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 교종

선종 교종

작성일 2011.09.27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선종과 교종은 대승불교에 속합니까? 소승불교에 속합니까?


#선종 교종 차이 #선종 교종 불교 #선종 교종 호족 #원효 선종 교종 #교종 선종 통합 #교종과 선종 대승불교 #교종과 선종 차이 #교종 선종 조계종 #교종과 선종 비교 #불교 교종과 선종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선종과 교종이 대승불교인가, 아니면 소승불교인가 라는

님의 질문에 답변하기 이전에 선종과 교종, 그리고 대승과 소승불교의 개념부터 정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선종은 참선수행이 주를 이르며 이를 통해 부처의 지위에 오르고자 하는 종파를 통칭하는 것이며

교종은 교상판석(경전을 분류하고 분석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여 경전과 언구를 연구, 즉 교리 연구를

통해 깨달음에 이르고자 하는 종파를 통칭하는 것입니다.

 

선종의 대표적인 종파로는 정토종, 묵조선, 화두선, 일련종, 밀교 등이 있으며

교종의 대표적인 종파로는 천태종, 화엄종, 삼론종 등이 있습니다.

원래는 각 종파들이 우리나라에도 존재하였으나(종파의 이름은 중국과 다름)

조선시대(세종대왕)에 숭유억불정책으로 선종과 교종으로 각각 통폐합하면서

각 종파들의 명맥이 끊어졌죠.

 

중국 불교사를 살펴보면 우선은 뿌리를 내린 종파는 교종계열 종파들로서

앞서 언급한 천태종, 화엄종, 삼론종, 율종 등이었습니다.

인도 불교가 중교가 전래되면서 불교의 교리들이 먼저 전파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중국의 토착신앙인 도교의 용어와 사상을 기반으로

불교를 이해하려 했는데 이 때를 격의불교 시대라고 합니다.

참고로 간혹 어떤 분들이 도교와 불교의 사상을 혼돈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그 이유가 바로 격의불교 시대의 영향 때문입니다.

하지만 분명 도교와 불교는 그 종지와 실천행이 다릅니다.

단지 용어를 같이 쓴다고 해서 혼동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격의불교 시대를 거쳐 불교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교상판석이 이루어지고 나름대로 종파의 기틀을 잡아가는데

이 때 형성된 종파들 중 대표적인 교종계열 종파가

천태종, 화엄종, 삼론종, 율종 등입니다.(그 외에도 더 있으나 기억이 안남)

 

천태종은 천태사상, 즉 법화경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종파이며

화엄종은 화엄사상, 즉 화엄경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종파이며,

율종은 계율을 중시하여 사분율 또는 오분율이 소의경전입니다.

삼론종은 논장 중에서 삼론 즉, 중론(중관사상), 십이문론, 백론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종파입니다.

어쨌든 교종 계열이 소의경전으로 삼았던 경전들은 모두 대승경전에 속하는 것들이었습니다.

그럴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중국에 전래된 불교는

인도의 대중부불교가 발달하여 대승불교가 되는데

이 대승불교가 중국에 전래되었기 때문이죠.

 

선종은 수나라 때에 인도의 달마대사가 중국에 오면서 전래되어 성립된 종파로서

육조 혜능선사 때에 꽃을 피우면서 발달한 종파입니다.

선종은 교리 연구와 교상판석보다는 참선수행을 중시하여

직지인심 견선성불, 불립문자 교외별전이라는 말을 참선의 요체로 삼습니다.

즉 마음 관찰과 실천적 수행을 통해 깨달음 얻을 수 있다는 것이죠.

어떤 분들은 선종의 직지인심 견성성불, 불립문자 교외별전이라는 말에

부처님의 말씀을 알지 못하고 어찌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가 라고 하며 폄하하는 분들이 있습니다만

그것은 선종에 대한 그릇된 이해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선종의 역대조사를 보면 많은 분들이 교학에 대해서도 일가를 이루었던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분들이 불립문자를 말씀하신 것은

문자나 언구에 집착하지 말라 라는 뜻이죠.

그리고 부처님 역시 경전에 의지하여 깨달음을 얻으신 것이 아님을 아셔야 합니다.

우리가 깨닫고자 하는 것은 내 마음이 어디서 오고 가는지,

대상경계들이 어떻게 생하고 멸하는지 알아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것인데,

마음이라는 것은, 대상경계라는 것은 그리고 괴로움이라는 것은

경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 자리에 우리 앞에 생생한 것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사람들은 글에 집착하여 눈 앞에 생생활활한 것을 보지 못하고 분별하여

깨우침을 방해 받을 때가 많은데 이를 경계하기 위한 말씀이

직지인심 견성성불 불립문자 교외별전입니다.

 

어쨌든 선종 또한 대승불교에 속하는데,

육조 혜능선사 이후부터는 금강경을 소의경전으로 하였습니다.

왜냐하면 중국 선종의 전성기를 열은 육조 혜능선사가 금강경의 구절을 듣고 깨달음을 얻었기 때문이죠.

선종은 이후에 정토종과 묵조선, 화두선 등으로 분화하였으며

우리나라에는 화두선이 전래되어 남아있습니다.

