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위일체 , 영혼불멸 성경에 어긋남.

삼위일체 , 영혼불멸 성경에 어긋남.

작성일 2007.07.28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삼위 일체 를 증거하는 구절은 성서에 찾아볼수 없다 . 다만 애매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성경구절이 더 많다.

 영혼불멸 사람이 죽으면 어떻게 되는가? 성경은 사람들이 죽으면-의식이 없는상태-잠들어있는 상태- 만질수도, 느낄수도 없는 상태- 로 있게 된다고 알려주는데

그리스도 교국에서는 어째서 영혼 불멸이라고 하는가? 플라톤의 영혼불멸에 영향을 받은것은 아닌가.

천국에 가는 숫자는 14만 4천명으로 제한되어 있다.

나머지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은 어찌될것인가?

 

성경으로 증거해보시구랴.


#삼위일체 뜻 #삼위일체 영어로 #삼위일체 하나님 #삼위일체 롤 #삼위일체 보조 #삼위일체 논쟁 #삼위일체 그림 #삼위일체 한자 뜻 #삼위일체 트포 #삼위일체 이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삼위일체를 믿지 않는 곳들-

 

이슬람교.

유대교.

 

기독교계 사이비종파에서,여호와의증인.안식일재림교회.통일교...등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인간의 본성과 불멸


비평 : “안식일교회는 [죽음과 더불어] 영혼이 멸절된다고 가르친다. 그들에 의하면, 영혼(soul)은 단순히 한 개체 전부를 의미하기 때문에 죽은 후에는 살아남아 있는 영혼이 없다는 것이다. 죽은 뒤에는 아무것도 살아남아 있지 않으므로 사람은 죽음과 함께 완전히 비존재(非存在)가 된다는 것이다. 그들은 모든 사람의 부활이 있다고 가르친다.”

사람의 사후 상태

해설 :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가 개신교회나 가톨릭교회와 다른 점은 앞서 언급한 제칠일 안식일 준수와 함께 사람의 죽은 후의 상태의 관한 신앙이다. 일반 교회들은, 사람의 영혼은 본래부터 불멸(不滅)의 속성을 가졌다고 믿는다. 그래서 죽을 때에 몸을 떠난 영혼은 의식을 가지고 생전에 행한 선과 악에 따라 곧바로 천당[천국]이나 지옥, 혹은 가톨릭교회의 경우 연옥으로 간다고 믿고 가르친다. 이상의 모든 가르침에서 영혼은 불멸이기 때문에 의인이 천국에서 영원한 생명을 누리는 것처럼 악인은 지옥 불에서 영원한 고통을 당한다는 “영원지옥설(永遠地獄說)”을 필연적으로 가르친다. 이것이 사실인가? 이에 반하여, 제일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는 성경에 쓰여진 대로 아래와 같이 믿고 있다.

“죄의 삯은 사망이다 그러나 홀로 불멸이신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구속받은 백성들에게 영원한 생명을 부여하실 것이다. 그 날까지 죽음은 모든 사람들에게 있어서 무의식 상태이다. 우리의 생명이신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실 때에 부활한 의인들과 살아있는 의인들은 영광스럽게 되어 그들의 주님을 만날 수 있도록 끌어올려질 것이다 불의한 사람들의 부활인 둘째 부활은 그 후 천년이 지난 다음에 있게 될 것이다.”

이리하여 부활하고 승천한 의인들이 영생하는 것처럼 둘째 부활 때에 육신으로 부활한 불의한 사람들은 심판의 불에 사루어짐으로써 영원히 멸절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영혼불멸 대신 영혼멸절을, 영원지옥 대신 악인소멸을 믿는다. 같은 하나님을 믿고 똑같은 성경을 보면서 어떻게 이토록 상반된 신앙을 가질 수 있을까? 이 문제에 대한 교리는 여럿이 있을 수 있어도 올바른 대답은 언제나 그렇듯이 한 가지 밖에 있을 수 없다.

죽음의 진상은 무엇인가? 죽은 사람은 어디에 있는가? 참으로 엄숙한 문제들이다. 죽음의 진상을 모르고 사는 것은 종착지를 모르고 여행하는 것과 같다. 생명의 근원이신 하나님만이 죽음에 대한 가장 확실한 대답을 가지고 계시다. 이토록 중요한 사후문제에 대해 크게 상반된 신앙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고하고, 안식일교회를 혹독하게 비평한 박영관씨나 탁명환씨 등 국내 인사들의 저서에는 이 문제를 거의 다루지 않고 지나친 것은 오히려 의아스러운 일이다. 그리하여 인용되는 대부분의 비평은 현대 칼빈주의 신앙을 대표하는 훼케마(Anthony Hoekema)씨의 저서에 근거하고 있다.

