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은 언제쯤

성경은 언제쯤

작성일 2019.03.21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성경은 언제쯤 완성되었나요?
구약의완성. 신약의 완성 알고싶어요

두번째
구약의 율법서는 어느책부터 어느책인가요?
지식인 답변글보다가 궁금한것 문의드려요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귀한 질문 감사합니다. 성경은 한번에 하나님이 하늘에서 주신 것은 아니구요. 구약자체가 이스라엘의 역사 가운데서 하나님과 오실 메시아를 계시하는 책이기 때문에 이스라엘의 역사와 아주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스라엘의 형성은 이스라엘의 시조라고 할 수 있는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을 부르심으로부터 시작합니다. 아브라함의 부르심은 창세기 12장부터 시작합니다. 그런데 모세오경이라고 부르는 구약의 첫 5권의 책은 대부분을 모세가 쓴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명백히 일부분은 모세가 쓴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모세는 출애굽기에서 나타나는 인물입니다. 그러므로 성경의 기록은 모세 때부터 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구약의 마지막은 주전 400년 경 이후로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신약으로 이어짐]그런데 이스라엘의 출애굽은 주전 15세기 경의 일입니다. 


구약의 분류는 유대인들의 분류와 개신교의 분류와 교파별로 차이가 좀 있습니다. 정경의 형성과 구약의 분류에 대한 사전의 내용을 올립니다.


http://kcm.kr/dic_view_title.php?nid=38306

참고; kcm 연대기


   ?     창조 
   ?     노아시대  
         바벨탑 사건 (창 11:1-9

         족장시대 인물 연대표(아담부터 야곱까지)


B.C  


2166     아브라함의 출생 (창 11:27
2166     우르에서 하란까지 (창 12:4
2091     아브라함가나안 도착 (창 12:56
2067     할례 제정(창 17:9-14
2066     이삭의 출생 (창21:23)  
 ?       이 고난 받음 (욥 1:12-19, 2:7-11)  
         이 축복받음 (욥 42:10-15)  
         의 죽음 (욥 42:17
2006     에서야곱의 출생 (창 25:26
1991     아브라함의 사망 (창 25:8
1929     야곱하란도피 (창 28:10
1918     유다의 출생 (창 29:35
1915     요셉의 출생 (창 30:24
1898     애굽으로 팔려감 (창 37:36
1886     이삭의 죽음 (창 35:29
1885     애굽의 총리가 됨 (창 41:46
1876     야곱애굽 이주 (창 46:7
1859     야곱의 사망 (창 49:33
1805     요셉의 사망 (창 50:26
1527     모세의 출생 (출 2:12), 모세의 시 (시 90
1447     모세바로의 1차 접견 (출 5:1
1446     이스라엘애굽 탈출, 라암셋 출발 (출 12:37)

         홍해 도착 (출 14:11)  
         만나,메추라기 시작 (출 16:13)

         시내광야 도착 (출 19:1), 십계명 받음 (출 20:3-17
1445     성막 건축 (출 40:33), 레위기의 규례 지시< 1-2월 >, 첫번째 인구 조사 (민 1:2)  
         시내산에서 가데스까지(민 33:16-36), 70인 장로선정 (민 11:24)

         가데스 정탐군 파견 (민 13:3
1406     모세의 유언 설교 (신 1장 - 신 33장), 모세의 죽음 (신 34:5), 아론의 죽음 (민 20:28)  
         모압 광야 도착, 두번째 인구 조사 (민 26:1), 발람발락의 사건 (민 22장 - 민 24장)  
         후계자 여호수아 임명 (민 27:23), 요단 동편정복 (민 32:1
1405     요단강을 건넘 (수 3:17), 이스라엘가나안 도착, 두번째 유월절 (수 5:10)  
         만나 그침 (수 5:12), 요단 동편땅 분할 (수 13:15-31
1400     요단 서편땅 분할 (수 14장 - 수 17장), 실로에 회막 세움 (수 18:1
1390     여호수아 사망 (수 24:29
1375     사사 통치의 시작 
1384     옷니엘 < 40년 사역 > (삿 3:9-11
1316     에훗 < 80년 사역 > (삿 3:15-30
1236     삼갈 (삿 3:31
1216     드보라바락 < 40년 사역 > (삿 4장, 삿 5장) 
1169     기드온 < 40년 사역 > (삿 6장 - 삿 8장) 
1120     돌라야일 (삿 10:1-5
1117     나오미 
1103     사무엘의 출생 
1085     입다 < 6년 사역 > (삿 11:1-33
1079     입산.엘론.압돈 (삿 12:8-15
1075     삼손 < 20년 사역 > (삿 13장 - 삿 16장), 사무엘의 사역 < 75년 > (삼상 7:3), 미스바 대회개 (삼상 7:3-11

