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 메뉴판에 감자민찌조림이 있는데 민찌가 무슨 뜻일까요?

식당 메뉴판에 감자민찌조림이 있는데 민찌가 무슨 뜻일까요?

작성일 2021.10.20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식당 메뉴에 감자민찌조림이 있는데 민찌가 무슨 뜻인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육을 다졌다는 의미입니다.

요즘에는 흔하게 사용하는 단어는 아닌데 예전에는 자주 사용한 것으로 고기나 육류 가운데서는 아주 간혹 들리는 단어이긴 합니다.

이를 민찌나 민치 민지 등등 부르는 것 같더군요.

조금이라도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다진 고기, 다짐육(--肉) 또는 간 고기다지거나고기이다. 민스(영어: mince)나 민찌로 부르기도 한다.

다진 쇠고기

민치

키마

다지기고기채소식자재를 여러 번 칼질하여 잘게 만드는 것이다.[1]

다진 고기

채썰기

채썰기채소과일 등을 가늘고 길쭉하게 잘게 써는 것이다. 채썬 채소나 과일은 라 부른다.[1]

다지기

채칼

채칼채소과일 등을 얇게 썰거나 치는 데 쓰는 이다.[1]

강판

강판채소과일 등의 식재료를 문질러, 껍질을 벗기거나 작은 입자로 갈 목적으로 만들어진 주방기구이다. 보통 식재료를 가공할 목적에 따라 강판 표면에 있는 구멍의 크기가 달라진다. 서양에서는 치즈를 갈거나 과일 껍질을 분쇄하여 제스트를 만들거나, 기타 연한 재료를 작은 크기로 갈아내기 위해 강판을 사용한다.

열대 지방의 국가들에서는 코코넛 과육을 가는 데 강판을 쓴다. 자메이카에서는 코코넛 강판을 코미나, 존카누, 멘토 등의 전통 음악을 연주하는 악기로 사용하기도 한다.

채칼

코코야자(coco椰子)는 종려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이며, 그 열매는 코코넛(영어: coconut)으로 부른다. 코코야자속에서 유일한 활엽수로 30미터 크기까지 자라며, 4~6 미터 길이의 날개 모양의 잎사귀와 각 작은 잎사귀들은 60에서 90센티미터 길이이다. 수명이 다해 떨어진 나뭇잎들은 나무 주위에 흩어져 코코야자 나무에게 영양분을 준다. 바다에 가까운 열대 지방 전역에 분포한다.

유전체 분석에 따르면 동남아시아멜라네시아의 코코야자가 유전적 다양성이 높아, 그곳이 원산이라고 추정된다.[1][2][3][4] 코코넛은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의 이주와 함께 인도-태평양 연안으로 전파되었다.[3][4][5][6]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이주 경로[7][8]

코코야자의 분포[4]

코코야자의 분포로 추정된 코코넛의 전파 경로[4][9][6]

코코넛 미트 (조리되지 않음)

100 g (3.5 oz)당 영양가

354 kcal (1,480 kJ)

15.23 g

6.23 g

9.0 g

33.49 g

29.698 g

1.425 g

0.366 g

3.33 g

0.039 g

0.121 g

0.131 g

0.247 g

0.147 g

0.062 g

0.066 g

0.169 g

0.103 g

0.202 g

0.546 g

0.077 g

0.170 g

0.325 g

0.761 g

0.158 g

0.138 g

0.172 g

함량%DV

6%

0.066 mg

2%

0.020 mg

4%

0.540 mg

6%

0.300 mg

4%

0.054 mg

7%

26 μg

4%

3.3 mg

2%

0.24 mg

0%

0.2 μg

함량%DV

1%

14 mg

22%

0.435 mg

19%

2.43 mg

9%

32 mg

71%

1.500 mg

16%

113 mg

8%

356 mg

14%

10.1 μg

1%

20 mg

12%

1.10 mg

기타 성분

함량

수분

47 g

단위

kg = 킬로그램 • Mg = 메가그램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코코넛 열매 자체는 식용으로 사용되며, 팜유 등의 유지로도 사용된다.

