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왕에 관하여...

바로왕에 관하여...

작성일 2023.05.0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모세가 태어났을때의 바로왕과 출애굽시의 바로왕은 다른 사람이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선 '바로' 라는 말은 '왕' 이라는 의미의 보통명사이지 애굽의 어느 왕의 고유명사는 아니라는 점입니다.

하나님의 명령과 모세의 인도로 애굽에서 나올 때의 모세의 나이는 80세였기 때문에 모세가 날 때의 왕과는 다른 왕이라고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모세가 날 때 애굽의 왕이 같이 났다고 해도 출애굽시에는 80세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대개 국가의 왕들은 미성년에게는 허락하지 않습니다. 만일 미성년자가 왕이 되면 수렴청정[섭정]이라고 하는 도움을 받게 됩니다.

(출 2:22) 그가 아들을 낳으매 모세가 그의 이름을 게르솜이라 하여 이르되 내가 타국에서 나그네가 되었음이라 하였더라

(출 2:23) ○여러 해 후에 애굽 왕은 죽었고 이스라엘 자손은 고된 노동으로 말미암아 탄식하며 부르짖으니 그 고된 노동으로 말미암아 부르짖는 소리가 하나님께 상달된지라

(출 4:18) ○모세가 그의 장인 이드로에게로 돌아가서 그에게 이르되 내가 애굽에 있는 내 형제들에게로 돌아가서 그들이 아직 살아 있는지 알아보려 하오니 나로 가게 하소서 이드로가 모세에게 평안히 가라 하니라

(출 4:19) 여호와께서 미디안에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애굽으로 돌아가라 네 목숨을 노리던 자가 다 죽었느니라

(출 7:6) 모세와 아론이 여호와께서 자기들에게 명령하신 대로 행하였더라

(출 7:7) 그들이 바로에게 말할 때에 모세는 팔십 세였고 아론은 팔십삼 세였더라

http://kcm.kr/dic_view_title.php?nid=38306

kcm 성경연대기

B.C

2166 아브라함의 출생 (창 11:27)

2166 우르에서 하란까지 (창 12:4)

2091 아브라함가나안 도착 (창 12:56)

2067 할례 제정(창 17:9-14)

2066 이삭의 출생 (창21:23)

? 이 고난 받음 (욥 1:12-19, 2:7-11)

이 축복받음 (욥 42:10-15)

의 죽음 (욥 42:17)

2006 에서야곱의 출생 (창 25:26)

1991 아브라함의 사망 (창 25:8)

1929 야곱하란도피 (창 28:10)

1918 유다의 출생 (창 29:35)

1915 요셉의 출생 (창 30:24)

1898 애굽으로 팔려감 (창 37:36)

1886 이삭의 죽음 (창 35:29)

1885 애굽의 총리가 됨 (창 41:46)

1876 야곱애굽 이주 (창 46:7)

1859 야곱의 사망 (창 49:33)

1805 요셉의 사망 (창 50:26)

1527 모세의 출생 (출 2:12), 모세의 시 (시 90)

1447 모세바로의 1차 접견 (출 5:1)

1446 이스라엘애굽 탈출, 라암셋 출발 (출 12:37)

홍해 도착 (출 14:11)

만나,메추라기 시작 (출 16:13)

시내광야 도착 (출 19:1), 십계명 받음 (출 20:3-17)

1445 성막 건축 (출 40:33), 레위기의 규례 지시< 1-2월 >, 첫번째 인구 조사 (민 1:2)

시내산에서 가데스까지(민 33:16-36), 70인 장로선정 (민 11:24)

가데스 정탐군 파견 (민 13:3)

1406 모세의 유언 설교 (신 1장 - 신 33장), 모세의 죽음 (신 34:5), 아론의 죽음 (민 20:28)

모압 광야 도착, 두번째 인구 조사 (민 26:1), 발람발락의 사건 (민 22장 - 민 24장)