1050     사울 치하의 통일왕국시대 (삼상 10:24
1040     다윗의 출생 초기생애 (시 7:11-13,17,22,23,34,35,52,54,56,57,59편
1025     기름부음 받은 다윗 (삼상 16:13
1020     다윗골리앗 (삼상 19:1-15) 
1017     사무엘의 죽음 (삼상 25:1
1010     사울의 전사 (삼상 31:6대상 10:6), 다윗의 등극 < 헤브론 > (삼하 2:4대상 11:3),

         왕정 초기 (시 8, 9,15,16,18-21,24,26,29,36,58,60,68,101,108,110편
1003     다윗의 통일왕국 (삼하 5:5), 예루살렘 천도 (삼하 5:9, 대상 11:7)  
         법궤예루살렘 안치 (삼하 6:16, 대상 15:29
991      다윗의 간음죄 (삼하 11:1-21), 범죄 후 망명 전 (시 5,6,32,38-41,51,55,64편
990      솔로몬의 출생 (삼하 12:24
979      압살롬의 반란(삼하 15:10-12), 망명시기(시 3,4,27,28,31,61,63,69,70,143편), 아삽의 시(시 50, 73-83편)      

         고라 자손의 시(시 42,44-49,84,85,87,88편), 헤만의 시 (시 88장), 왕정 말기 (시 3,37,103,139편
973      블레셋의 침입 (대상 20:4), 다윗의 인구조사 범죄(삼하 24:1-7) (대상 21:1
970      다윗의 죽음(왕상 2:10대상 28:11-21), 솔로몬의 등극 (왕상 2:12), 솔로몬의 시 (시 72,127편
966      성전 기공 (왕상 6:1대하 3장, 4장) 
965      아가서 기록 
959      성전 완공 < 7년 > (왕상 6:38), 왕궁기공(왕상7:1)  
         솔로몬잠언(잠 1장 - 잠 9장, 잠 10:1-22, 16:25-29,31장), 아론잠언 (잠 30장) 
935      솔로몬전도서 기록
931      솔로몬의 죽음 (왕상 11:43대하 9:31), 왕국 분열 (왕상 11:43-12:20
926      애굽시삭의 침입 (왕상 14:15-28
910      아사유다왕 즉위 (왕상 15:8대하 14:1
885      오므리이스라엘왕 즉위 (왕상 16:23
875      엘리야의 사역 시작 
874      아합이스라엘왕 즉위 (왕상 16:29
872      여호사밧유다왕 즉위 (왕상 22:41대하 17:1
853      벤하닷사마리아 침입, 아합의 전사 (대하 18:34
848      엘리사의 사역 시작 (왕하 2:13
841      예후이스라엘왕 즉위 (왕하 10:30), 아달랴 왕후의 유다 섭정 (대하 22:12
835      요아스유다왕 즉위 (왕하 11:21), 요엘의 사역 시작 
814      여호아하스이스라엘왕 즉위 
797      엘리사의 사역 종결 (왕하 13:20
796      요엘의 사역 종결 
793      요나의 사역 시작, 여로보암 2세의 이스라엘왕 즉위 (왕하 14:23
790      웃시야의 유다왕 즉위 (대하 26:1
783      살만에셀 4세의 앗수르왕 즉위 
772      앗술단 3세의 앗수르왕 즉위 
760      아모스의 사역 시작 (암 1:1
759      요나니느웨 전도 (욘 3:1-10
755      아모스의 사역 종결 
754      앗술니라리 5세의 앗수르왕 즉위 
753      스가랴이스라엘왕 즉위, 요나의 사역 종결 
752      살룸의 반란,살룸이 시해됨 
751      요담유다왕 즉위 
746      호세아의 사역 시작 (호 1:1
742      미가의 사역 시작, 브가히야이스라엘왕 즉위, 아하스유다왕 즉위 
740      이사야의 사역 시작 (사 6:1
733      르신베가의 침입 (사 7:1
732      호세아이스라엘왕 즉위, 다메섹의 함락 
728      히스기야의 종교개혁 (왕하 18:4, 대하 29-32장) 
724      앗수르의 3차 침략 (왕하 17:5), 호세아의 사역 종결 
722      북왕국 이스라엘의 함락 (왕하 17:6), < 북왕국 이스라엘의 마지막 왕 호세아 >  
         미가의 예언 성취 (미 1:67
714      앗수르산헤립의 침입 (대하 32:1
701      산헤립예루살렘 포위 
697      므낫세유다왕 즉위 (대하 33:1
695      미가의 사역 종결 
669      앗술바나팔의 앗수르왕 즉위 
663      테베의 멸망 
681      이사야의 사역 종결 
642      아몬유다왕 즉위 
640      요시야유다왕 즉위(왕하 22:1대하 34:1), 나훔, 스바냐의 사역 시작 
630      스바냐의 사역 종결 
627      예레미야의 사역 시작 (렘 1:1
622      요시야왕의 종교개혁 
612      니느웨의 함락,앗수르의 멸망, 나훔의 예언 성취 (나 2, 3장힐기야율법책 발견(왕하 22:8대하 4:14),