장식이나 요리 등 실제로 코코야자의 모든 부분을 인간이 사용한다.

또한 캄보디아 등 일부 국가에서는 코코넛 껍질을 일반 나무를 대체할 신 재생 대체 연료로 매우 유용하게 쓰고 있다.[10]

코코넛야자의 잎은 연료나 바닥에 까는 바닥재로 이용된다.

코코넛 크림

코코넛 밀크

코코넛 버터

코코넛 주스

코코넛 오일(야자유)

날개 또는 나래[1]는 새나 곤충등의 몸 양쪽에 붙어서 날 수 있게 해주는 기관을 말하며, 비행기 등의 물체를 날 수 있게 해주는 장치를 의미하기도 한다. 곤충의 날개외골격이 바뀌어서, 박쥐의 날개는 앞다리가 변화하여 생겼다.

§ 항공기의 날개 문서를 참고십시오.

20세기에 들어가면 비행기가 등장해, 비행기의 날개라는 개념이 태어남과 동시에, 유체역학 등의 새로운 학문 분야가 발전해, 날개라는 말도 새로운 정의를 얻게 되었다. 그 정의는 대개, 유체와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양력을 얻을 수 있는 형상을 한 물체라는 것이다.

또 이 정의로부터, 이 말은, 비행기의 날개 이외에도 다양한 것을 가리킬 수 있다.

수중익선의 수중날개 등도 날개의 일종이다.

레이싱 카 등에 장착되는 윙은, 상하를 반대로 한 날개이며, 차체를 지면에 꽉 누르기 위해서 아래로 향한 양력(다운 포스) 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의 한 형태인 세로돛은, 수평 방향의 양력을 얻는 날개라 생각할 수 있다.

프로펠러나 로터 등의 회전날개도 날개의 일종이다. 산업용의 압축기풍력 터빈[2]의 블레이드 등도 회전날개로서 이해할 수 있다.

전의로서 일반적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중심적인 구조로부터 좌우에 내다 붙인 것 같은 구조를 칭해 날개라고 부르거나 또 윙 등으로도 부른다. 사상적 입장을 의미하는 좌익, 우익은 혁명기 프랑스의 의회에서의, 좌우로 나누어진 의원석을 그렇게 불렀던 것에 유래한다고 한다. 건축물의 예로서는, 우지 뵤도인 봉황당의 익랑이나, 하네다 공항 (빅 버드)의 동명 등을 들 수 있다.

조류의 날개에서는 부위에 따라 각종의 기능을 담당한다, 여러가지 형상의 깃털이 발달했다.

생물학등의 분야에서 특히 엄밀한 날개의 정의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인 용법으로 말하면, 날개를 가진 생물은 이하의 3종류다:

익룡류: 멸종. 비교적옆에 긴, 막상의 날개였다고 생각된다.

조류: 깃털을 휘감은 날개를 가진다. 날개깃, 조류용어#익우부 등을 참조.

박쥐류: 길게 뻗은 손가락의 뼈와 피막에 의해 구성된 날개를 가진다.

이것에 가세해 곤충류의 를 날개로서 취급하기도 한다.

모두, 비상(범상 및 공중 정지를 포함)을 목적으로 한, 홰치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날개의 홰침에 의한 비상을 최초로 한 생물은 고생대곤충이며, 이 능력의 획득이 곤충의 오늘날 번영의 하나의 요인이라 생각된다. 곤충은, 홰침에 의한 비상 능력을 획득한 유일한 무척추동물이다.

중생대가 되면 척추동물에도 홰침 비상을 실시하는 날개의 소유자가 나타났다. 현재로서는, 삼첩기 중순의 익룡이 그 전조였다고 생각된다.

