든 것의 근거이고 상대적 차별을 떠난다. 그리고 집착없는 상태가 바로 일심이다. 우리의 본래의 근원은 모든 다툼이 없는 상태이므로 현재 아무리 다투고 있다 하더라도 궁극적으로 화해된 상태에 갈 수 있다. 현재 다투고 있는 것은 일심에 대해 제대로 깨닫지 못하기 때문이지만 깨닫게 되면 다투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일심의 근거에서 화쟁이 가능하고 또 한편으로는 화쟁이 궁극적으로 노리는 바는 일심으로 되돌아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일심은 상대적 차별을 떠나고 모든 것의 근원이며 돌아갈 곳인 인류의 보편적인 정신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일심을 추상적 개념으로서의 “하나”로 이해하게 되면 서양사상의 일원론을 떠올릴 가능성이 있다. 신플라톤 학파의 풀로티노스가 말한 일자(一者)로 부터의 유출설이나 알파요 오메가라고 말하는 신의 개념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원효의 일심은 그러한 추상적 개념이나 절대화시킨 하나를 결코 용인하지 않고 있다. 만일 원효가 절대화된 하나로서의 일심을 주장했다면 그러한 일심은 화쟁의 근거가 될 수 없었을 것이다. 그 대신 원효는 대승기신론의 이문일심으로 그의 사유체계를 형성하였다.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에서 그는 이 논의 목적이 “삼장(三藏)의 뜻을 두루 더듬게 하고 도를 닦는 자로 하여금 온갖 경계를 길이 쉬어 일심의 근원으로 돌아가게 하고자 한 것“이라 하면서 다음과 같이 논의 종체(宗體)를 요약하고 있다.

“일심에서 두 문을 열어 백팔의 많은 교설을 총괄하였고 상염(相染)에 성정(性淨)을 나타내 보여서­­이 논의 뜻이 이와 같으니 벌이면 한량없고 가이 없는 뜻이 종(宗)이 되고, 합하면 이문일심(二門一心)의 법이 요(要)가 된다. 이문의 안에 만가지뜻을 포함하여 문란하지 않고 가이 없는 뜻이 한 가지 일심으로 융통된다. 그러므로 벌림과 합함이 자재하고 입(立)하고 파(破)하여 의심이 없다. 벌려도 번(繁)하지 아니하고 합하여도 좁지 아니하다. 입하여도 얻음이 없고 파하여도 잃음이 없다. 이것이 마명(馬鳴)의 묘술이요 기신(起信)의 종체가 된다”10)

여기서 이문(二門)이란 진여문(眞如門)과 생멸문(生滅門)을 말한다. 
원효는 일심을 말하면서도 그 일심속의 변하지 않고 깨끗하고 고요한 본성으로서의 진여문과 변화하고 더럽고 번잡한 현실로서의 생멸문을 포함시켜 일심속에서 화해하고 회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놓았다. 일심이라고 하여 초월적 실재적 존재로서 독립된 것이 아니고 진여문과 생멸문과 함께 서로 떨어질 수 없이 존재하는 것이다. 

“마음은 항상 두 가지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이니 하나는 마음 그 대로의 본래적인 모습(心眞如門)이고 또 하나는 마음의 움직이고 변화하는 측면 (心生滅門)이다”)

원효는 일심을 진여문과 생멸문으로 나누고 있지만 이 세 가지 마음이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교섭되는 것으로 열어 놓았다. 진여심이나 생멸심이라 하지 않고 심진여와 심생멸이라 한 것도 그러한 교섭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일심역시 독립된 실체가 아니라 진여와 생멸을 통해 들어나는 것이고 그것이 돌아갈 곳이다.

진여문과 생멸문이 한 마음이 될 수 있도록 원효는 진여문에도 진리의 본체라고 할 수 있는 여실공(如實空)과 함께그렇지 않은 여실불공(如實不空)을 포함시키고 생멸문에도 생멸과 더불어 불생불멸심을 포함시켰다. 다시 말하면 청정한 본심 속에도 생멸문으로 나아가 이를 포용하여 제도할 소지가 있고 생멸의 마음속에도 청정한 본심을 깨달아 그곳으로 돌아갈 수 있는 씨앗이 있다는 것이다. 모두 한 마음이기 때문이다. 