         하박국의 사역 시작 
609      요시야왕의 전사,여호야김유다왕 즉위 
608      하박국의 사역 시작 < 유다
605      갈그미스 전투 (왕하 24:1), 바벨론의 1차 침입 < 1차 포로 > 다니엘이 포로로 끌려감 (렘 46:2단 1:12
602      여호야김의 반 바벨론 정책 
601      애굽과의 재동맹 (렘 22:13-17) 
598      바벨론의 2차 침입 < 2차 포로 > (왕하 24:10
597      시드기야유다왕 즉위 (대하 36:11), 에스겔이 포로로 끌려감, 하박국의 사역 종결 
593      에스겔의 예언 시작 < 바벨론 > (겔 1:12
586      남왕국 유다의 함락 < 3차 포로 > 예루살렘 함락, 바벨론 포로가 됨(왕하 25:8대하 36:17),  
         하박국의 예언 성취 (합 1:5-11), 스바냐의 예언 성취 (습 1:8-18)  
         예레미야의 사역 종결 (렘 39:1-18), 오바댜의 사역 시작 
583      오바댜의 사역 종결 
580      다니엘의 풀무불 (단 3:19-25) 
570      에스겔의 사역 종결 
562      느부갓네살의 사망 
559      바사고레스 즉위 
550      다니엘의 4짐승 환상 (단 7:1-8) 
539      고레스바벨론 점령 (단 5:30
538      다니엘의 사자굴 (단 6:16-24), 고레스의 1차 귀환 조서 (대하 36:23
537      1차 귀환 (스 2:1) < 스룹바벨
536      성전 재건 작업 1차 시작 (스 3:8), 성전 재건 작업 1차 방해,중단(스 4:4-23) 
530      다니엘의 사망 
522      다리오바사왕 즉위 
520      학개,스가랴의 사역 시작 (슥 1장 -슥 8장), 성전 재건작업 재개 (스 5:2학 1:1) <학개, 스가랴의 사역 시작> 

516      제 2성전 완공 (스 6:15), 스가랴의 사역 (슥 9-14장) 
486      아하수에로바사 통치 
480      그리이스의 바사 침공 
479      왕후로 간택된 에스더 (에 2:17
475      스가랴의 사역 종결 
474      하만의 책략 (에 3:9
473      부림절 제정 (에 9:28
465      아닥사스다바사 통치 
458      2차 귀환 조서 (스 7:11), 2차 귀환 (스 7:9) < 에스라
444      3차 귀환 < 느헤미야 > (느 2:9-11), 성곽 중수 필역 (느 6:15
435      말라기의 사역 시작 
433      바벨론으로 돌아간 느헤미야 (느 13:6), 말라기의 활동 
432      느헤미야의 2차 귀국 (느 13:7
37       헤롯유다왕 즉위 
5        세례 요한의 탄생 
4        예수 탄생 (마 2:11), 헤롯의 유아 학살 (마 2:16-18), 헤롯 대왕의 죽음  

>> 목차고리 : 신구약 중간사  



A.D   
 
8        유아 예수예루살렘 방문 
12       디베료 가이사로마황제 즉위 
26       세례 요한의 사역 시작 (막 1:4)

         본디오 빌라도유다 총독 부임 
27       예수의 공생애 시작 (마 3:13-17막 1:14눅 1:36)

         예수의 제1차 갈릴리 사역  
         가나안의 첫 이적 (요 2:1-11)

         니고데모의 전도 (요 3:1-21
28       12제자를 세우심 (마 10:1-4막 3:13-19)

         예수의 제2차 갈릴리 사역 
29       오천명을 먹이심 (마 14:13-21요 6:1-15)

         물위를 걸으심 (요 6:16-21)  
         베드로의 신앙 고백 (눅 9:18-22)

         예수의 제3차 갈릴리 사역 
30       승리의 입성 (마 21:1-11)

         성전 숙정 (눅 19:18-22)

         주의 만찬 (막 14:22-25)  
         예수의 수난과 부활 (마 27, 28막 15:24-16:8눅 23:26-24:12요 19:17-20:10)  
         그리스도의 승천 (행 1:9-11)

         오순절성령강림 (행 2:1-4)

