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드립니다

질문드립니다

작성일 2021.12.0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평소에 불안해 하는 병이 있는데 가족들에게 걸리길 바라지도 않고 또한 가족들은 다 멀쩡한데 저 혼자만 불안해 하고 근데 생각에서 자꾸 하나님 이 병을 허락해달라고 계속 생각이나는데ㅜ제가 원하지 않는 생각입니다 진짜 이런건 진짜 어쩌죠 너무 두려워 죽겠어요


#질문드립니다 #질문드립니다 띄어쓰기 #질문드립니다 영어로 #질문드립니다 뜻 #교수님께 질문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기도로 강력히 물리쳐야겠네요 ᆞᆞㄱㅣ도해야돼요 반드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 감사합니다. 우선 질문자의 병은 분명한 병 즉 일종의 강박증으로 보입니다. 신앙이나 하나님과는 전혀 무관한 것이구요. 다만 흔한 질병일 뿐이라는 생각을 하여야 하고, 약으로 치료되는 경우가 많다고 하기 때문에[저는 여태까지 잘 몰랐습니다] 병원진찰을 받아서 약을 먹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건강보험이 세계적으로 잘 된 국가이기 때문에 병원비가 아주 많이 들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가까운 병원에 가셔서 진찰을 꼭 받아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병원에 가는 것이 어렵다면 동사무소 복지팀에 가서 사정을 말씀드려 보세요. 반드시 도와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게 매우 흔한 병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으면 결코 그 병을 고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강박장애

[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음성듣기 ,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요약 강박적 사고(obsession)와 강박 행동(compulsion)을 보이는 강박 및 관련 장애의 대표적인 질환

정의

강박장애는 강박 및 관련 장애의 하나로서, 강박적 사고(obsession) 및 강박 행동(compulsion)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이다. 환자들은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어떤 생각이나 충동, 장면이 침투적이고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강박 사고를 경험하며, 강박 사고나 완고하게 따르는 규칙에 따라 일어나는 반복적인 행동 또는 심리 내적인 행위인 강박 행동을 보인다. 예를 들어, 가스불이 켜져 있어 화재가 날 것 같은 생각이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것이 강박 사고이고, 이로 인한 불안을 없애기 위해 반복적으로 가스불을 확인하는 행동이 강박 행동에 해당한다. 강박 행동은 강박 사고나 이로 인한 불안, 괴로움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고, 또는 두려운 사건이나 상황의 발생을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일시적인 편안함을 제공할 뿐 궁극적으로 불안을 해소하지 못한다. 강박 사고나 강박 행동은 환자들로 하여금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모하게 만들고,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영역에서 현저한 고통과 기능의 손상을 초래한다.

원인

과거에는 강박장애의 원인을 심리학적 요인에 근거하여 설명하려는 노력이 많았으나 최근의 약물 연구 및 뇌 영상 연구의 결과들은 생물학적 요인이 강박장애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예를 들면, 뇌의 대표적인 신경 전달물질인 세로토닌 시스템과의 연관성이다. 임상 약물 실험 상 세로토닌 시스템에 작용하는 약물들이 강박장애 치료에 뚜렷한 효과가 있고, 다른 임상 연구 결과도 세로토닌 및 세로토닌 연관 물질과 강박장애 간의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많은 뇌 영상 연구가 강박장애에서 특정 신경회로 영역(대뇌피질-선조체-시상-대뇌피질 회로, 주로 안와전두엽, 미상핵, 앞쪽 띠이랑, 시상의 활성 및 연결성의 이상)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효과적인 치료 후 이러한 영역의 문제가 정상화 됨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도 있다.

증상

구체적인 강박 사고와 강박 행동의 내용은 개인마다 다르지만 청소(오염 강박 사고와 정리 강박 행동), 균형(대칭성에 대한 강박 사고와 반복하기, 정리정돈하기, 숫자 세기), 금기시된 생각들(공격적, 성적이거나 종교적인 강박 사고와 관련 강박 행동), 위해(자해나 타해에 대한 공포와 확인하기 강박 행동) 등의 증상이 흔하다.

강박 사고는 원하지 않는데도 떠오르는 식으로 침투적으로 경험되며 현저한 불안감이나 괴로움을 초래한다 (예,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성적인 장면, 다른 사람을 해치는 폭력적인 생각). 환자들은 강박 사고에 대해 유발 자극을 피하거나 사고를 억누르거나, 또는 다른 생각이나 강박 행동을 통해 중화시키려고 노력한다. 강박 행동은 반복적 행동 (예, 손 씻기, 확인하기)이나 심리 내적인 행위 (예, 숫자 세기, 속으로 단어 반복하기)로서 강박 사고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며 엄격한 규칙에 따라 수행한다. 대부분의 강박장애 환자는 강박 사고와 강박 행동을 모두 보인다.

진단/검사

미국정신의학회의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DSM-V)에 따른 진단 기준

A. 강박 사고나 강박 행동, 혹은 둘 다 존재하며,

강박 사고는 (1) 또는 (2)로 정의된다.

1.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생각, 충동 또는 심상이, 장애 시간의 일부에서는 침투적이고 원치 않는 방식으로 경험되며, 대부분 현저한 불안이나 괴로움을 유발함

2. 이러한 생각, 충동 및 심상을 경험하는 사람은 이를 무시하거나 억압하려고 시도하며, 또는 다른 생각이나 행동을 통해 이를 중화시키려고 노력함 (즉, 강박 행동을 함으로써)

강박 행동은 (1) 과 (2)로 정의된다.