쥬라기 무렵이 되면, 공룡의 계통의 일부로부터, 새가 태어났다. 그렇다고는 해도, 깃털이 화석에 남기 어려운 일도 있어, 공룡-새계통의 진화 중에서 홰침 비상이 언제, 어떻게 시작되어, 날개의 진화가 어떠한 과정을 밟아 왔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다.[3]

마지막에 등장한 홰침 비상을 실시하는 생물은 포유류박쥐이며, 신생대제3기였다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일반적인 용법을 고집하지 않고, 항공기적인 날개의 의미를 유용한다면, 글라이더와 같이 활공하는 능력을 가진 여러가지 생물이 시야에 들어 온다. 홰쳐 상승하거나 장거리를 항속하는 능력은 그들에게는 없지만, 안에는 고도차이의 4~5배의 거리를 활공하는 것도 있다. 여러가지 접근의 것이 알려져 있다.

날다람쥐, 하늘 다람쥐, 후크로모몬가, 날원숭이: 사지의 사이 등에 발달한 피막의 "날개"를 가진다.

트비트카게: 늑골이 옆으로 늘어나 체 간으로부터 크게 쑥 내민 형태가 되어, 거기에 피막이 발달한다. 평상시는 작게 접어져 있다. 현금 척추동물 속에서 사지로부터 독립한 "날개"를 가진 유일한 생물이다.

트비야모리: 트비트카게만큼 발달하지 않지만 늑골이 퍼져 날개의 역할을 완수한다.

롱기스쿠아마: 화석종. 발달한 동체의 복수의 비늘이 날개의 역할을 완수했다.

트비헤비: 늑골을 펼쳐 몸을 평평하게 해, 전신을 S자형으로 하는 것으로, 거의 전신을 날개로서 사용한다.

트비가엘류: 사지의 손가락이 길고, 거기에 발달한 "물갈퀴"를 사용해 활공한다. (나무위생이며, 유영은 하지 않는다)

날치류: 가슴비레, 배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가 발달해, 날개의 역을 완수한다.

트비이카: "앞뒷날개(카너드)"를 갖춘 것과 동시에, 다리와 점액으로 타원 평면형의 "날개"를 형성.

식물: 일부의 식물의 과실에는, 동적 양력을 이용해 이동거리를 버는 것이 있어, 시과로 불린다. 대부분은 일종의 회전날개이며, 단풍나무속의 종자가 유명. 특징적인 것은 보르네오섬의 삼림에 나는 하네후크베 (Zanonia Macrocarpa; 박과)로, 이것은 좌우 대칭인, 무뒷날개의 글라이더다.

한층 더 의미를 펼친다면, 수생생물이 많게 볼 수 있는 지느러미도 또한 유체역학적인 의미로 날개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도 이런 생물이 활공이나 유영을 위해서 발달시킨 기관은 제일적으로는 피막이며 지느러미인 것이고, 이것들을 날개라고 부르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다.

미국 하늘 다람쥐

트비트카게(날개를 반 정도 전개한 상태)

트비가엘

트비워

익과의 여러 가지

참새의 왼쪽 날개

B-2는 수평꼬리도 수직꼬리도 가지지 않은 무미익기(전익기라고도 함). 제트 엔진도 날개에 내장했다(앞의 부푼 곳).

항공기, 특히 부력이 아니고 동적 양력을 이용해 비행하는 중항공기에서, 날개는 엔진 이상으로 중요한 필수의 장비품이다(예를 들어, 글라이더에는 엔진이 없지만, 날개는 있다). 역사적 경위에 대한 자세한 것은 비행기의 역사 등을 참조.

고양력장치

양력의 크기는 비행 속도의 2제곱에 비례하기(양력 참조) 때문에 저속이 되지 않을 수 없는 이착륙시에는 비행 속도를 올리는 이외 방법으로 충분한 양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사용되는 플랩 등의 장치는 고양력장치라 불린다. 자세한 것은 링크를 참조.

날개의 구조

항공기의 날개 구조는, 동체 등 다른 부분의 구조와 같이, 시대와 함께 변화해 오고 있다. 자세한 것은 비행기#주 날개 등을 참조.

간단한 설명만 적혀 있다.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각 용어의 링크를 참조.