         스데반의 순교 (행 7:60
32       사울다메섹 회심 (행 9:1-9
35       바울예루살렘 1차 방문 (행 9:26갈 1:18
44       요한이 형제 야고보의 순교 (행 12:12), 베드로의 투옥 (행 12:4
45       대 기근 <글라우디오 치하 > 
47-48    바울의 1차 전도여행 (행 13:1-14:28
49       예루살렘 공회 (갈 2:1), 로마로부터 유대인 축출 
50-52    바울의 2차 전도여행 (행 15:36-18:23살전 1:56, 3:1-6
51       데살로니가 전.후서 기록 
53-58    바울의 3차 전도여행 (행 18:23-21:16), 로마서 기록, 고린도전.후서 기록 
54       네로로마황제 즉위 
56       갈라디아서 기록 
58       바울 체포 (행 21:27-39
59       베스도유다총독 부임, 바울로마여행 (행 27:1-28:15
60       히브리서 기록 
61       바울로마 투옥 (행 28:16엡 3:16엡 1:12
62       야고보서 기록, 주의 형제 야고보의 순교, 에베소서 기록, 빌립보서 기록, 골로새서 기록, 빌레몬서 기록 
63       바울 석방, 디모데를 권고하여 에베소 교회에 머물게 함 (딤전 1:3), 디모데전서 기록 
64       로마 대화재, 네로의 박해 < 1차 박해 >, 베드로전서 기록 
66       유대인의 반란, 디모데후서 기록, 디도서 기록, 베드로후서 기록 
67       바울의 순교 
68       베드로의 순교 
69       베스파시아누스예루살렘 침입 
70       예루살렘 함락, 산헤드린 공회 폐지 
70-80    유다서 기록 
81-96    도미티아누스의 박해 < 2차 박해 > 
90       요한계시록 서신서 기록 
95       요한밧모섬 유배 (계 1:6), 요한계시록 기록 
96       도미티아누스의 죽음 
100      얌니아 회의, 사도 요한의 죽음  






https://ko.wikipedia.org/wiki/%ED%83%80%EB%82%98%ED%81%AC

유대교 성경의 구분[편집]

유대교 성경은 전통적으로 다음 세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유대교 성경의 이름 '타나크'는 이 세 분류명의 첫글자를 떼어 합성한 이름이다.

율법서 (토라)[편집]

율법서는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등 성경의 가장 앞부분에 위치해 있는 다섯 권의 두루마리를 분류하는 이름으로, 이스라엘 민족의 율법의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다섯 두루마리라는 뜻의 '오경(πεντάτευχος pentáteukhos)'이라 불리며, 모세가 오경을 저술했다는 전승에 따라 '모세오경'이라 불리기도 한다.

1. 창세기 (Genesis, בראשית 베레시트)
2. 출애굽기/탈출기 (Exodus, שמות 슈모트)
3. 레위기 (Leviticus, ויקרא 바이크라)
4. 민수기 (Numbers, במדבר 바미드바르)
5. 신명기 (Deuteronomy, דברים 데바림)

예언서 (네비임)[편집]

예언서의 원 이름인 '네비임'은 '예언자들'이라는 뜻을 가진다. 즉, 이스라엘 민족 가운데 나타난 예언자(נביא)들이 남긴 예언들이 기록된 책들을 묶는 이름이다. 비단 예언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에 개입하는 의 모습을 기록해 놓은 책도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가지로 세분화하기도 한다.

전기 예언서[편집]

보통 '신명기계 역사서'라고도 일컬어진다. 예언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적인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는 여호수아, 판관기, 사무엘 상, 사무엘 하, 열왕기 상, 열왕기 하 등이 이 범주에 속한다.

6. 여호수아기 (Joshua, יהושע 예호슈아)
7. 사사기/판관기 (Judges, שופטים 쇼프팀)
8. 사무엘기 (Samuel, שמואל 슈무엘)
그리스도교에서는 이를 상 & 하권으로 분류하였다.
9. 열왕기 (Kings, מלכים 믈라킴)
그리스도교에서는 이를 상 & 하권으로 분류하였다.

후기 예언서[편집]

이사야, 예레미야, 에제키엘(에스겔) 및 소예언서 12권이 이 범주에 속한다.

10. 이사야 서 (Isaiah, ישעיה 예샤아야후)
11. 예레미야 서 (Jeremiah, ירמיה 이르메야후)
12. 에스겔/에제키엘 서 (Ezekiel, יחזקאל 예헤즈켈)

이상의 세권을 '대예언서'라고도 부른다.

13. 열두 소예언서 (The Twelve Minor Prophets, תרי עשר 트레이 아사르) : 유대교의 성경에서는 한 권으로 취급하나, 개신교(기독교)에서는 각각의 낱권으로 분류한다.
I. 호세아 서 (Hosea, הושע 호셰아)
II. 요엘 서 (Joel, יואל 요엘)
III. 아모스 서 (Amos, עמוס 아모스)
IV. 오바디아 서 (Obadiah, עובדיה 오바드야)
V. 요나 서 (Jonah, יונה 요나)
VI. 미가/미카 서 (Micah, מיכה 미카)
VII. 나훔 서 (Nahum, נחום 나훔)
VIII. 하박국/하바꾹 서 (Habakkuk, חבקוק 하바쿠크)
IX. 스바냐/스바니아 서 (Zephaniah, צפניה 츠판야)
X. 학개/하깨 서 (Haggai, חגי 하가이)
XI. 스가랴/즈가리아 서 (Zechariah, זכריה 즈카르야)
XII. 말라기/말라키 서 (Malachi, מלאכי 말라키)

성문서 (케투빔)[편집]

성문서는 유대교의 성경의 목록이 확정된 얌니아 회의(기원후 90년) 이전에 나온 문서들 중에 경전성이 인정되는 작품들의 분류명이다. 이스라엘의 역사를 비롯, 시문학과 지혜문학이 주종을 이룬다.

