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 자진퇴사 후 아르바이트 후 실업급여 받는 법?

정규직 자진퇴사 후 아르바이트 후 실업급여 받는 법?

작성일 2020.11.2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지금 정규직으로 8시간 근무하고 있습니다
올해 말 12월이 2년째라 딱 채우고 자진퇴사하고자 합니다.
후에 계약직 아르바이트(고용보험 있는)를 1달 이상 한 후에 계약만료로 퇴사하면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요?

1. 계약직 알바를 '한 달 이상'만 하면 되는 거 맞나요? 그건 '한 달'이 기준인가요 '30일 이상 근무'가 기준인가요?

2. 아르바이트는 주 0일 0시간 해야되는 조건이 있나요?


#정규직 자진퇴사 실업급여 #정규직 자진퇴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로시컴- 상담 공인노무사 최창국 입니다.

1. 실업급여 요건 중 고용보험 피보험 단위기간 180일 이상은 1개의 직장에서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최종직장 이직일 기준 18개월 안에 있는 이전직장 고용보험 피보험 단위기간을 합산하여 구비해도 됩니다.

2. 그러나 비자발적인 사유로 인한 이직은 최종직장에서 구비해야 합니다. 따라서 질문자가 이전직장 고용보험 피보험 단위기간 일수를 합산하여 180일이 될 경우 최종직장에서 4대보험을 가입하고 상용직 기간제 근로자로 근로하다 사용자가 재계약을 거부하여 계약기간 만료로 퇴사할 경우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하게 됩니다.

3. 이때 1개월 미만자의 경우 회사에서 상용직으로 신고하지 않고 일용직으로 신고할 수 있고 일용직으로 신고하면 90일 이상 일용직으로 근로할 것이라는 새로운 요건을 구비해야 하므로 1개월 이상 4대보험을 가입한 상용직으로 근무해야 합니다.

4. 실업급여 액수는 최종직장 1일 평균임금 및 1일 소정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책정되고 현재 최저일액은 1일 8시간 + 주 5일 근로하는 근로자 기준 60120원으로 책정되어 있으므로 최종직장에서 1일 8시간 + 주 5일 이상 근로해야 실업급여 액수에서 손해를 보지 않게 됩니다.

실업급여 자진퇴사후 받는법

허리디스크로 자진 퇴사후 실업급여를 받을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현재 3년... 문제는 위 3번 사유로 실업급여 대상이 되더라도 바로 수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퇴사 후...

자진퇴사후 실업급여 받는방법

... 전회사 자진퇴사 후 다음 회사에서 계약직으로 일하고 실업급여 신청하려면 어떤 근로조건과 방법이 있을까요 자격증 따면서 취준을 하려고 하는데 취업성공패키지 같은...

자진퇴사 후 실업급여

자진퇴사 후 계약직에서 일하고 퇴사하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다고 해서... (9,10,11월은 수습기간 12월부터 정규직 / 수습도 4대보험은 가입) 자진퇴사 후 현재 3주째...

정규직 자진퇴사 후 단기계약직 실업급여

안녕하세요 실업급여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정규직 1년1개월정도 근무 자진퇴사하여 1월 18일부로 무직 상태입니다. 2월 중순경~3월 말일까지 단기계약직 근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