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청구권 협정과 위안부 문제..

한일 청구권 협정과 위안부 문제..

작성일 2015.12.27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요즘 위안부 소녀상 철거 문제가 화제로 떠올라서 관련 기사를 찾아보니 일본과 한국의 

외무장관이 만나서 나눌 이야기의 주요 논점 중에 이런게 나오더군요 

" 법적 책임 vs 청구권 협정으로 끝나" 라는데 이게 일본이 한국에 자행했던 강제징용이나 

물자 수탈, 인권 유린, 대한국민 학대 등등의 행위에 대해 책일을 묻는 과정에서 이렇게 

될 거라는 이야기 같은데 우리나라가 1965년에 "한일 조약" 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경제적

지원을 대가로 더 이상 서로에게 청구권에 관련된 문제를 묻지 않기로 했고 조항 2조에도

양국의 국민과 재산, 이익의 권리에 대한 청구권의 문제가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

된 것을 확인한다고 나와있던데. 왜 우리나라 정부는 아직까지도 일본에게 위안부나 다른

여러 문제들을 가지고 논쟁을 벌이는 거죠?

참고로 저는 일본이 우리나라에 자행한 행위가 정당했다고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 결코 
아니라 단지 우리나라가 일본에게 무슨 근거로 배상이나 지원을 요구하는 건지 그게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또한 일본이 조약을 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왜 우리나라에게 배상을 해주어야 하는지도 말입니다.

이 질문 보고 하아~ 하면서 노답이라는 듯이 한숨 쉬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저는 그럴수
록 더 자세히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알고 계시는 모든 것을 저에게.... 

 


#한일 청구권 협정 #한일 청구권협정 문제점 #한일 청구권 협정 전문 #한일 청구권 협정 강제징용 #한일 청구권협정 3조 #65년 한일 청구권 협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애석하게도, 65년도에 한일협약때 이미 법적책임 배상은 다 종결났습니다.
이번에 위안부 협상에서 또 법적책임을 묻는다면 이중처벌같이 되버리죠
형법에서 같은 사항에 대해서 이중처벌을 금지하듯이...
그렇다고해서 65년 한일협약이 닫힌 협약은 아닙니다
혹자는 한일협약 2조를 가져와서 더이상 책임을 물을 수 없다 라고 이제 끝이구나 그러지만
3조를 보면 그외 분쟁사항이 생겼으면 분쟁해결 절차를 어떻게하라고 다 나와있습니다.
완전히 종결내버리는게 아니라 열려있는 협정이었던것입니다.
그러니까 일본이 당시에 법적책임을 지고 배상했지만,
위안부는 아시다시피 청구권 대상도 아니었고
80년대 되서야 제대로 알려지고 언론의 수면위로 올라왔지 않습니까?
특히 인권관련된 부분이기도 하고, 그러니 저번 청구권 협정에 2조에 예외되는 사항으로서
3조에 따라 협상진행을 요구해왔던것이죠. 
우리정부도 그 3조에 근거하여 이번 협상을 진행한거라고 보심 됩니다.
일본도 한국의 주장을 인정하고 협상을 한것이고요.
한일협약의 연장선 상에서 계속 진행중인것이죠. 
하지만 한일협약을 파기하지 않는이상 다시 법적책임을 지는건 현실적으로 힘들듯 싶습니다.
국제법적 근거에서도 밀리구요
(참조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1229000227)
대신 국민들의 원성이 자자하니, 아베총리의 책임을 통감한다 사죄와 반성한다는 발언을 넣도록 하여서
도의적 책임은 인정하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법적 배상금은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배상금과
같은 역할을 하도록 10억엔을 출자하여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를 회복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러이러한 성과들을 볼때 이번 위안부협상은 
한일협약 연장선상에서 충분히 잘 협상한 성공적인 외교라고 평가하고 싶습니다.
단 할머니들과의 긴밀한 협조를 하지 않은것은 잘못된점이지요.
그리고 협약내용에 소녀상 문제가 들어간게 논란이 많이 됬습니다.
소녀상 문제를 해결하도록 민간과 점진적 노력을 하겠다고 협약한건 사실이거든요. 
외교에 지고 자국으로 돌아간 기시다 라는사람이 패장의 변명처럼
소녀상 이전을 약속받았다, 중국의 위안부기록물 유네스코등재 반대를 약속받았다
등등 둘러대서, 언론에 논란이 많이 생겼는데, 일본외무성이 공식적으로 기무다 발언은 잘못됬다.
협약의 내용이 전부다라고 다시 못박았습니다.
우리정부 또한 소녀상 논의한건 맞지만 민간문제라 정부가 강제할 수 없다는것이 우리 정부입장입니다.
유네스코건은 아에 논의도 한적 없었구요. 소녀상을 강제적으로 이전하거나 그럴일은 절대 없을겁니다. 앞으로 일본이 위안부에 대해서 반성하고 한일관계가 좋아지면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이전하도록 정부가 달래는 수준정도는 되겠지요. 하지만 분명히 소녀상이 일본공관이랑 마치 대적하듯이 마주보고 있는건 외교적 결례임은 분명합니다. 점진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이긴 합니다. 
오히려 소녀상이 일본공관안에 들어간다면 어떨까요? 평화와 용서의 의미로. 
이런식의 서로 평화적 해결방안이 마련되었으면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단 한일협약은 님이 알고계시는 내용이 맞구요