시가서[편집]

14. 시편 (Psalms, תהלים 테힐림)
15. 잠언 (Proverbs, משלי 미슐레이)
16. 욥기 (Job, איוב 이요브)

지혜서[편집]

(원명은 다섯 두루마리)

17. 아가 (Song of Songs, שיר השירים 시르 하시림)
18. 룻기 (Ruth, רות 루트)
19. 예레미야 애가/애가 (Lamentations, איכה 에이카)
20. 전도서/코헬렛 (Ecclesiastes, קהלת 코헬레트)
21. 에스더/에스테르 기 (Esther, אסתר 에스테르)

기타 · 사서[편집]

22. 다니엘 (Daniel, דניאל 다니엘)
23. 에스라/에즈라 기 · 느헤미야 기 (Ezra · Nehemiah, עזרא ונחמיה 에즈라 베네헴야) : 개신교(기독교)에서는 한 권을 별도의 낱권으로 분류하였다.
24. 역대기 (Chronicles, דברי הימים 디브레이 하야밈)
개신교(기독교)에서는 이를 상 & 하권으로 분류하였다.

유대교 성경의 판본[편집]

이미 밝힌 바와 같이, 성경의 원문은 소실되어 없으며, 원문에 가깝다 여겨지는 여러 판본들이 존재한다. 구약성경은 애초에 이 판본 가운데 시대별로 신뢰성이 높다 여겨지는 판본을 번역하거나 번역본을 다른 언어로 재번역하는 등의 절차로 생겨났다. 2005년 가톨릭의 새번역 성경이 쓰일 당시에 참고했던 판본으로는 다음과 같은 판본들이 있었다.[1]

  • 마소라 본문: 많은 성경 번역본의 원문이 되고 있다. 마소라인이라는 명칭을 지닌 유대인 성경 본문 비평가들의 작업과 전승에 의해서 내려온 본문이다. 현재로서는 일반적으로 11세기 초에 제작되어 구 레닌그라드 공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사본(레닌그라드 사본)을 표준 본문으로 여긴다.
  • 그 외의 히브리말 수사본: 위의 레닌그라드 사본 이외의 수사본들.
  • BHS: 마소라 본문을 출판하면서 판면 하단에 본문비평의 각주를 첨가한 책으로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의 준말. 이 판본을 근거로 만들어진 번역본 성경들도 존재한다.
  • 커팁: 자음으로만 기록된 원래의 히브리말 본문.
  • 커레: 유대인 성경 본문 비평가들이 히브리말 본문을 전승하면서 자기들의 의견을 난외에 기록한 것.
  • 사마리아 오경: 사마리아인들이 전승한 모세 오경.
  • 쿰란 수사본: 쿰란 유적지에서 발견된 히브리말 성경 수사본.
  • 게니자 히브리말 수사본 단편: 카이로에 있던 유대교 회당게니자, 곧 전례에서 사용하던 사본들을 어떤 이유로 해서 폐기하기 전에 임시로 보관하던 창고에서 발견된 히브리말 성경의 단편들.
  • 타르굼: 히브리말 성경을 아람말로 번역, 설명한 것.

유대교 정경의 확립[편집]

유대교 정경의 확립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승들이 추정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2]

  • 기원전 400년경 에즈라가 성경을 집대성했다는 전승
    • 근거: 구약성경 집필의 전환점을 기원전 5세기에 두고 있는 요세푸스의 기록. 에즈라 4서 14장 45절 (외경)
    • 오늘날에 와서는 가치가 떨어짐: 에즈라 이후에 쓰인 성경의 각 권이 많이 존재함.
  • 대회당(大晦堂)의 사람들이 에즈라의 자극을 받아 경전을 확정지었다는 전승. 대회당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기원후 2세기경의 미쉬나에 나옴.
  • 얌니아 회의
    • 예루살렘 멸망 이후 랍비 요하난 벤 자카이얌니아에 세운 학교에서 유대교인들이 완결을 시겼다는 전승
    • 그리스도교를 정죄하는 내용이 얌니아 회의에 포함되었다
    • 묵시 경향을 띤 유대교 분파와 바리사이 파 간에 벌어진 논쟁이 동인이었다는 의견도 있다





http://kcm.kr/dic_view.php?nid=37744

그랜드주석


정경이란 하나님의 영감으로 이루어지고 신자의 신앙과 생활의 유일하고 절대적 규범이 되는 규범적 성경 목록을 가리킨다.