주 날개의 익형의 모델과 각부의 명칭. A익현장, B중심선, C최대익후, D최대 캐파, E익현선, F전연, G 후연.

전연

날개의 앞쪽 가장자리. 자주 영어의 Leading Edge로부터 LE로도 표기된다.

후연

날개의 뒷쪽 가장자리. 자주 영어의 Trailing Edge로부터 TE로도 표기된다.

익현선

코드 라인(chord line)이라고도 말한다. 전연과 후연을 묶은 직선이다. 이 부분의 길이는 익현장 혹은 코드장이라고 하여(단지 익현으로 길이에 임해서 말하기도 한다), 수식에서는 c나 l 등으로 표기된다.

익형

날개를 익현에 따라서 세로로 자른 단면. 에어 포일(airfoil/aerofoil), 날개 단면이라고도 한다. 흐름의 성질(속도·점성 등)에 따라 여러가지 모습이 존재해, 날개의 성능을 크게 특징짓는 중요한 요소.

중심선

날개의 표면과 아래쪽 면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점을 전연으로부터 후연까지 연결한 선.

캠버

중심선의 휘어진 상태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쉽게 말하면 중심선과 익현선의 차이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캠버라면 가장 차이가 큰 부분(최대 캠버)을 가리키는 것이 많아, 최대 캠버를 익현장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고쳐 표시한다. 최대 야영자의 위치는, 전연으로부터 익현장의 15-40% 전후가 많아, 또, 캠버가 있는 경우, 영각이 0도 상태에서도 양력을 발생한다. 또 캠버가 0인 익형을 대칭날개라고 한다.

익후

날개의 최대의 두께를 익후라고 하여, 최대익후를 익현장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고치고 나서, 최대익압비로서 표시한다. 최대익후의 위치는, 일반날개에 전연으로부터 익현장의 20% 전후가 많아, 고속기에 사용되고 있는 층류날개에서 40%까지 내려 항력을 줄이고 있다.

익폭

날개의 가로폭의 길이. 스팬(span), 윙 스팬이라고도 한다. 회전날개의 경우, 브레이드 한 장의 길이. 수식에서는 b로 표기되는 것이 많다.

익평면형

날개를 바로 위에서 보았을 때의 형태. 단지 평면형이라고도 한다. 테이퍼(테이퍼)이거나, 타원형이거나, 후퇴각이 붙어 있거나 한다. 이 형상이 날개의 특성을 크게 좌우한다. 자세한 것은 링크를 참조.

날개 면적

날개 평면형의 면적. 투영 면적이라고도 한다. 날개를 평면에 투영했을 때의 최대 투영 면적을 날개 면적으로 한다. 동체와 겹치는 부분도 포함하고 생각한다. 수식에서는 S로 나타내지는 것이 많다.

가로세로비

일반적으로는 장방형의 세로와 가로길이의 비. 세장비 혹은 어스펙트 레시오라고도 한다. 날개의 경우, (익폭) sup2/sup÷날개 면적이라는 무차원수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날다람쥐는 1~2, 보잉 747-400은 약 8, 폭 신천옹은 15 정도. 후술의 양항비에 크게 영향을 준다. 극히 대략적으로 말하면, 날개는 얇을수록 효율이 좋다. 예를 들면 장거리의 해상 비행이 요구되는 해조는, 일반적으로 육지의 새보다 얇은 날개를 가진다. 수식에서는 AR나 A 등으로 표기된다.

가는 초비

날개 중앙부의 익현장과 날개 단부의 익현장의 비율. 일반적으로 λ(Lambda)로 나타내진다.

영각

AoA(Angle of Attack)라고도 한다. 익현선(코드 라인)과 흐름이 이루는 각도. 수식에서는 α(알파)로 표기되는 것이 많다. 양력의 크기는 대체로 영각에 비례해 증대한다. 비행기의 동체선과 익현선이 이루는 모퉁이인 부착각(angle of incidence), 진행 방향이 이루는 각도와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An-225의 주 날개에는 하반각을 붙였다.

