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에 관한 자료좀 주세요 ..내공드림.

강경에 관한 자료좀 주세요 ..내공드림.

작성일 2003.04.0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발 부탁 드립니다.

학교 숙제인데 .

인터넷에 자료는 하나도 없네요 .ㅠ.,ㅜ;;;

제발요 .

프리즈 ... 부탁 드려요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강경에 대해 여러가지 방향에서 서술한 내용이더군여
-------------------
강이 있는 풍경


우리 나라의 서해안은 평야가 발달해 있으며, 밀물이 높이 올라온다. 따라서 예전에는 하천을 거슬러 올라오는 밀물을 따라 내륙으로 들어오는 배들이 많았다. 한강은 서울까지, 영산강은 영산포 부근까지 바닷물이 들어왔다. 강경천의 미내다리 10m 부근에는 바윗 덩어리가 하나 있는데, 가까운 범람원에 살고 있는 할아버지의 말에 의하면 이 바위는 밀물 때는 물에 잠기고 썰물 때는 모습을 드러냈다고 한다. 강경 시가지는 해발 고도가 10m도 되지 않는다.

『택리지』에는 바닷물이 내륙으로 들어오는 것에 대한 글이 적혀 있다.


부여나 은진에서 비로소 바다 조수와 통하여 백마강 이하 진강 일대에 모두 배편이 통한다. 그런데 은진의 강경 한 마을만은 충청도와 전라도의 바다와 육지 사이에 위치하여 금강 남쪽의 들판 가운데 하나의 큰 도회가 되었다. 바닷가 사람들과 산골 사람들이 모두 이 곳에 모여 물건을 가지고 와서 교역한다.


계룡산 동쪽은 공주 대장촌이고 서쪽은 이산과 석상 두 고을이며, 남쪽은 연산과 은진 두 고을이다. 이 네 고을은 경천촌과 통하여 한 들판이 된데다 바다 밀물이 강경으로 드나들므로 들판 가운데 여러 냇물과 골짜기에 배가 통행하는 이로움이 있다(팔도총론 충청도 공주목)


강경은 은진 서쪽에 있다. 이 들판 가운데 작은 산 하나가 강가에 우뚝 솟아 동쪽을 향하여 두 줄기 큰 냇물을 좌우로 받아들였다. 뒤로는 큰 강을 등지고 조수(밀물)와 통하였는데, 물맛이 그리 짜지는 않다. 마을에 우물이 없어 온 마을에 집집마다 큰 독을 땅에 묻어 두고 강물을 길어 독에 붓는다. 며칠 지나면 탁한 찌꺼기는 가라앉고 윗물은 맑고 시원하여 비록 여러 날이 지나도 물맛이 변하지 않는다. 오래 둘수록 더욱 차가워지며 몇십 년 동안 장기로 병을 앓던 자도 일 년만 이 물을 마시면 병의 뿌리를 뽑는다.(팔도총론 충청도 공주목)


조선 시대에는 이 물길을 따라 상업이 발달하였다. 많을 때는 강경항에 수백 척의 배들이 떠 있었다. 강경은 대동강을 끼고 있는 평양, 낙동강을 끼고 있는 대구와 더불어 조선 시대 3대 시장의 하나였다. 강경은 육지 깊숙이 들어온 곳에 위치하여 사업 도시로 성장하였다.


봄 여름 동안 고기를 잡고 해초를 뜯을 때는 비린내가 마을에 가득하고, 큰 배와 작은 배들이 밤낮으로 몰려들어 물이 두 갈래진 항구에 담같이 늘어선다. 한 달에 여섯 번 열리는 큰장에는 멀고 가까운 곳의 화물들이 모여 쌓인다.