비평(탁명환) : “하나님은 영원하시다. 인간도 육(肉)은 죽어도 영(靈)은 영원하다.”

변증 : 훼케마 씨와 탁명환 씨 모두 이구동성으로 영혼은 불멸(lmmortality of the Soul)임을 강조하고 그렇게 믿지 않는 안식일교회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있다. 참으로 성경적인 가르침인가?


하나님의 속성인 불멸

성경은 분명히 불멸이란 하나님만의 속성이며 인간의 어떠한 부분[영혼]도 불멸이라고 말씀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죽음에 반대되는 뜻의 불멸, 곧 불사(不死)란 말의 신약의 원어는 “아다나시스”(athanasis)인데, “오직 그 [하나님]에게만 죽지 아니함이 있”(딤전 6:16)다고 선언되었다. 그리고 예수 재림시 의인들이 썩지 않을 몸을 입고 부활할 때에 비로소 “이 죽을 것이 죽지 아니함을 입을”(고전 15:53, 54)것이라고 천명했다. 썩거나 파괴되어 없어지지 않는다는 뜻의 불멸을 가리키는 신약 원어는 “아프다르시스”(aohtharsis)인데, 역시 “만세의 왕 곧 썩지 아니하고 보이지 아니하고 홀로 하나이신 하나님”(딤전 1:17; 롬 1:23)께만 속한 속성임을 강조했다. 그리고 예수 재림 시에 부활한 의인들과 홀연히 변화된 살아 있는 의인들이 누리게 될 상태라고 분명히 밝혔다.(고전 15:52, 54)

그러므로 이상에 언급된 썩지 아니하고 죽지 아니하는 그러한 불멸성은 사람이 날 때부터 타고난 속성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을 받는 조건으로(요 3:16, 36,  11:25), 예수 재림시에(요일 5:11; 고전 15:51-53), 비로소 인간에게 부여하시는 선물인줄로(롬 2:7; 딤후 1:10) 믿는 것을 조건적 불멸(Conditional lmmortality)이라고 하는데 안식일교회는 성경 말씀의 확증에 따라 이 사실을 믿고 있다.

성경은 인간 전체를 가리키는 영혼(soul)이 죽을 수 있는 존재임을 거듭거듭 확인하고 있다(겔 18:4; 마 10:28). 너무나 분명하여 의심의 여지가 없는 조건적 불멸에 관한 성경의 가르침을 부정하면서 이를 믿는 안식일교회를 이단으로 규정하는 것은 참으로 이상한 일이다.

비평 : 훼케마 “안식일교회는 조건적인 불멸을 믿고 있다.... 사람은 본성적으로 타고난 불멸성을 소유하지 않았고 불멸의 영혼을 지니지 않았다고 한다. 엄격한 의미에서 불멸성은 하나님만 소유하신 것이라고 한다. 상대적인 의미에서 이러한 불멸성은 어떤 부류의 사람 곧 믿는 사람들에게만 주어진다고 믿는다.”

변증 : 이상에 기록된 비평은 정죄 받아야 할 이단의 교리가 아니라, 옹호되어야 할 정통 진리임을 적어도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믿는 모든 사람은 확연히 깨닫게 될 것이다. 이 문제는 선입관에 좌우되거나 한 두 마디 논증으로 다루어서는 안 될 중대한 관심사이므로 신, 구약 성경을 망라한 철두철미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사람이 죽으면 어떻게 되는가를 바르게 이해하자면, 사람이 어떻게 창조되었는지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이에 대한 분명한 기록이 있다.