후계자 여호수아 임명 (민 27:23), 요단 동편정복 (민 32:1)

1405 요단강을 건넘 (수 3:17), 이스라엘가나안 도착, 두번째 유월절 (수 5:10)

만나 그침 (수 5:12), 요단 동편땅 분할 (수 13:15-31)

1400 요단 서편땅 분할 (수 14장 - 수 17장), 실로에 회막 세움 (수 18:1)

1390 여호수아 사망 (수 24:29)

1375 사사 통치의 시작

1384 옷니엘 < 40년 사역 > (삿 3:9-11)

1316 에훗 < 80년 사역 > (삿 3:15-30)

1236 삼갈 (삿 3:31)

1216 드보라바락 < 40년 사역 > (삿 4장, 삿 5장)

1169 기드온 < 40년 사역 > (삿 6장 - 삿 8장)

1120 돌라야일 (삿 10:1-5)

1117 나오미

1103 사무엘의 출생

1085 입다 < 6년 사역 > (삿 11:1-33)

1079 입산.엘론.압돈 (삿 12:8-15)

1075 삼손 < 20년 사역 > (삿 13장 - 삿 16장), 사무엘의 사역 < 75년 > (삼상 7:3), 미스바 대회개 (삼상 7:3-11)

1050 사울 치하의 통일왕국시대 (삼상 10:24)

1040 다윗의 출생 초기생애 (시 7:11-13,17,22,23,34,35,52,54,56,57,59편)

1025 기름부음 받은 다윗 (삼상 16:13)

1020 다윗골리앗 (삼상 19:1-15)

1017 사무엘의 죽음 (삼상 25:1)

1010 사울의 전사 (삼상 31:6, 대상 10:6), 다윗의 등극 < 헤브론 > (삼하 2:4, 대상 11:3),

왕정 초기 (시 8, 9,15,16,18-21,24,26,29,36,58,60,68,101,108,110편)

1003 다윗의 통일왕국 (삼하 5:5), 예루살렘 천도 (삼하 5:9, 대상 11:7)

법궤예루살렘 안치 (삼하 6:16, 대상 15:29)

991 다윗의 간음죄 (삼하 11:1-21), 범죄 후 망명 전 (시 5,6,32,38-41,51,55,64편)

990 솔로몬의 출생 (삼하 12:24)

979 압살롬의 반란(삼하 15:10-12), 망명시기(시 3,4,27,28,31,61,63,69,70,143편), 아삽의 시(시 50, 73-83편)

고라 자손의 시(시 42,44-49,84,85,87,88편), 헤만의 시 (시 88장), 왕정 말기 (시 3,37,103,139편)

973 블레셋의 침입 (대상 20:4), 다윗의 인구조사 범죄(삼하 24:1-7) (대상 21:1)

970 다윗의 죽음(왕상 2:10, 대상 28:11-21), 솔로몬의 등극 (왕상 2:12), 솔로몬의 시 (시 72,127편)

966 성전 기공 (왕상 6:1, 대하 3장, 4장)

965 아가서 기록

959 성전 완공 < 7년 > (왕상 6:38), 왕궁기공(왕상7:1)

솔로몬잠언(잠 1장 - 잠 9장, 잠 10:1-22, 16:25-29,31장), 아론잠언 (잠 30장)

935 솔로몬전도서 기록

931 솔로몬의 죽음 (왕상 11:43, 대하 9:31), 왕국 분열 (왕상 11:43-12:20)

926 애굽시삭의 침입 (왕상 14:15-28)

910 아사유다왕 즉위 (왕상 15:8, 대하 14:1)

885 오므리이스라엘왕 즉위 (왕상 16:23)

875 엘리야의 사역 시작

874 아합이스라엘왕 즉위 (왕상 16:29)

872 여호사밧유다왕 즉위 (왕상 22:41, 대하 17:1)