타임 머신을 타고


금강을 낀 강경벌에서 가장 높은 곳은 옥녀봉이다. 이 옥녀봉을 중심으로 항구와 시장, 시가지가 발달하였다. 배들은 일제 강점기 때까지만 해도 부지런히 드나들었다. 그러다가 금강 하구둑이 건설되어 바다에서 금강으로 배가 아예 들어오지 못하게 되면서부터 뱃길이 막히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강경 시가지를 이곳 저곳 걷다보면 마치 타임 머신을 타고 과거로 돌아간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택리지는 하천과 바다를 이용한 물자 운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살기 좋은 고을의 중요한 조건의 하나로 수운이 편리하여 경제가 발달한 곳을 들었다. 지금으로부터 250년 전(1750년경)에 나온 택리지(擇里志)는 '살기 좋은 곳'이 어디인가를 이론과 실제 경험을 통해 밝히고 있다. 즉, 사람들이 생활 수준 향상과 경제발달에 학자들이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 이것은 실학이 발달과 관계 있으며, 이중환의 택리지에 이렇게 반영되어 있다.


어찌하여 생리(生利)를 논하는가?……사람이 세상에 태어나서 이미 음식 대신에 바람을 들이마시거나 이슬을 마시며 살 수 없게 되었고, 의복 대신에 깃을 입고 털로 몸을 가릴 수 없게 되었다. 그러므로 사람은 입고 먹는 일에 종사하지 않을 수 없다.

재물은 하늘에서 내려오거나 땅에서 솟아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람이 살만한 곳으로는 땅이 기름진 곳이 으뜸이고, 배와 수레와 사람과 물자가 모여드는 곳이 그 다음이다.


우리 나라는 산이 많고 들이 적어서 수레가 아니기에는 불편하다. 그래서 온 나라의 장사꾼 들이 모두 말에다 짐을 싣는다. 그러나 길이 멀면 옮기는 비용은 많이 허비하면서도 소득은 적다. 그러므로 배에다 짐을 실어 옮겨서 교역하는 이익보다는 못하다(복거총론 생리)


배로 드나드는 장사꾼들은 반드시 강과 바다가 서로 통하는 곳에서 배를 세내고 이익도 얻는다. 그러므로 경상도에서는 김해 칠성포가 낙동강이 바다로 들어가는 목이 된다. 전라도는 나주의 영산강, 영광 법성포, 흥덕의 사진포, 전주의 사탄이 비록 짧은 강이지만 모두 조수가 통하므로 장삿배가 모여든다.


이와 같이 큰 강의 중ㆍ하류에는 물자를 실은 배들의 통행이 잦았다. 한강, 금강, 영산강, 낙동강 등이 특히 그러했다.


한때 바닷물이 들어왔던 운하


배들은 바다로 빠져 나간 다음 서해안을 따라 항해했다. 그러나 항해가 순탄한 것만은 아니었다. 배가 바위에 부딪쳐 사람이 죽는 일이 자주 일어났는데 태안 반도를 지나가는 길도 어려운 길목 중의 하나였다. 그래서 조선 시대에는 태안 반도를 가로지르는 운하를 파려고 했다. 이것은 대공사로 거의 다 팠었으나 실제로 이용되지는 못하였다. 운하를 파려했던 역사는 다른 곳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 밖에 강화도와 육지 사이의 배가 드나드는 좁은 물길(염하)에도 위험이 기다리고 있었으니 손돌목이 바로 그 곳이다.


한강 물은 통진 서쪽까지 와서 남쪽으로 굽어져 갑곶 나루가 되었다가 다시 남쪽으로 흘러 마리산 뒤쪽 움푹 꺼진 곳까지 이른다. 여기서 석맥이 물 속으로 가로뻗쳐 문턱같이 되고 한 복판만 조금 오목하게 되었는데 이 곳이 바로 손돌목이고, 그 남쪽은 서해 큰 바다이다. 삼남지방에서 조세를 실은 배가 손돌목 밖에 와서는 만조가 되기를 기다렸다가 목을 지나는데, 조금이라도 잘못하면 배가 손돌목에 걸려 파선하게 된다.(팔도총론 경기도 강화부)


이 곳은 깊이가 5m로 3노트의 세찬 조류가 소용돌이치며 흐른다. 이 손돌목을 피하기 위해서 고려 고종 때 당시의 권력자인 최이가 인천 앞 바다에서 한강으로 직접 들어가는 운하를 파려고 10여 년 동안 노력했지만 끝내 실패하고 말았다. 300년 뒤에 김인로도 시도하였지만 역시 실패하였다. 그 흔적은 지금 인천과 김포 사이에 있는 굴포천에 남아 있다.