상반각

수평면으로부터 기울기상에 쑥 내밀듯이 설치된 날개의 경우에, 수평면과 날개가 이루는 모퉁이. 간단하게 말하면, 날개가 만세하고 있는 각도. 비행의 안정성에 관련되는 요소로 간단하게 말하면, 상반각을 붙이면 뱅크를 되돌릴 방향으로 힘이 가한다. 즉, 외력에 의한 혼란에 대해서 자세를 바탕으로 되돌리는 복원력이 가한다. (다만 상반각을 너무 붙이면 , 복원력이 뱅크각을 넘어 버려, 결과적으로 기체를 반대에 넘어뜨리려는 힘이 가해, 오히려 불안정이 된다. 또, 방향 안정성이 약한 경우라면 더치 롤이라 불리는 사행 운동을 일으킨다. 그 경우, 상반각을 줄이거나 반대로 하반각을 부록, 또는 뒷날개의 재검토등의 설계 조사를 실시한다)

초음속으로의 순항이 요구되었기 때문에 콩코드의 주 날개는 얇았다.

하반각

수평면으로부터 기울기하에 쑥 내밀듯이 장착된 날개의 경우에, 수평면과 날개가 이루는 모퉁이. 하반각을 붙이면 안정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옛날에는 금기로 여겨졌지만, 주 날개에 큰 후퇴각이 있는 고속 제트기에서는 후퇴각에 의한 복원력이 너무 커서 하반각을 붙여 조정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안정성보다 자재로 비행하는 것이 중요한 전투기는 하반각을 붙인 것이 있다.

레이놀즈 수

물체에서의 주위의 흐름의 끈기를 나타내는 무차원수. 유체의 점성·날개의 크기·흐름의 속도에 의해서 정해져, 날개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파라미터. 보통은 자리수 단위로 표현한다. 수식에서는 R나 Re로 표기되는 것이 많다.

양력

날개에 생기는 공기력 가운데, 흐름과 수직인 성분. 수식에서는 L로 표기되는 것이 많다.

항력

날개에 생기는 공기력 가운데, 흐름과 평행한 성분. 수식에서는 D로 표기되는 것이 많다.

양항비

양력÷항력(L/D) 혹은 양력 계수÷항력 계수(CsubL/sub/CsubD/sub)로 나타내지는 무차원수. 날개의 성능을 특징짓는 중요한 값. 간단하게 말하면, 양항비가 큰 날개는, 성능이 좋다고 말할 수 있다. 다만, 양력이나 항력은 속도나 영각등에 의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1개의 날개도 상태에 의해서 변화한다. 날개뿐만이 아니고, 항공기나 새 등 비상체 전체에서도 말하는 일이 있다.

익면하중

기체 중량을 날개 면적으로 나눈 값. 즉 날개(의 단위면적 근처)가 결려야 할 중량을 나타낸다.

실속

날개(특히 표면)로부터 흐름이 박리하는 현상. 스톨(stall)이라고도 한다. 실속 상태에 빠지면 항력이 증대해, 양항비가 작아져, 또 기류의 혼란에 의해서 안정성이 악화된다.

자가용 소형기와 같은 저아음속기의 날개는 일반적으로 이하와 같은 단면 형상(익형)을 하고 있다:

전연은 둥글고, 전연으로부터 1/3 정도의 곳에서 최대의 두께가 되어, 후연이 예리한 얇은 우적형상

단면의 상하 중간을 묶는 선이 원호상

이것을 닮은 익형을 가진 것이 날개로 불리거나 이러한 형상을 가리켜 편 날개모양 등이라 하는 것이 많다. 그렇지만, 현실에는 사용되는 흐름의 성질(속도·점성 등)에 의해서 단면 형상은 여러가지가 있다.

비행기 등의 고정익기는, 날개를 갖춘 기체 전체가 전진해, 날개에 바람을 받는 것으로 양력을 얻는다. 활공중의 새 등도 같다. 자세한 양력 발생의 원리, 양력과 항력의 관계등에 대해서는 양력이나 항력을 참조.