853 벤하닷사마리아 침입, 아합의 전사 (대하 18:34)

848 엘리사의 사역 시작 (왕하 2:13)

841 예후이스라엘왕 즉위 (왕하 10:30), 아달랴 왕후의 유다 섭정 (대하 22:12)

835 요아스유다왕 즉위 (왕하 11:21), 요엘의 사역 시작

814 여호아하스이스라엘왕 즉위

797 엘리사의 사역 종결 (왕하 13:20)

796 요엘의 사역 종결

793 요나의 사역 시작, 여로보암 2세의 이스라엘왕 즉위 (왕하 14:23)

790 웃시야의 유다왕 즉위 (대하 26:1)

783 살만에셀 4세의 앗수르왕 즉위

772 앗술단 3세의 앗수르왕 즉위

760 아모스의 사역 시작 (암 1:1)

759 요나니느웨 전도 (욘 3:1-10)

755 아모스의 사역 종결

754 앗술니라리 5세의 앗수르왕 즉위

753 스가랴이스라엘왕 즉위, 요나의 사역 종결

752 살룸의 반란,살룸이 시해됨

751 요담유다왕 즉위

746 호세아의 사역 시작 (호 1:1)

742 미가의 사역 시작, 브가히야이스라엘왕 즉위, 아하스유다왕 즉위

740 이사야의 사역 시작 (사 6:1)

733 르신베가의 침입 (사 7:1)

732 호세아이스라엘왕 즉위, 다메섹의 함락

728 히스기야의 종교개혁 (왕하 18:4, 대하 29-32장)

724 앗수르의 3차 침략 (왕하 17:5), 호세아의 사역 종결

722 북왕국 이스라엘의 함락 (왕하 17:6), < 북왕국 이스라엘의 마지막 왕 호세아 >

미가의 예언 성취 (미 1:67)

714 앗수르산헤립의 침입 (대하 32:1)

701 산헤립예루살렘 포위

697 므낫세유다왕 즉위 (대하 33:1)

695 미가의 사역 종결

669 앗술바나팔의 앗수르왕 즉위

663 테베의 멸망

681 이사야의 사역 종결

642 아몬유다왕 즉위

640 요시야유다왕 즉위(왕하 22:1, 대하 34:1), 나훔, 스바냐의 사역 시작

630 스바냐의 사역 종결

627 예레미야의 사역 시작 (렘 1:1)

622 요시야왕의 종교개혁

612 니느웨의 함락,앗수르의 멸망, 나훔의 예언 성취 (나 2, 3장) 힐기야율법책 발견(왕하 22:8, 대하 4:14),

하박국의 사역 시작

609 요시야왕의 전사,여호야김유다왕 즉위

608 하박국의 사역 시작 < 유다 >

605 갈그미스 전투 (왕하 24:1), 바벨론의 1차 침입 < 1차 포로 > 다니엘이 포로로 끌려감 (렘 46:2, 단 1:12)

602 여호야김의 반 바벨론 정책

601 애굽과의 재동맹 (렘 22:13-17)

598 바벨론의 2차 침입 < 2차 포로 > (왕하 24:10)

597 시드기야유다왕 즉위 (대하 36:11), 에스겔이 포로로 끌려감, 하박국의 사역 종결

593 에스겔의 예언 시작 < 바벨론 > (겔 1:12)

586 남왕국 유다의 함락 < 3차 포로 > 예루살렘 함락, 바벨론 포로가 됨(왕하 25:8, 대하 36:17),

하박국의 예언 성취 (합 1:5-11), 스바냐의 예언 성취 (습 1:8-18)

예레미야의 사역 종결 (렘 39:1-18), 오바댜의 사역 시작

583 오바댜의 사역 종결

580 다니엘의 풀무불 (단 3:19-25)

570 에스겔의 사역 종결

562 느부갓네살의 사망

559 바사고레스 즉위

550 다니엘의 4짐승 환상 (단 7:1-8)