1. 예를 들어, 손 씻기나 정리정돈하기, 확인하기와 같은 반복적 행동과 기도하기, 숫자 세기, 속으로 단어 반복하기 등과 같은 심리 내적인 행위를 개인이 경험하는 강박 사고에 대한 반응으로 수행하게 되거나 엄격한 규칙에 따라 수행함

2. 행동이나 심리 내적인 행위들은 불안감이나 괴로움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고, 또는 두려운 사건이나 상황의 발생을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됨. 그러나 이러한 행동이나 행위들은 그 행위의 대상과 현실적인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명백하게 과도한 것임

B. 강박 사고나 강박 행동은 시간을 소모하게 만들어 (예, 하루에 1시간 이상),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C. 강박 증상은 물질 (예, 남용약물, 치료약물)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D. 장애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치료

강박장애의 치료에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가 효과적이며, 두 가지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단독 치료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박장애의 약물치료는 많은 임상 연구에서 효과가 입증이 되었다. 현재 대표적인 약물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이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약물치료 시작 후 4~6주에 효과가 나타나며, 10-12주 동안 약물치료를 받을 경우 약 75-80%의 환자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인다. 흔히 우울증에서 보다 높은 용량의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의 사용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개인에 따라 약물 반응 및 부작용 발생에 차이가 있고 효과가 나타나는 데 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중도에 치료를 포기하거나 불충분한 치료를 받는 경우가 흔하다. 따라서 인내를 가지고 꾸준히 약물치료에 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인지행동치료에는 생각을 과도하게 중요하게 여김, 위험에 대한 과대 추정, 완벽주의, 과도한 책임감 등 강박 장애 환자에서 나타나는 비합리적 신념과 인지적 오류를 보다 융통성 있고 현실적인 생각으로 변화시키는 인지 치료와 함께, 강박 증상을 유발하는 자극에 노출시키고 강박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불안과 강박 증상을 감소시키는 노출 및 반응 방지(Exposure and Response Prevention, ERP) 기법으로 대표되는 행동 치료가 포함된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와 인재행동치료에 충분히 반응하지 않을 경우에는 벤조디아제핀, 부스피론, 리튬, 클로미프라민, 항정신병약물 등 다른 약물을 추가해 볼 수 있다. 충분한 기간 동안 적절한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받았음에도 호전이 없는 치료저항성 강박장애의 경우에는 경두개자기자극술, 뇌심부자극술, 전기경련치료와 같은 신경조절술(neuromodulation)이나 정신외과적수술를 시도해볼 수 있다.

경과/합병증

강박장애의 경과는 일반적으로 길고 매우 다양하다. 증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증상이 나타났다가 사라졌다 하며, 상당기간 동안 잘 지내다가 다시 악화되기도 한다. 1/3 정도에서는 뚜렷한 호전을 보이고 1/2정도에서는 중등도의 호전을 보인다. 강박장애가 심한 경우 가정이나 직장에서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하기가 힘들어진다. 강박장애 환자는 강박사고를 유발하는 환경을 피하기 위해 많은 애를 쓰기도 하고 불안감을 달래기 위해 술이나 약물에 의존하기도 한다.

강박장애 환자들은 불안장애(평생 진단율 76%, 예, 공황장애, 사회불안장애, 범불안장애, 특정공포증)나 우울 및 양극성장애(합해서 63%의 평생 진단율, 주요우울장애 41%)와 높은 동반이환율을 보이며, 강박성 인격장애 또한 강박장애 환자의 23~32%가 동반이환될 만큼 흔하다. 강박장애 환자 중 30% 정도는 현재 또는 과거 틱장애의 병력이 관찰되며, 틱장애의 동반은 아동기 남아에서 흔하다.

관련질병

불안장애, 우울장애, 양극성장애, 강박성 인격장애, 틱장애

[ 지식백과] 강박장애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연차휴가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회사에서 1년 미만 근로자를 고용하게 되어 질문드립니다. 1. 급여항목에서 월차수당으로 내보냈는데 2024년 현재기준으로 월차수당= 연차수당의 개념일까요?...

이혼 소송 관련 질문드립니다

... 과정 및 절차를 아예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로시컴-네이버 지식iN 상담변호사 조아라 입니다. 혼인 기관에 형성한 기여도를 인정 받아야 하고 배우자의 유책...

퇴직연금 질문드립니다

... 퇴직금 관련 질문드립니다. 제가 23년 6월19일부터 7월말까지 알바로 일하고 8월부터 정직원되서 일했는데요 퇴직금 지급 시점이 알바로 일할때부터 계산이...

화학 질문드립니다

문제 풀이 부탁드립니다 [설명] (a) [1] 기체의 전체 압력은 각 기체의 분압의 합과 같으므로 P(total) = P(N2) + P(He) + P(Ne) = 0.32 + 0.15 + 0.42 atm = 0.89 atm...

마약변호사님께 질문드립니다..

... 제가 지금 모아둔 돈도 없고 마련가능한 상황도 아니라서 마약변호사님께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서울지방변호사회 소속으로 지식iN 법률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채의준...

fob, cif 질문 드립니다...ㅠ

베트남-인천 , 40ft , cif조건 ,수입자 요즘 선사이용이 90만원정도여서 가격이 조금 싼 fob로 돌릴예정인데 궁금한점이 있어서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ㅠ 1. cif->fob로 돌릴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