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퀴나스 그리스도교

아퀴나스 그리스도교

작성일 2023.10.31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아퀴나스는 신에 대한 이성적 인식으로 행복에 이를 수 있다고 했잖아요
근데 아퀴나스도 그리스도교인데 신에 대한 직관적 인식이 아니라 신의 은총을 받아야 행복해질 수 있는 것 아닌가요?
#윤사질문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성 안셀무스가 말했죠. ( 한국에서는 성 아우구스티누스 라고 잘못 알려짐)

"하느님을 믿기위해 아는것은 인성이지만 (인간적인 필요성)

하느님을 알기위해 믿는것은 신성이다." (은총으로 가능).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성인들 말이라고 무조건 옳은건 아님.

토마스아퀴나스는 여자 태아는 남자 태아보다 영혼이 늦게 생긴다는 바보같은 말을 했음.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은사를 받으면 너무 좋겠지만

단순히 은사를 받음에 멈추면 안되고

은사를 받고자 하는 사람은 하나님의 도구가 될 준비도 해야겠지요

기도를 통해 하나님께서 보여주시는 개인에 대한 은혜와 역사하심을 깨닫는 것도 아주 행복한 일입니다.

성령의 임재는 꼭 은사를 통해 보여지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퀴나스는,

성경에 빠진 교부철학자입니다.

교부철학 스콜라철학 ~

중세유럽의 철학은, 종교적 신학을 중심으로한 철학이므로, 이를 교부철학이라 함.

기존의 로마와 그리스의 철학은 인본주의(헬레니즘)인데 반하여,

교부철학은 신본주의(헤브라이즘)를 표방하며,

모든 철학과 이성은 천동설에 의한 창조를 주장하는,

기독교의 교리를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으로 스콜라철학이라고도 하며,

대표적 주장자는 토마스 아퀴나스이다.

[교부철학자(스콜라철학자)는 성서의 불합리성이나, 이치에 맞지 않는 내용을,

천동설에 의한 창조를 주장하는, 신의 비유라고 주장하며,

이를 합리적으로 꿰어 맞추려 노력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 정신을 이어받은 사람들이 신학자, 신학연구자]

인과응보~

누구나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되어나야 합니다. 이것이, 선천적 “평등입니다. 그러므로, 누구나, 평등하게 태어난 이후, 자신의 잘못에 따라, 불평등이 존재한다면, 누구를 탓 할 수도 없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아무런 잘못 없이, 사람은 출생부터, 선천적 “불평등”이 존재합니다.

어떤 사람은 부유한 집안에, 어떤 사람은 가난한 집안에, 어떤 사람은 신체적 불구로, 어떤 사람은, 수명이 짧기도 합니다. 태어나면서부터 생기는, 선천적 “불평등은, 자신의 “전생의 업보”가 아니면, 설명할 수 없습니다. 태어나면서, 생기는 선천적 "불평등과 운명”은, 윤회에 의한, 장기적, “인과응보”의 결과라 생각될 뿐입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운명~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자신의 “전생업”에 따라, 사람마다, “불평등하게, 차후 환생을 한다”고 합니다. (살았을 때의 기록은, “행위”마다, 마음 깊숙히 있는, 아뢰아식에 기록되고, 죽게 되면, 육신은 없고, 마음뿐이므로, 마음만 가지고, 저승에서 살다가, 육신을 받아 환생하므로), “이승”에서는, 마음에 기록된 “업”에 따라, 중간에 선업이 있다면, 복덕로, 악업이 있었다면, 고통을 받게 되므로서, “전생의 업”을, “소멸’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을, “운명”이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전생업”이 “현생의 운명이 된다고 합니다. (이것을 통계적으로 파악한 것을, 사주팔자, “사주 명리학”이라 합니다).

전생기억은, (죽게 되면, 육신은 없고, 마음뿐이므로, 마음만 가지고, 저승에서 살다가, 육신을 받아 환생하므로), 대부분, 마음에 기록된, 자신의 전생을 기억하지 못하게 됩니다(모든 전생을 기억하게 된다면, 오히려 괴로움만 더할 뿐입니다). 이와 같이, 이승에서 어려움과 고통, 그리고 행복은, “전생과보”에 의한 것이므로, 소위, 전생에 “나라를 구한 공덕인가?”라며, 느닷없는, 큰 행운을, 빗대어 말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숙명론과 불교~

전생에 의한 과거 "업보"는, 숙명적으로 태어 났지만,그것을 현재의 공덕으로 얼마든지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불교이고, 변화시킬수 없다는 것이 "힌두교"입니다. 불교는 현재에 짓는 "공덕과 업보"는 "내생의 거울"이 되므로, “죄업을 짓지 마라”는 것이, 주된 가르침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블로그 참조

하나님 하느님 예수는 누구인가? 가짜 하나님이지요? ~블로그 바로가기

https://blog.naver.com/andsing/222397419172

불교사찰과 불교기도문, 부처와 보살의 모습(천수경기도문: 신묘장구대다라니경)~블로그 바로가기

https://blog.naver.com/andsing/221955604245

아퀴나스 그리스도교

아퀴나스는 신에 대한 이성적 인식으로 행복에 이를 수 있다고 했잖아요 근데 아퀴나스그리스도교인데 신에 대한 직관적 인식이 아니라 신의 은총을 받아야 행복해질 수...

성 토마스 아퀴나스여 저희를 위하여...

... 아퀴나스그리스도교 최대의 신학지이며, 그의 사상은 그의 사후부터 현재까지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을 지배하고 있고, 그의 저서들은 신앙과 이성 간의 예리한...

아퀴나스 스콜라철학

... 따라서 주지주의는 주의(신의 지시와 계획)와 의지(인간의 선택과 행동)를 조화시키는 철학적 관점을 나타내며, 이는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적 개념과 그리스도교의...

(내공50)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

... 아퀴나스, 아우구스티누스 모두 중세 그리스도교 사상가들이죠~ 천여년에 걸친 중세에는 그리스로마의 고전문화와 그리스도교라는 종교사상이 결합하여 서양의 지배적...

아퀴나스 근본사상

...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는 중세 철학의 중요한 철학자로서 기독교 교리와 그리스도교 신학을 철학적으로 탐구하였습니다. 그의 근본사상은 다음과 같은 주요 요소를...

아퀴나스는 소크라테스의 영향을...

... 자체가 이미 내세랑 현세를 구분하고있는거 아닌가요? 아퀴나스그리스도교 신자니까요. 종교가 그리스도교라서 신에 대한 언급,내세에 대한 이야기가 자주 등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