근데 문제는 한일협약때 받은 돈을


박정희대통령이 경제발전에 써서


위안부할머니들에게는 땡전한푼 돌아가지 않았다는거죠


정작 위안부할머니들은 아무런 보상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겁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역사적 사실을 말해드리죠 한국은 승전국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청구권이라는거 자체가 말이 안되지만  대한민국은 일제 지역분할 형태로 분리된것입니다

이미 1965년 청구권 했으므로 국가가의 청구권 만료되었습니다.

본래 위안부라는 내용도 1990년대 이후 나온이야기고 징용도 마찬가지 입니다

우리는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있습니다

영상을 첨부하여 드리오니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다른 조선 ~근현대사 위안부 징용 등등 있으니 참조하세요


청구권 협정의 진실 https://www.youtube.com/watch?v=LKjze4jgLAE&t=572s




일제의 지배방식 https://www.youtube.com/watch?v=hAVYYxrLxRY&t=29s





한일 청구권 협정과 위안부 문제..

요즘 위안부 소녀상 철거 문제가 화제로 떠올라서 관련... 1965년에 "한일 조약" 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경제적 지원을 대가로 더 이상 서로에게 청구권에 관련된 문제를 묻지...

1965년 한일 청구권 / 2015 위안부 협정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 내용과 의미, 배경이랑 2015 위안부 협정의 내용 및 의미 알려주세요 대일청구권(1965년) 일본이 3억 달러를 무상으로 지불하고 경제협력으로...

한일청구권협정 일본의 입장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서 일본은 청구권 문제가 다 해결했다고 하는데 그 내용을... 당시에는 위안부 강제동원 피해자나 강제징용 피해자의 실체조차 밝혀지지 않았던...

한일청구권협정 무효 여부

한일청구권협정에 대해서 해석차이로 인해 일본과 한국의 견해다툼으로 경제사단이... 있다면 위안부문제에 대해서는 인권침해에 해당되어 위 조약이 무효가 될것인데 이렇게...

위안부, 강제 징용 문제한일협정으로...

tv에서 위안부, 강제징용 문제로 일본한테 배상이랑 사과를... 범죄는 한일 협정 때 돈 받고 그대로 끝이 난 것... 사실 1960대쯤에 한일청구권문제를 시작으로 이미 해결이...

한일협정과 위안부 문제에 관해서

... 한•일 위안부 문제에대한 일본측의 입장에 대한 것입니다. 1965년 박정희 정권 시절에 일본과 맺은 한일협정... 그 협정의 내용에 당시 한국이 일본에게 청구권 3억 달러와...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

일제의 강제동원노동자와 위안부에 대한 피해배상 문제로 어려운 국면인데요 배상하는... 출처: 현대한일문제 기원 요시자와 후미토시 지음 이현주 역 일조각 답변 :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