심생멸이 망념에 집착하지 않고 일심으로 돌아가 불생불멸을 포섭하게 되면 모든 차별을 떠나 진리에 이르게 되며(融俗爲眞), 심진여가 진리에 안주하지 않고 집착을 버리면 동체대비(同體大悲)를 일으켜 생멸의 세계로 나오게 된다(融眞爲俗)는 것이다.

이러한 사유체계는 서양사상이 중심이 된 오늘날의 이원론의 사유체계와 대비된다. 이원적 세계관에서는 사물을 적과 동지, 선한 자와 악한 자로 나누어 보고 그 사이의 교섭을 부정하기 때문에 대립과 분쟁이 악화되어 전쟁으로까지 치닫게 된다. 그러니까 그 동안 국제사회에서는 분쟁의 해결 방법으로 타협이나 국제적 재정(裁定)에 의한 해결보다는 정복, 강제적 굴종, 억지와 철회, 회피 등이 많은 것이다12). 국제사회에서는 이제까지 확립된 국제법과 도덕적 원칙이 지켜지기 보다는 힘을 내세운 일방주의적 해결이 지배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원효는 이문일심의 사유체계에서 일방주의적 해결이나 어정쩡한 타협이 아니라 서로를 인정하면서 보편적 인간성 속에서 공통분모를 찾아내여 화해하고 소통하여 협력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다. 이원적 세계관에서와 같이 인식주관이 영원히 인식주체의 배타적인 실체를 주장하는 한 다른 인식주관과의 화해는 어렵다. 

원효는 인식주관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지 않으면서 인식주관이 이러한 실체 개념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를 추구하였다. 그래서 그는 대승기신론소에서 이를 “세우되 얻은 바가 없으며”(立而不得), “파하되 잃는 바가 없다”(破而無失)라는 말로 표현하였다. 

일심과 이문을 세우면서도 어느 것에도 집착하지 않고 서로 소통할 수 있게 한 것은 그의 무애의 개념과도 상통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진여문과 생멸문이 화합하는 것은 이문간의 일치하는 점을 통해서이다. 따라서 여전히 두문은 차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화합한 다움에도 진여문과 생멸문은 독자성을 유지한다). 화합이 이루어지면서도 다양성이 존중되고 있는 것이다.

원효의 일심이문사상 일심이문사상이 뭔

원효의 일심이문사상 일심이문사상이 뭔지 쉽게 알려주세요 ㅠㅠ * 원효의 일심이문(一心二門)사상(思想) ㅇ 원효는 그의 저서 <대승기신론>에서 염정(染淨)의 모든 법은 그...

원효의 일심사상

원효의 일심사상이 우리 삶에 끼치는 영향은 무엇이 있을까요??? 내일까지 찿아야... (1) 이 문 심진여문(心眞如門)과 심생멸문(心生滅門)으로 나누어진다. 심진여는 일심을...

원효의 일심사상이 뭐에요? 진여는랑

... 원효의 일심이문(一心二門)사상(思想) ㅇ 원효는 그의 저서 <대승기신론>에서 염정(染淨)의 모든 법은 그 본성이 둘이 없어,하나가 되어,진망(眞妄)의 이문(二門)이 다를수...

원효의사상이나업적

... 물사건만알고 원효의 사상이나 업적의 대해 는 몰라서... 원효는 화쟁의 원리를 중생심인 일심에서 찾고 있다.... 9) 조수동, 『여래장』, 이문출판사, 1998. 10) 비슈와나스...

원효의 사상

원효의 사상의대해서 알려주세요 원효의 열반사상* 1)... 원효는 화쟁의 원리를 중생심인 일심에서 찾고 있다.... 9) 조수동, 『여래장』, 이문출판사, 1998. 10) 비슈와나스...

한국사 원효 일심

원효 일심 사상이랑 유식불교 차이가 무엇인가요? 유식불교 일체의 삼라만상이 오직... 있다, 일심을 보다 체계적으로 전개시켜 이문 삼대사신 오행으로 확대시켜 나갔습니다.

원효의 생에와 ,일화 ,사상좀 가리켜...

... 그러나 여러 저술에서 성사의 일관된 사상이 역력히 나타나고 있습니다. 원효는 자신이 깨달은 일심과 더불어... 일으키는 일심이문(一心二門)을 정립하였습니다.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