한양 남쪽 7리쯤에 용산호가 있는데, 옛날에는 한강 본줄기가 남쪽 언덕 밑으로 흘러 지나가고 또 한 줄기는 북쪽 언덕 밑으로 둘러 들어와서 심리나 되는 긴 호수로 되어 있었다. 고려 때에는 임금의 행차가 이를 때마다 이 곳에 머물러 연꽃을 구경하였는데, 본조에서 한양에 도움을 정한 뒤 염창 모래 언덕에 갑자기 조수가 밀어 닥쳐 무너져 버렸다. 그리하여 조수가 바로 용산까지 통하게 되자 팔도의 수송을 맡은 배들이 모두 용산에 정박하게 되었다.(복거총론 생리)


용산은 마포 등지와 함께 매우 큰 항구 도시의 하나였다. 예전의 항구에는 현재 용산 전자 상가가 들어서 있다. 조선 시대에는 이 곳 용산에서 남대문까지 운하를 파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강 위의 배들, 그리고 강경항


그러나 현재는 하천 교통이 거의 사라져 버렸다. 여기에는 여러 요인이 있는데 그 중의 하나로 자연 조건의 변화를 들 수 있다.


하천 지형은 다른 지형에 비해 매우 빠리 변한다. 이 지형 변화는 수운에 영향을 준다. 300여 년 동안 한강물이 차츰 앝아져서 한강 위쪽으로는 조수가 들어오지 못하고 염창 모래 언덕이 있었던 곳에는 해마다 진흙이 모여서 장차 막히게 될 것 같은데 어떻게 될는지 알 수가 없다.(복거총론 생리)


나주의 서쪽이 칠산 바다이다. 옛날에는 깊었지만 요즘 와서는 모래와 진흙이 쌓이며 차츰 얕아져서 썰물이 빠지면 무릎밖에 차지 않는다. 한가운데 한 줄기 물길만이 강줄기와 같아서 배들이 이 곳으로 다닌다.(팔도총론 전라도 나주목)


금강 유역에서도 이러한 변화를 찾아볼 수 있다.

수운에 영향을 주는 것은 지형의 변화뿐 아니라 인간의 영향도 크다. 서울∼목포 간 호남선은 금강 유역의 교통 체계를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고 말았다. 1914년 호남선이 개통되면서 쌀을 비롯한 물자의 수송에 열차가 이용되기 시작하였고, 이후 자동차의 증가와 도로 건설로 수운의 중요성은 한층 줄어들었다.

금강의 배들은 더 이상 서울로 갈 필요가 없었다. 간간이 수산물을 실은 배가 바다에서 조금씩 들어돌 뿐이었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1980년대에 건설된 금강 하구둑은 황해와 금강 사이의 수운을 완전히 막고 말았다. 이 때문에 더 이상 서해에서 강경으로 새우를 실은 배가 다니지 못하게 되자 배를 가진 어민들은 하구둑 건설로 생계 유지가 불가능하니 대책을 세워 달라고 시위를 하였다. 1990년대 중반 프래카드를 내건 배들이 여러 척 강경 부두에 떠 있었다. 정부에서는 그에 대한 보상으로 이들에게 태안 반도의 간척지 땅을 주었다고 한다. 어부들이 그물 대신에 삽과 괭이를 잡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변화로 제 기능을 잃어버린 강경의 등대도 철거되었다.

금강 하구둑의 건설은 강경 시가지의 구조 및 금강 하류 일대의 교통 체계와 공간 구조를 크게 바꾸어 놓았다.