“여호와 하나님이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生氣)를 그 코에 불어넣으시니 사람이 생령(生靈)이 된지라”(창 2:7)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인간 창조의 재료로 쓰여진 이 곳의 흙은 히브리어 “아파르”(aphar)로 흙덩이가 아니라, 땅의 미세한 입자(粒子)를 가리키는 “땅의 티끌”(dust from the ground)을 의미한다(욥  38:38; 34:15; 시 103:14; 창 3:19). 사람을 비롯한 동식물의 생명의 기본 단위는 세포인데, 이 세포는 원형질(原形質)로 이루어져 있고, 단백질이 주성분인 원형질은 탄소, 수소, 산소, 질소, 유황, 인, 카리, 칼슘, 마그네시움 등 실제로 흙을 구성하고 있는 원소(元素)들인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흙과 동일한 원소들을 취하여 창조의 지혜로 세포를 조성하시고 몸의 각 부분을 친히 고안하여 구성에 있어서 완전한 인간을 만드셨다.

“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으시니”

이렇게 완전한 형체를 갖춘 인간이 생체(生體)활동을 하자면 세포에 생명력(生命力)을 제공하는 “생명의 호흡”이 필요하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생기”(生氣)를 그 코에 불어넣으심으로써 세포에 생화학(生化學) 작용을 시작하셨다. 이 일은 몸의 조성과 동시에 일어난 현상이다. 이 곳의 “생기”는 히브리어의 “니슈맛 하임”(nishmat chayyim)인데, “호흡”이란 뜻의 “네솨마”(neshamah)와 “살아 있음”(living)을 뜻하는 “하이”(chay. 복수는 “하임”)가 합쳐진 “생명의 호흡”(breath of life)인 것이다.

같은 뜻의 표현으로 창세기 7장 22절에는 “니슈맛 루아흐 하임”이 쓰였는데, 앞의 말에 덧붙여진 “루아흐”(ruach) 역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바람, 공기를 뜻하며, 노아 홍수 때에 죽은 사람을 비롯한 모든 동물 곧, “육지에 있어 코로 생물의 기식(寄食)을 호흡하는 것은 다 죽었더라”(창 7:22)는 표현에 쓰여졌다.

구약 성경의 생기 - “루아흐”

“호흡”, “바람”, “기운”의 뜻을 가지고 사람에게 생명력을 제공하는 이 “생기”는 주로 히브리어의 “루아흐”(ruach)로 구약 성경에 389회가 쓰였는데, 성령을 가리킨 것을 비롯하여 (94회), 번역하는 사람의 주관과 문맥에 따라, “호흡”, “생기”, “기운”, “정신”, “마음”, “신”(神.Spirit), “영” 등으로 번역되어 히브리어의 배경이 없는 사람들을 자칫 혼란에 빠트린다.

예를 들면, 전도서 12:7에, “흙은 여전히 땅으로 돌아가고 신은 그 주신 하나님께로 돌아” 간다고 했는데, 이곳의 “신”이란 창세기의 “루아흐”인데 어떤 “영”이나 한자가 뜻하는 “정신”이나 “귀신”같은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창조 당시 불어넣으신 “생기” 또는 “호흡”인 것이다. 시편 146편 4절에서는, 같은 “루아흐”를 “호흡”으로 번역하여, “그 호흡이 끊어지면 흙으로 돌아가서 당일에 그 도모가 소멸”한다고 바르게 변역했다. 에스겔 37장 5절에서는 “루아흐”를 마른 뼈에 들어가 부활시키는 생명소인 “생기로” 번역했고, 시편 104:3절에서는 “호흡”으로 번역했다. 예로, 욥기 27:3에서 욥은 자신이 아직도 살아 있음을 묘사하기 위해, “나의 생명이 아직 내 속에 완전히 있고 하나님의 기운이 내 코에 있느니라”고 했다. 이곳의 “기운”은 다름 아닌 “루아흐”인데 “신”으로 번역했더라면 “하나님의 신이 내 코에 있”다는 우스꽝스러운 표현이 될 뻔했다. 코로 드나드는 것은 호흡인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죽으면 몸을 떠나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루아흐”를 “신”으로 번역하였다고 하여 그것을 의식을 가진 “영(靈”)같은 것으로 생각하면 큰 잘못이다. 그것은 성령으로 번역될 경우에만 그렇다. 단지 창조시에 하나님에 의해 긍곱되었던 생명소(生命素)인 호흡 곧 생기(生氣)가 하나님께로 되돌아간다는 표현인데, 그것은 일반 짐승에게도 일어나는 동일한 현상이다(창7:22. 23. 전3:19-21).