539 고레스바벨론 점령 (단 5:30)

538 다니엘의 사자굴 (단 6:16-24), 고레스의 1차 귀환 조서 (대하 36:23)

537 1차 귀환 (스 2:1) < 스룹바벨 >

536 성전 재건 작업 1차 시작 (스 3:8), 성전 재건 작업 1차 방해,중단(스 4:4-23)

530 다니엘의 사망

522 다리오바사왕 즉위

520 학개,스가랴의 사역 시작 (슥 1장 -슥 8장), 성전 재건작업 재개 (스 5:2, 학 1:1) <학개, 스가랴의 사역 시작>

516 제 2성전 완공 (스 6:15), 스가랴의 사역 (슥 9-14장)

486 아하수에로바사 통치

480 그리이스의 바사 침공

479 왕후로 간택된 에스더 (에 2:17)

475 스가랴의 사역 종결

474 하만의 책략 (에 3:9)

473 부림절 제정 (에 9:28)

465 아닥사스다바사 통치

458 2차 귀환 조서 (스 7:11), 2차 귀환 (스 7:9) < 에스라 >

444 3차 귀환 < 느헤미야 > (느 2:9-11), 성곽 중수 필역 (느 6:15)

435 말라기의 사역 시작

433 바벨론으로 돌아간 느헤미야 (느 13:6), 말라기의 활동

432 느헤미야의 2차 귀국 (느 13:7)

37 헤롯유다왕 즉위

5 세례 요한의 탄생

4 예수 탄생 (마 2:11), 헤롯의 유아 학살 (마 2:16-18), 헤롯 대왕의 죽음

>> 목차고리 : 신구약 중간사

A.D

8 유아 예수예루살렘 방문

12 디베료 가이사로마황제 즉위

26 세례 요한의 사역 시작 (막 1:4)

본디오 빌라도유다 총독 부임

27 예수의 공생애 시작 (마 3:13-17, 막 1:14, 눅 1:36)

예수의 제1차 갈릴리 사역

가나안의 첫 이적 (요 2:1-11)

니고데모의 전도 (요 3:1-21)

28 12제자를 세우심 (마 10:1-4, 막 3:13-19)

예수의 제2차 갈릴리 사역

29 오천명을 먹이심 (마 14:13-21, 요 6:1-15)

물위를 걸으심 (요 6:16-21)

베드로의 신앙 고백 (눅 9:18-22)

예수의 제3차 갈릴리 사역

30 승리의 입성 (마 21:1-11)

성전 숙정 (눅 19:18-22)

주의 만찬 (막 14:22-25)

예수의 수난과 부활 (마 27, 28, 막 15:24-16:8, 눅 23:26-24:12, 요 19:17-20:10)

그리스도의 승천 (행 1:9-11)

오순절성령강림 (행 2:1-4)

스데반의 순교 (행 7:60)

32 사울다메섹 회심 (행 9:1-9)

35 바울예루살렘 1차 방문 (행 9:26, 갈 1:18)

44 요한이 형제 야고보의 순교 (행 12:12), 베드로의 투옥 (행 12:4)

45 대 기근 <글라우디오 치하 >

47-48 바울의 1차 전도여행 (행 13:1-14:28)

49 예루살렘 공회 (갈 2:1), 로마로부터 유대인 축출

50-52 바울의 2차 전도여행 (행 15:36-18:23, 살전 1:56, 3:1-6)

51 데살로니가 전.후서 기록

53-58 바울의 3차 전도여행 (행 18:23-21:16), 로마서 기록, 고린도전.후서 기록

54 네로로마황제 즉위

56 갈라디아서 기록

58 바울 체포 (행 21:27-39)

59 베스도유다총독 부임, 바울로마여행 (행 27:1-28:15)

60 히브리서 기록

61 바울로마 투옥 (행 28:16, 엡 3:16, 엡 1:12)