그러나 강경은 아직도 과거의 전통을 끈질기게 이어오고 있다. 강경의 새우젓은 여전히 유명하여 새우젓을 사러 강경으로 오는 관광객이 많다. 이는 새우를 바다에서 자동차로 운반하여 옛 명성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강경은 강경의 역사 그 자체가 관광자원이다. 사람들은 강경에 들러 과거의 역사 속으로 돌아갈 수 있다. 그리고 그 체험을 통해 우리는 자연과 역사를 새롭게 인식하여 삶을 더욱 깊고 풍요롭게 가꿀 수 있다.
---------------------------------[지리교사 모임 '지평', "지리로 보는 세상"에서]

저는 젓갈이 유명하다는 걸로 강경에 대해 처음 알게 되었거든요

그래서 강경 성쇠도 그와 백을 같이 하더군요.
1930년대 최대의 성시를 이루었던 강경은 지리적으로 내륙 깊숙히 위치하여 해상과 육상교통의 요충지로서 각종 수산물의 거래가 조선시대 부터 왕성하였다.
특히 강경의 젓갈은 조선조 전국의 3대 시장의 하나인 강경시장의 시작과 함께 전국에 명성을 날려 충청남북도, 전라도 지역은 물론 서울지역의 수산물과 건어물, 젓갈을 공급해 왔다.
그러나 육상교통의 발달로 70년대 초반부터 강경시장의 급격한 위축으로 근래에 들어 많이 침체되었지요.

아무튼 강경의 쇠퇴도 다는 지역과 무관하지 않지요 공주나 부여도 옛날에는 중심지였으나 기차 등의 육상교통의 개통이 늦어지고 경제발전에서 배제되어 옛날보다 쇠퇴하게 되었구요
비교해서 대전, 충주는 교통과 경제의 중심지로 되면서 역세권 효과를 보아 발전한거지요

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을런지

강경에 관한 자료좀 주세요 ..내공드림.

... 인터넷에 자료는 하나도 없네요 .ㅠ.,ㅜ;;; 제발요 . 프리즈 ... 부탁 드려요 . 강경에 대해 여러가지 방향에서 서술한 내용이더군여 ------------------- 강이 있는 풍경 우리 나라의...

곤충에 관한자료좀부탁!!빨리좀요내공...

곤충자료좀 부탁드립니다!! 내공많이 드림.. 제발 좋은걸로요~ 자주하는질문 1. 곤충을... 그런 경우는 애벌레사육통을 너무 덥지 않고 시원한 곳으로 옮겨주세요. 배설물이 너무...

자료좀<내공드림>

... 구해주세요.초등학교5학년1학기5단원 과학임. 최대한 빨리요 내공 30! 더드릴수있으면더드림! 최대한 빨리점. <여러가지 꽃에 관한자료들> 1.튤립 튤립의 이름은 꽃 모양이...

자료좀주세요선착순으로 내공드림...

... 대한 자료좀요 사진은 필수고요 선착순으로 내공드림 내공은30 http://misullove.... *생활 속의 미술에 관하여 알아보기 주변에서 미술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주세요 독도에 관한것들좀 내공 드림

... 알려주세요 독도에 관한것들좀 내공 드림 10줌 내공10 10... 보면 답답합니다. 그래서, 한국의 독도정책이 얼마나... 정부가 독도문제로 강경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이유도...

관한 자료 올려 주세요. (내공50)

... 사진이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관한 위인들에 관한 알려 주세요. (?) 1.... 기도를 드림으로써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6년 감옥생활 하면서도 계몽활동 기독교에...

경주에관한자료

... 경주에관한자료좀 알려주세요... 급해서요/// 왠만하면 빨리좀요;;; 엄청급함... 내공드림 ... 면적 : 1,324.08㎢ (2005.12.31) 인구 : 27만 7,764명 (2005.12.31) 인구밀도 : 210명...

북한에 대한 자료 모으기 내공 드림

... 자료를 모아야하는데, 북한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일본의 강경책 다. 9번째 핵무기 보유국, 북한 라. 김정일 죽음 후 후계자 마. 전술 핵 한반도 재배치에 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