신약 성경의 생기 - “프뉴마”

“호흡”, “바람”, “생기”, “성령”을 뜻하는 구약의 “루아흐”를 신약에서는 헬라어 “프뉴마”(Pneuma)로 표현하고 있다. 이 말은 신약에 385회 쓰였는데, 성령이나 악한 영으로 번역한 것을 비롯하여, 번역하는 사람의 선택에 따라 “영"(spirit), “마음(심령)”, “정신”, “바람” 등으로 표현했고, 심지어 “영혼”으로 번역하기도 하여 큰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즉 마태복음 27장 50절에서는, “예수께서 다시 크게 소리 지르시고 영혼이 떠나시다”라고 했고, 사도행전 7장 59절에서는, “...스데반이 부르짖어 가로되, 주 예수여 내 영혼을 받으소서”라고 하여, 이곳의 영혼은 마치 사람이 죽을 때 몸에서 떠나가는 혼백(魂魄) 같은 것으로 오해하게 한다. 이곳의 “영혼”은 히브리어 “루아흐”에 해당하는 헬라어 “프뉴마”인데, 사람이 죽을 때, 그것을 주신 하나님께 돌아가는 생명의 근원인 생기, 호흡 혹은 생명 자체를 뜻하는 말로 우리말 성경에서 영혼이라고 번역함으로써 마치 의식을 가진 혼백이 떠나는 것처럼 오해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성경의 표현은 하나님을 자신의 생명의 근원으로 믿는 신앙에 기초한 것으로 (욥 33:4), 전도서(12:7)의 경우처럼 “신(루아흐)은 그 주신 하나님께로 돌아” 간다는 표현과 같은 것이다.

이렇듯 구약에서 389회 쓰여진 “루아흐”나 신약에서 “385”회 쓰여진 “프뉴마”가 비록 “신”이나 영, 때로 “영혼”으로 번역되기는 했지만 그것이 성령을 가리킨 경우를 제외하고, 인간과 연관되어 쓰여졌을 때, 불멸이라거나 죽은 뒤 몸을 떠나 의식을 가진 것으로 표현된 곳은 단 한군데도 없다. 이렇듯 확고한 성경의 확증 때문에, 굴지의 구약 학자인 카일(C. F. Keil)과 델리취(F. Delitzsch)도 그들의 창세기 주석에서, 때로 “신”이나 “영”으로 번역되는 “루아흐”가 사람을 다른 동물과 다르게 만드는 그런 영(靈)이나 영혼(靈魂)이 아니며, 단지 사람이나 일반 동물의 생명소(生命素)로서 필요한 “생명의 호흡”(Bewafh of life)일 뿐임을 확인하고 있다(창 6:17; 7:15, 22; 왕상 17:17). 사람이 동물과 다른 점은 생기 자체에 있지 않고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데 있는 것이다.

“사람이 생령이 된지라”

앞서 말한 과정을 거쳐 흙과 같은 성분으로 구성된 생체조직에 하나님께서 공급하신 생명소인 생기가 작용하면서, 인체는 각가지 생화학작용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동시에 사람은 두뇌의 활동을 통하여 의식(意識)을 가지고 사고(思考)하는 생명체, 곧 생령(生靈)이 된 것이다.

구약 성경의 생령 - “네페슈”

창세기 2장 7절의 “생령”이란 말은 히브리어로는 “네페슈하야”(nephesh chayah)인데 살아 있는 존재를 가리키는 “하야”와 “숨쉬다”는 동사 “나파슈”(naphash)에서 나온 명사인 “네페슈”가 합쳐져, “숨쉬며 살아 있는 존재”(living being), 곧 생명체를 뜻한다.
그래서 새 국제 번역 (NlV)이나 개혁 표준역(RSV) 성경 등은 그것이 무슨 몸이 없는 혼 같은 것으로 오해되지 않도록, 예전처럼 “생령”(living soul)으로 번역하지 않고 “산 존재”(living being)로 바꾼 것은 잘한 일이다. “생령” 혹은 “영혼”등으로 표현된 히브리어 “네페슈”는 구약에 무려 754회나 나오는데 그 중에 22번은 새, 물고기, 짐승 등을 가리켰으며, 7번은 사람과 짐승을 동시에 가리켰다. 영혼[네페슈]을 불멸의 혼백 같은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잘못된 일인지 아래의 성경 절에서 확인 해보자.