정경의 형성과정

Ⅰ. 정경의 정의

성경은 어느 한 저자가 장문의 단일한 책을 쓰는 식으로 기록된 것이 아니다. 성경은 문학장르를 달리하는 66권의 책으로 된 일종의 전집물이다. 더욱이 각기 개성, 교육정도, 시대, 공간적 배경을 달리하는 약 40명의 저자들이 성경이라는 전집물을 만들려는 의사가 전혀 없이 각각 기록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표면적인 현상일 뿐이고 기실은 하나님이 그 배후에서 성경 모든 내용의 주체가 되시고 성경기록 과정에서도 영감으로 간섭하셨다.

따라서 성경 66권의 직접적인 저자는 모두 다 하나님 한 분이신 것이다. 그리하여 성경은 형식적으로는 66권이지만 내용적으로는 1권의 책인 셈이다.

그러면 자연히 다음과 같은 문제가 제기된다.
왜 그 많고 많은 문서 중에서 굳이 66권만 성경인가 하는 의문이 그것이다. 보다 세부적으로 물으면, 66권 각 권은 어떤 기준에 의해서 성경임이 증명될 수 있는가? 그 기준 자체는 정당한가? 하는 의문이 가능하다. 이상의 문제와 관련된 연구가 정경론이다.

정경(Canon)에 해당하는 원어는 카논(χανων)이다.

카논은 원래 갈대, 긴 나무가지라는 뜻이다. 정확한 자(尺), 즉 길이를 재는 도구가 없었던 고대에는 이런 것들을 자의 대용품으로 삼았었다. 그리하여 카논은 결국 어떤 것을 재는 기준, 척도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기독교는 성경이 성도의 인식과 행위의 척도가 된다는 측면에서 그 영감성과 계시성이 인정된 성경을 정경 곧 카논이라고 부른다.

또 66권만을 정경이라고 부를 수 있는 근거—정경의 기준을 연구하고 정경의 기록및 수립—즉 정경의 형성과 전승 과정을 밝혀 정경으로서 성경의 절대적 권위를 확립하고자 하는 연구를 정경론이라 부르는 것이다.

Ⅱ. 정경의 기준

유독 66권의 성경만이 정경으로 인정되는 근거 또는 기준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하여 답을 하는 방식은 객관적으로 확실성을 줄 수 있는 속성들이 성경 66권에 내재하여 있음을 확인하는 길이 최선일 것이다. 또 실제로 성경 66권은 모두 다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하여 그 정경성이 인정된 책들이다. 그러면 성경에만 고유한 것으로서 정경 인정의 기준으로 사용된 기본 속성들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영감성 : 본문 전체가 하나님의 계시로서 일점 일획도 틀림없이 영감으로 기록된 사실, 즉 그 내용의 신적 기원이 인정될 수 있어야 한다.
② 목적성 : 말씀의 내용 자체와 그 기록이 인간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뜻을 전달하는데 기본 목적이 있어야 한다.
③ 신뢰성 : 하나님의 영감을 받고 쓴 인간 저자의 신실성이 입증되어야 한다. 저자의 하나님에 대한 진실성과 성경의 기록자로서 하나님께서 흔연히 인정하셨는가의 의문에 관한 문제이다. 구약의 경우 하나님의 소명과 기름 부음, 신약의 경우 사도성이 바로 이에 속한다.
④ 보편성 : 본문의 내적 속성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어느 한 책이 정경성을 갖고 있다는 교회의 보편적 확증이 요구된다.
⑤ 보존성 : 성경 원본의 권위에 근거하여 그 본문이 신적 간섭에 의하여 훼손됨 없이 전달되어졌는가 하는 보존과정의 완전성이 요구된다.

한편 우리는 성경 66권 자체는 교회가 그것을 확증 공포하기 이전에도 정경이었음을 명심해야 한다.
왜냐하면 교회의 인증이란 결국 성경의 내적 속성에 대한 외적 인정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성경 66권이 완전히 수집 공인되기까지에는 일부 책들에 대하여 논란이 있었으나 이는 인간 교회가 임의로 정경이냐 아니냐를 정하는 과정이 아니었고, 오히려 분명한 내적 속성을 공고히 확증하기 위한 작업 과정에 불과하였다. 즉 성경은 교회가 이를 정경으로 인정해서 정경인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이미 하나님의 섭리에 의하여 기록되었고 또 하나님께서 이 사실을 인간이 발견, 순복하도록 섭리하셔서 정경으로 있게 되었던 것이다.

Ⅲ. 정경의 형성, 기록과 수집의 전과정

물론 정경 곧 성경 66권은 첫 책이 기록됨으로 시작하여 마지막 책이 기록됨으로써 종결되었다. 그러나 정경의 형성이란 기록의 종결 이상을 뜻하는 것이다.