참고로 현재 일본은 묵조선이 주류를 이루며

중국은 정토종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또 정리해야할 개념 중에서 대승불교와 소승불교인데,

대승불교는 상구보리 하화중생으로 그 성격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즉 위로는 깨달음을 추구하되 또한 함께 중생교화도 중시하는 것이죠.

대승불교는 부파불교 시대에 대중부 불교가 발달하여 형성된 불교의 형태라고 할 수 있으며

소승불교는 부파불교 시대의 상좌부 불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중부와 상좌부로 갈라지는 과정은 내용이 길어지니 여기서는 언급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여하튼 인도불교사에서 부파불교 이후에 상좌부 불교는 남방으로 전래되었으나

인도에서는 쇄락의 길을 걸었으며 대중부 불교가 발달하여 대승불교가 성립되죠.

대중부에서 상좌부 불교를 폄하하고 자신들을 높여 부리기 위하여

대중부는 대승, 상좌부는 소승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상좌부 불교는 가장 큰 특징은 아함경 계열의 경전을 중시합니다.

수행법도 위빠사나와 수식관, 오정심관을 중시하고요.

그리고 상좌부 불교 수행자가 오를 수 있는 최고의 경지는 아라한입니다.

여기서도 대승불교와 상좌부 불교가 크게 다른데,

대승불교는 깨달음을 얻으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것이고

상좌부불교(소승불교)는 깨달음을 얻더라도 부처가 아닌 아라한의 경지까지만 오를 수 있는 것이죠.

 

현대적으로 표현을 하자면

대승불교는 수정주의이고 상좌부불교는 교조주의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각설하고

이런저런 연유로 하여 교종과 선종은 모두 대승불교에 속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ㅋㅋㅋ,,,,분명하게....

 

대승 이지유~~~~

 

대승이란 개념 이해 하지유~~~

 

그럼 간락,,,

   지의(538-579)는 >>...법화경을 중심경전.

        그로부터 천태종이라는 종파가 생겨났습니다.

   길장(549-623)은 >>...삼론(三論)을 중심 경전으로 삼았습니다.

      그로부터 삼론종이라는 종파가 생겨났지요.

  법장(649-712)은 화엄경을 중심경전으로 삼습니다.

       그로부터 화엄종이 생겨났습니다.

 

  이러한 종파 불교를 교종 혹은 교학이라고 합니다

 

선종의 4대 종지는 >>..

    교외별전(敎外別傳), 불립문자(不立文字),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입니다.

    그런데 이 가르침들이 교종에도 없고

    근본불교에도 없는 선종만의 특징입니다.

    차근차근 선종의 4대 교지를 하나씩 풀어가다 보면

    왜 선종이 격의불교이며 노장사상의 변용이라고 하는지 이해가 갈 겁니다.

 

그러므로 다   불교 구라  들 분명 하지유,,,,,

 

뭐 하나,딱 이것도 하는것 없이,,,,ㅉㅉㅉㅉ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거두절미하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선종은 스스로 먼저 깨친 후에 중생에게  그 가르침을 전하겠다는 취지니

소승에 가깝고

교종은 경전에 의지하여 먼저 부처님의 말씀을 대중에게 전하겠다는 취지이니

대승에 가깝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비유컨데 이와 같습니다.

사과를 먹어봐야 그 맛을 알고 남에게도 그 맛을 설할 수 있는 것이아니겠습니까?

그러나 교종의 많은 선지식들은 그러니까 대승을 지향하는 많은 승려들은

사과는 먹어보지도 못했으면서 그 맛을 이렇다 저렇다 이론으로 중생을 가르치려 합니다.

정녕 어찌 생각하십니까?

당연히 그 사과를 맛본 자 만이 사과를 논할 수 있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아직 인생을 살아보지도 못한 세 살 짜리 어린아이가 누군가에서 인생은 고뇌의 바다다. 라고 듣고 이를 다른 이들에게 설한다면 참 실로 어이없는 일이 되겠죠.

교종선종

... 무시하세요~ 교종과 선종 ~ 교종과 선종의 기본적 교리는 같습니다. 다만, 깨달음을 이루는 방식에 따라, 교종과 선종를 구별합니다. 즉, 교종은 연기설등 여러 논리적...

선종? / 결사운동은 교종 선종 모두 일어남?

... 결국 선종+교종이고요. 선종 요소가 더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리고 무신기, 원 간섭기 등 고려 후기에 일어난 결사운동은 교종과 선종 내에서 모두 일어났다고 볼 수...

선종 교종차이

... 단도직입적으로 교종은 이론(경전)중심, 귀족중심 불교이교, 선종은 수행중심(참선), 민중중심 불교입니다. 위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__)

교종 선종

... 종교통합으로 통합시도도 있게됩니다. 그뒤상태로서 유교상태가 들어옵니다. 교종선종으로 불교신앙의 일종입니다. 조선시대로서 유교사회로 넘어갑니다.

선종 교종

선종교종은 대승불교에 속합니까? 소승불교에 속합니까? 선종교종이 대승불교인가, 아니면 소승불교인가 라는 님의 질문에 답변하기 이전에 선종교종, 그리고 대승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