“육체의 생명은 피에 있음이라” (레 17:11)
“...피는 그 생명인 즉 네가 그 생명을 고기와 아울러 먹지 못하리니”(신 12:23)

이상에서 “생명”으로 표현된 밀은 히브리어로 “네페슈”인데, 자주 “영혼”으로 잘못 오해되는 말이다 “네페슈”를 불멸의 영혼으로 생각하고 “생명” 대신 “영혼”을 넣어 말을 만들어보라. “육체의 영혼은 피에 있다”든지, “피는 그 영혼인즉 네가 그 영혼을 고기와 아울러 먹지 말라”는 희한한 말이 된다. 피가 생명일 수는 있어도 영혼일 수는 없는 것이다.

만약 “영혼”으로 번역된 이 “네페슈”를 일반이 오해하는 대로 그런 불멸의 혼백 같은 것으로 생각하면 어떻게 되는가? 도살장에 죽어 넘어진 소나 밥상에 오르는 물고기, 석쇠에 걸려 구어 지고 있는 닭들에게도 불멸의 영혼이 있다는 어불성설(語不成說)이 되고 만다. 왜냐하면 성경에는 실제로 믈고기, 새, 파충류와 육축들이 인간과 동일한 “네페슈”로 불리기 때문이다. 창세기 1장 20, 21, 24, 30절의 “생물”은 모두 “네페슈”의 번역이다.

그런데 역시 번역하는 사람의 판단이나 문맥에 따라, “네페슈”는 “사람”, “생명”, “생물” “짐승”, “마음”, “죽은 사람”으로 표현되었고, 절반 이상은 “영혼”으로 번역하여, 마치 죽은 후에도 존재할 수 있는 비물질적인 혼백이 있는 것처럼 오해하기 십상(十常)이게 만들었다. 참 뜻인 “생명”(life)으로는 119번 번역했을 뿐이다.

그러므로 “영혼”으로 대부분 번역되어 불멸의 혼백으로 인상을 가리키는 것이지, 인간 속에 있는 어떤 독립적인 본질로 죽을 때 몸을 떠나 존재하는 무슨 귀신같은 불멸의 혼백이 결코 아니라는 결론이다.

신약 성경의 생령 - “프쉬케”

살아있는 생명체를 가리키는 구약의 히브리어 “네페슈”에 해당하는 신약의 헬라어는 “프쉬케‘(psuche)인데, 신약 성경 전체에 105번 쓰여졌다. 이 말 역시 번역하는 사람의 판단에 따라, “생명”으로 40번, “마음”으로 3번 표현되고, “영혼”으로는 58번이나 번역되었다. 이러한 말의 혼동(混同) 때문에 다음과 같은 혼란(混亂)을 일으키는 비평이 나오게 마련임을 실례로 든다.

비평(탁명환) : “신약 성경에는 최소한 두 번 ”프쉬케“가 사람이 죽은 후에도 계속 존재하는 인간의 어떤 양상임을 지적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그 첫 번째 예가 마태복음 10장 28절이다. “몸은 죽여도 영혼(프쉬케)은 능히 죽이지 못하는 자들을 두려워하지 말고 오직 몸과 영혼(프쉬케)을 능히 지옥에 멸하시는 자를 두려워하라” 이 구절에서 “프쉬케”는 [안식교회의 가르침처럼...] 한 인간 전체(全人)를 뜻하는 명칭일 수가 없다. 그렇다면, 몸이 죽을 때 “프쉬케”도 죽을 것이기 때문이다”.

변증 : 말뜻의 혼동과 함께 선입관이 가져오는 혼란이 단순한 말씀을 복잡하게 만드는 실례이다. 이 말씀을 계속 설명해 내려가는 문맥인 마태복음 10장 39절에 의미가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자기 목숨(프쉬케)을 얻는 자는 잃을 것이요, 나를 위하여 자기 목숨(프쉬케)을 잃는 자는 얻으리라.” 앞 절인 28절에서 “영혼”으로 번역한 같은 말을 39절에서는 “목숨”, 즉 “생명”(life)으로 바르게 번역하여 본 뜻을 바르게 드러내고 있다.