① 성령의 영감으로 하나님의 계시를 기록한 인간 저자의 집필.
② 그 기록에 대한 정경 확립 이전 시대 성도들의 평가.
③ 공의회를 통한 교회의 공식적 인정과 선포.

이상의 전과정, 즉 기록과 수집 및 공인의 전과정을 정경의 형성이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실제에 있어서 성경 각 권이 기록 완료된 시기와 정경으로 공인된 시점 사이에는 상당한 시간적 격차가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한편 교회사를 돌이켜 볼 때 우리는 정경이 수집되게 된 직접적인 동기가 숱한 외경과 위경의 등장, 심지어는 기독교 사상과 이단 사설을 교묘히 접합시킨 이단 서적의 등장으로 인하여 변증적 차원에서 참 하나님의 말씀의 범위를 구분할 필요성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라는 사실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

1. 구약 정경의 형성

일단 공식적으로 현재의 구약 39권만 정경으로 밝힌 최초의 경우는 A.D. 90년경의 얌니아 랍비 회의이다. 그러나 이미 그 이전에 예수님께서 구약 전체를 지칭하면서 ‘아벨에서부터 사가랴까지’라는 말씀(눅11:51)을 주신 것은 A.D.90년 이전에도 이미 구약 정경의 범위에 대한 확증이 있었다는 결정적 암시가 된다. 왜냐하면 아벨의 기사는 창세기에 있고, 사가랴의 기사는 역대하에 있는데 히브리 구양 분류 방식상 창세기는 그 첫권이고 역대하는 마지막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눅11:51의 표현은 결국 구약 전체의 범위가 이미 확증되어 있었음을 암시하는 증거로 답변확정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정통주의 신학자들은 성경의 기록과 이스라엘 역사의 정황을 면밀히 검토한 후에 구약 정경의 형성 시기를 포로 이후 시대인 B.C.440년경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시기는 포로 귀환시대로서 느헤미야의 행정, 외교적 영도와 에스라의 종교적 지도 아래 언약 백성으로서의 이스라엘의 지위가 회복되던 시기이다. 이런 시대적 상황하에서 학사 에스라와 당시의 장로 회의에 의하여 구약 정경의 범위가 확정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사실 에스라 이후 시대, 즉 소위 중간사 시대에는 상당히 풍부한 역사적 기록이 남아 있음에도 이스라엘 민족의 종교적 특성상 민족적 대사건이 분명한 정경 확립에 대한 기사가 전혀 없고, 이미 정경의 범위가 확정된 상태임을 암시하는 기사만이 있는 사실도 이러한 사실을 반증한다.

한편 히브리인들의 전통적인 삼 단계 구약 분류 방식, 즉 율법(토라), 예언서(네빔), 성문서(케투빔) 이상 세 분류 방식의 순서가 정경 형성의 순서를 반영한다고 고등비평 학자들은 주장한다. 율법은 B.C.400년, 예언서는 B.C.300 ~200년, 성문서는 B.C.165 ~ 100년경 각각 수집과 편집이 끝나 정경으로 인정되었다는 소위 단계별 형성 이론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는 신빙성이 없다. 만약 고등비평학자들의 가설이 사실이라면 히브리인의 구약 분류 방식은 구약 정경에 관한 한 거의 철칙처럼 여겨져야 마땅하나 구약의 가장 중요한 역본인 70인역 조차 정경의 범위에서는 일치하지만 분류 방식은 이를 따르지 않고 있다.

2. 신약 정경의 형성

구약이 B.C.1400년경 모세 오경의 기록을 시작으로 B.C.400년 경의 소선지서, 에스라, 느헤미야 등의 기록에 이르기까지 약 1000년의 시대차가 있는 반면, 신약은 27권 모두가 A.D. 50 ~ 100년 사이 즉 50년 상간에 기록된 것이다. 그러나 정확히 신약 27권을 공식적 정경으로 인정한 것은 대략 300년이 지난 A.D.397년 칼타고 공회였다.

신약 27권은 기록 이후 교회의 중요한 이론과 실천의 기준으로서 존중되었다.
초대 교부들의 각종 기록과 교회와 관련된 각종 역사 문헌을 보면 신약 성경 27권이 상당히 광범위하게 처음부터 다른 일반 문헌들 보다 높게 인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기는 하지만 지역과 개인에 따라 어떤 책은 보다 더 존중되고 또 어떤 책은 그 정경성을 의심 받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정확한 정경의 지침이 있기 전까지는 오리겐 또는 유세비우스 등 영향력 있는 교부들의 분류방식이 매우 널리 유포되었었다. 이들 두 교부는 교회에 널리 전해오는 문서를 ‘호모루구메나’(Homolo-goumena : 고역된 또는 인정된 책들)와 ‘안티레고메나’(Antilegomena :이의가 있는, 논쟁중인 책들)로 크게 나누었다.
개인차가 있지만 대략적으로 보면 ‘호모로구메나’에는 사복음서, 바울서신, 베드로전서, 요한일서, 사도행전, 요한계시록 등이 포함되었고, ‘안티레고메나’에는 히브리서, 베드로후서, 야고보서, 요한이.삼서 그리고 신약 외경 등이 포함 되었다.