62 야고보서 기록, 주의 형제 야고보의 순교, 에베소서 기록, 빌립보서 기록, 골로새서 기록, 빌레몬서 기록

63 바울 석방, 디모데를 권고하여 에베소 교회에 머물게 함 (딤전 1:3), 디모데전서 기록

64 로마 대화재, 네로의 박해 < 1차 박해 >, 베드로전서 기록

66 유대인의 반란, 디모데후서 기록, 디도서 기록, 베드로후서 기록

67 바울의 순교

68 베드로의 순교

69 베스파시아누스예루살렘 침입

70 예루살렘 함락, 산헤드린 공회 폐지

70-80 유다서 기록

81-96 도미티아누스의 박해 < 2차 박해 >

90 요한계시록 서신서 기록

95 요한밧모섬 유배 (계 1:6), 요한계시록 기록

96 도미티아누스의 죽음

100 얌니아 회의, 사도 요한의 죽음

바로왕에 관하여...

... 우선 '바로' 라는 말은 '' 이라는 의미의 보통명사이지 애굽의 어느 왕의 고유명사는 아니라는 점입니다. 하나님의 명령과 모세의 인도로 애굽에서 나올...

남방 왕과 북방 왕을 아시나요?

... 위의 말씀에 나타난 남방 왕과 북방 왕에 관하여 연구해보자. 성경에는 다니엘... 이 원칙을 잊어버리면 마지막 사건과 예언에 관한 예언을 올바로 해석하기가 어려워진다....

그리스도왕 축일과 성서주간에 관하여...

... 예수님 *그리스도 축일 하느님 나라를 이루기 위하여 온 힘을 다하는 신앙인 들은 인간을 구원 하시고자 이 세상에 오신 그리스도를 왕으로 받들어 모십니다. 바로 오늘...

낚시왕 강태공 계급에 관하여

... 그리곤 왕족,.... 신(?)등등 되지 않을까 합니다. 91에 조성,101에 조선 이 된다고... 바로 더큰 대형 특수어종을 잡는다는 기대감과 설레임때문이 아닐까하네요.. 그리고...

열왕기하6장에 관하여...

... 24 이후에 아람 벤하닷이 그 온 군대를 모아 올라와서 사마리아를 에워싸니 ㅇ이후에 아람 벤하닷이 - 여기서 벤하닷 왕은 아합을 공격했던 바로 (Benhadad...

왕의 후궁들에관하여..

... 어른이 바로 혜빈 양씨였기 때문이지요. 이후 세조가 계유정난을 일으키면서... 엄씨등 사후에도 출궁하지 않고 궁에 잔류하였던 후궁들이 여럿 있습니다. (위에 답변하신...

아서왕 ppt를 하다 막혔어요 ㅠㅠ...

... 그의 가족에 관하여 4.그에 관련한 전설 이정도를... : 브리튼의 콘스탄스에게는 세 명의 아들이 있었다.... 곧바로 이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아더왕은 이에 밴...

[내공걸어요]왕의 남자 대본

... 막상 앞에서 공연을 시작하자 모든 광대들이... 바로 그 때 얌전하기만 한 공길이 기지를 발휘해 특유의... 받는 이: ****@*****.*** 메일제목: 지식인 왕의남자에 관하여......

알렉산드로스(알렉산더)에 관하여

... 그런데 알렉산더 대왕이 거리를 걷고 있을때, 바로 그 디오게네스가 나무통 안에 드러누워 햇볕을 쬐고 있는것을 알렉산더 가 발견했습니다. 반가운 마음에 알렉산더 대왕은...

태조이성계에 관하여 알려주세요

태조 이성계에 관하여 알려주세요 이성계의 가족관계 조선의 건국시조인 태조 이성계... 바로 완산군 이원계(1330 ~ ?)라는 분이지요. 이원계는 아버지 이자춘과 어머니 내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