참 뜻이 무엇인가? 그리스도를 위하여 핍박을 받아 육신의 생명을 빼앗아 갈지라도, “너희 생명이 그리스도와 함께 하나님 안에 감취었”(골 3:3)음을 기억하고, 그리스도 안에서 이미 주어진 그 영원한 생명(요 5:24; 요일 5:11, 12)은 핍박자들이 빼앗지 못할 것이므로 그리스도를 위하여 기꺼이 잠시 뿐인 육신의 생명을 버리는 일까지도 두려워 말라는 격려이다. 왜냐하면 “우리의 생명이신 그리스도께서 나타나실 그 때에 너희도 그와 함께 영광중에 나타”(골 3:4)날 것이며, 생명을 잃었을지라도 다시 얻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10장 28절 말씀이 몸은 죽어도 영혼은 죽지 않는다는 뜻이 아님을 같은 내용의 말씀인 누가복음 12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내가 내 친구 너희에게 말하노니 몸을 죽이고 그 후에는 능히 더 못하는 자들을 두려워하지 말라. 마땅히 두려워할 자를 내가 너희에게 보이리니 곧 죽인 후에 또한 지옥에 던져 넣는 권세 있는 그를 두려워하라”(4, 5절).

오히려 마지막 심판 때에(계 20:12~15), “오직 몸과 영혼을 능히 지옥에 멸하시는 자”이신 하나님을 두려워하라는 반대의 뜻이다. 왜냐하면, “범죄 하는 그 영혼은 죽으리라”(겔 18:4)고 선언되어 있어 영혼은 불멸이라는 생각을 강력히 부인하고 있다. 죽은 후에도 영혼이 있다는 두 번째 증거로 훼케마 씨는 다시 다음의 예를 들고 있다.

비평(훼케마) : “두 실례 가운데 두 번째 것은 계시록 6장 6~11절에 있다. ‘다섯째 인을 떼실 때에 내가 보니 하나님의 말씀과 저희의 가진 증거를 인하여 죽임을 당한 영혼들[프쉬케의 복수인 프쉬카스]이 제단 아래 있어 큰 소리로 불러 가로되, 거룩하고 참되신 대주재여 땅에 거하는 자들을 심판하여 우리 피를 신원하여 주지 아니하시기를 어느 때까지 하시려나이까 하니’”

제단 아래 있는 영혼

변증 : 훼케마 씨는 위에 묘사된 영혼들이 순교 당하여 죽은 사람들의 영혼들로 죽은 후에도 의식을 가진 채 부르짖고 있다고 강조한다. 그 말이 참이라면, 그리스도를 위하여 목숨을 잃은 각시 대 모든 순교자들의 형체도 없는 허다한 영혼들이 성전에서 제물을 드리는 좁은 제단 아래 오글오글 밀집(密集)해 있으면서 원통함을 참지 못하여 소리 지른다는 뜻인가? 그러한 일이 실제로 있을 수 있을까 생각해 보라.

주지하는 대로 요한계시록은 심오한 영적인 진리를 주로 상징을 통하여 드러내고 있다. 실례로 앞 장인 5장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킨 어린양이 “일곱 뿔과 일곱 눈이 있”(5:6)는 것을 계시에 나타났다. 모든 것을 통찰하시는 완전한 지성의 상징인 일곱 눈과 누구라도 이길 수 있는 능력을 인상 깊게 상징한 일곱 뿔이다. 분명히 상징적 의미인 것이다.

왜 영혼들이 제단 아래 있는가? 제단은 성소의 뜰에 있던 것으로 제사장은 희생 제물의 피를 제단 사면에 뿌렸다(레 1:5 ; 3:2 ; 17:6). 그래서 억울하게 죽은 순교자들의 희생의 피도 제단 아래 있는 것으로 적절히 상징되었다. 또한 같은 레위기에, “육체의 생명은 피에  있음이라. 내가 이 피를 너희에게 주어 단에 뿌려”(17:11) 속죄하는 것으로 표상되어 있다. 피는 희생제물의 생명을 상징한 것이다. 제단 아래 뿌려진 희생제물의 피는 제물의 생명(프쉬케)이 희생된 것을 상징하기 때문에, “우리 피를 신원 하여”달라고 부르짖고 있다. 결국 피가 부르짖는 것이다.