한편 일부 교부들은 이 ‘안티레고메나’를 다시 구분하여 다만 그 정경성에 논란이 있다는 점에서 그냥 ‘안티레고메나’와 전혀 그 정경성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노다’(Noda : 널리 알려졌으나 인정될 수 없는)로 보다 세분하였다. 그리하여 전자에는 히브리, 야고보, 베드로 후서 등이 분류되었는데, 이 책들은 지금은 신약 정경이지만 당시에는 논쟁의 대상 되곤 했던 책이다. 반면 ‘노다’에는 각종 신약 외경 문서들이 분류되었다.

이것은 일부 논쟁 대상이 된 책 들중 일부가 그 정경성에 있어서는 근본적으로 외경이나 그밖의 문서들과는 본질적 차이가 있었음을 초대 교회가 처음부터 인정.인지하고 있었음을 암시하는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략적 구분만으로는 말시온(A.D.140년경) 등의 노스틱주의자들을 대표로 하는 이단주의자들과의 대외적 논쟁에서는 물론 대내적으로도 전교회의 통일성에 완전을 기할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A.D.4세기 중엽부터 정경 확립의 중요성을 깨달은 동서 교회는 A.D.363년 라오디게아 종교 회의, A.D.393년의 히포 종교 회의 등 주요한 종교 회의를 거쳐 마침내 A.D. 397년 칼타고 종교 회의에서 현재와 같은 신약 27권의 정경을 확립하기에 이르렀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구약은 구약의 마지막 말라기와 예수님의 탄생 사이에는 약 400년의 시간이 있습니다

 

1 신약의 완성은

대부분 제자들과 바울에 의해 쓰여졌기 때문에

대략 쓰여진 시대는 짐작해 볼 수 있겠죠

 

예수님이 33년 반 사셨으니까

예수님을 따라 다닌 제자들에의해 쓰여 졌기 때문에

예수님 사후 쓰여 졋을 것이고 바울은 사도행전에서 부름을 받고 교회들을 세우면서

교회들에게 서신서를 썼기 때문에 60년 정도에 이미 다 쓰여졋을 것입니다

 

2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가 율법서라고 생각합니다

 

 

성경은 언제쯤

성경은 언제쯤 완성되었나요? 구약의완성. 신약의 완성 알고싶어요 두번째 구약의 율법서는 어느책부터 어느책인가요? 지식인 답변글보다가 궁금한것 문의드려요...

성경동화 언제쯤 읽히나요?

성경동화는 언제 읽히는 건가요? 성경동화라고 있다는 거 알았는데 신선하기도 하고... 뭐..성경동화를 업해줄생각은 별로 없어서..이왕이면 쭈욱 볼수 있는 책이면 좋겠네요....

성경은 언제 쓰였나요

제가 알기론 청동기 시대인데 성경이 나온게 대충 언제쯤인가요 성경은 하나님이 기록한 책이지만 하나님이 성령으로 사람의 손을 통하여 기록한 책입니다. 딤후3...

성경은 글쓴이가 누군가요.. 언제 쯤...

후대에 집단으로 써진 소설인가요 성경은 1500년에 걸쳐 40여명의 저자가 하늘의 영감을 받아 쓴 역사와 찬양시와 강론과 예언을 모아논 인류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책입니다....

성경고수이신 성경이답이다님께 답변...

... 성경이답이다님, 위에 문장에서 '에스겔 곡마곡 전' 이게 무슨뜻인가요? 러시아랑... 러시아랑 이스라엘이랑 언제쯤 전쟁 발발할까요? 6. 예수님이 언제쯤 공중재림하셔서...

성경에서 혼전관계는 죄라고 쓰여있는데

... 그리고 제가 믿는 사람인데 지금 무교남성과 가까워지고 있는데 이 문제에 대해 언제쯤 터놓고 이야기하는게 나을까요 성경에서 혼전관계는 죄로 여겨지는 것은 맞습니다....

성경책에 예언

... 성경책엔 언제쯤 일어날 거란건 없나요? 2012년에 대한 멸망설이 무척이나 많네요. 구약 성경에도 신약 성경에도 마지막 멸망 재앙에 대해서 많이 기록되어 있어요 너무...

가톨릭에서 라틴어 성경 번역을 허용한...

... 지금은 가톨릭도 성경 번역이 가능하고 한글 번역도 무지 많이 있더라고요. 그럼 언제 쯤 가톨릭도 번역을 허용하고.... 그리 반대하던 자들이 이율배반적으로 지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