어떻게 피가 부르짖는가? 하나님께서도 아우를 죽인 가인을 향하여 “네 아우의 핏소리가 땅에서부터 내게 호소하느니라”(창 4:10)로 말씀하셨다. 이른 바 문학에서의 의인법(擬人法)이다. 예수님의 피는 아벨의 피보다 더 낫게 말한다고 표현되었다(히 12:24). 부르짖음에 대한 응답으로 “각각 저희에게 흰 두루마기를 주”(6:11)셨다고 했는데, 육신의 실체도 없다고 상상들을 하고 있는 영혼들이 어떻게 두루마기를 입을 수 있는가?
상징과 실제를 구별하지 못하면 이상과 같이 해석상의 혼란을 겪게 마련이다. 훼케마 씨가, 신약에서 “영혼”으로 번역된 “프쉬케”가 사람이 죽은 후에도 의식을 가지고 존재하는 어떤 본질이라는 증거로 제시한 이상의 두 경우가 모두 성경과 상식에 일치하지 않는 모순된 주장임을 밝히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대로 신, 구약 성경에 “생기”, “호흡”, “신”, “영”, “영혼”, “생명”, “목숨”, “생물”, “마음”등 여러 가지로 번역된 구약의 히브리어와 신약의 헬라어가 아래와 같이 분포되어 있다.


구약 · 히브리어: 루아흐(ruach)  389회
                      네피쉬(nephesh)  754회
                      네솨마(neshamah) 25회
신약 · 헬라어: 프뉴마(pneuma)  385회
                   프쉬케(psuche)  105회
----------------------------------------
                                        합계 1,658회

그런데 이토록 1,658회나 쓰여진 말들이 때로 “영”이나 “신”, “영혼”으로 번역되기는 했어도 그것 자체가 불멸이라거나 죽은 뒤에 몸에서 분리되어도 의식을 가지고 존재한다는 말이 단 한군데도 없다. 그것이 사실이라면 한 두 군데라도 분명히 적혀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영혼이 불멸이요 결코 죽지 않는지 1,700(1,685)번 물어보라. 한결같이 압도적인 대답은 단 한 번도 없다는 사실이다! 수백번 사용되면서도 단 한번 어디에서고 영혼은 본질적으로 죽지 않는다든지 영이 불멸이라고 말하는 데가 없다. 불멸이 영혼이나 영의 본질적인 속성이라면 이런 일은 이상하고도 생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

삼위일체 , 영혼불멸 성경에 어긋남.

... 다만 애매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성경구절이 더 많다. 영혼불멸 사람이 죽으면 어떻게 되는가? 성경은 사람들이 죽으면-의식이 없는상태...

영혼불멸설 관련 질문1) 영혼불멸...

... 머리말 영혼불멸설의 핵심 교리 : 사람이 죽으면 즉시... 성경(신명기 18장10∼11절)에서는 그러한 사람들을 ①... 성령 삼위일체로 존재하시며 .. 삼위일체 중에 2 위 성자...

근데 아빠가 성경책 기록이 역사기록...

... 이 성경을 연구중에 발견하여 .. ' TRINITY = 삼위일체 하나님 ' 이라는 용어를 처음... 후에는 불멸영혼에 대한 천국 지옥의 심판이 있으리니 .. " " 죄를 짓는 자는 사탄...

영혼, 마음이 없는 껍데기는 아무것도...

... 관련된 성경구절이 있나요? 영혼, 마음에 생명이... 후에는 불멸영혼에 대한 천국 지옥의 심판이 있으리니 ..... 성령 삼위일체로 존재하시며 .. 삼위일체 중에 2위 성자...

관련된 성경구절이 있나요? 영혼, 마음에...

... 관련된 성경구절이 있나요? 영혼, 마음에 생명이... 후에는 불멸영혼에 대한 천국 지옥의 심판이 있으리니 ..... 성령 삼위일체로 존재하시며 .. 삼위일체 중에 2위 성자...

성경공부 하고 싶은데요

... 스터디성경책은 있어서 이거로 하면 될까여? 알려주세여! 성서는 "이야기책... 삼위일체, 영혼불멸, 지옥, 동성애합리화, 국가주의합리화, 등 여러 성서를 기본 교리로...

천국의 구원은 하늘에서 천국의 성이...

... 성경에서 말하는 "천국"은, 시체가 벌떡 일어나는... TRINITY 삼위일체 교리 입니다 .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 후에는 불멸영혼에 대한 천국 지옥의 심판이 있으리니 .....

천지(天地)를 짓지 아니한 신들은 망하리라

... 사단의 영혼불멸 설에 그들의 뿌리를 박고 있으니 이는... 말씀(성경) <개역, 고전 8:5~6> 『 비록 하늘에나 땅에나... (기독교)의 삼위일체 예수이며, 이슬람교의 알라 신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