2차원날개

균일한 익형 (어디를 잘라도 같은 단면형)으로, 익폭이 무한대의 날개를 생각해 이 날개에 대한 흐름을 논의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날개를 2차원날개라고 부른다. 익형의 형상에만 주목해 그 특성만을 논의하고 싶을 때에 상정한다. 반드시 공상상의 날개라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풍동에 익형을 시험한다는 경우, 균일한 익형을 가진 날개의 모형을 풍동내의 전체 폭에 걸쳐서(벽에서 벽으로) 달아 중앙 부근에서는 익폭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어 2차원날개로 취급한다.

3차원날개

현실에 사용되는 날개는 길이가 유한하다. 익평면형이나 상하 방향의 변화(상반각) 등이 문제가 된다. 더욱 익폭방향으로 익형이 변화하는 것도 드물지 않다. 이와 같이 익형(날개 단면)이라는 2차원(평면) 이외의 요소도 고려할 때의 날개를 3차원날개라고 부른다.

헬리콥터의 로터도 양력 발생 원리 자체는 같다. 사진은 시코르스키 CH-53 시 스탤리온.

어느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대속도를 얻는 날개를 회전날개라고 한다. 양력을 발생하는 원리 그 자체는 고정날개과 다르지 않지만, 날개 자체가 회전하는 것으로 주위의 유체와의 상대속도를 얻을 수 있다(즉, 양력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회전날개로 불리는 것은, 회전축이 얇은 편 날개모양 물체의 일단에 있는 것으로, 헬리콥터의 로터·비행기선박의 프로펠러·단풍의 종자 등이 같은 것을 가리킨다. 이 경우, 회전축측과 첨단측에서 흐름의 속도에 차이가 성과 양력의 차이가 되기 위해, 양력차이의 경감을 목적으로, 비틀림을 붙이는·위치에 의해서 익형을 바꾼다는 대책이 답변확정해지는 것이 많다. 자세한 것은 프로펠러·로터·터빈을 참조.

한편, 이러한 원반면내 운동이 아니고 수차와 같은 회전을 하는 날개도 존재한다. 이러한 것은, 별로 회전날개라고 하지 않는다.

이시스 신(기원전 14세기, 이집트)

페르세폴리스에 남은 조로아스터교의 심볼Faravahar (기원전 6세기?)

사모트라케의 니케 상(c. 190 BC)

무하마드에게 천계를 주는 천사 지브리르(가브리엘) (1307)

아야 소피아 내벽에 복원된 사랍. 6매의 날개만으로 표현되고 있다. (14세기)

비슈누신의 탈 것, 가루다

아즈텍의 유익사신 켓살코아틀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이카로스

행글라이더

패러글라이더

카이트서핑

김태식 기자, '짜장면', 표준어 됐다, 《연합뉴스》, 2011년 8월 31일 작성.

다만 이 경우는 바람으로부터 동력을 얻는 쪽이다.

깃털을 가진 공룡이나, 비상 가능한 단계에 이른 소형 공룡의 존재가 알려지게 된 것은, 간신히 20세기 말 이후, 최근 20년 정도의 일에 지나지 않는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비행기(飛行機, 영어: Airplane)는 날개와 그에 의해 발생하는 양력을 이용해 인공적으로 하늘을 나는 능력을 지닌 항공기를 말한다. 최초의 동력 비행기는 1903년12월 17일미합중국라이트 형제가 발명하였다. 또한 비행기의 종류에는 여객기, 화물기, 전투기, 무인기, 방제기 등이 있다. 양력 발생에 필수적인 추진력을 얻기 위한 엔진으로는 프로펠러 엔진, 제트 엔진, 로켓 엔진 등이 사용된다. 세계적인 여객기 제작사로는 에어버스보잉이며, 비행기의 아랫면은 반대로 느리게 된다. 그 때문에 '베르누이(Bernoulli)의 정리'에 따라 윗면의 기압은 대기압보다도 낮으며, 즉 부압(負壓)으로 되어 날개를 위쪽으로 빨아올리는 작용을 한다. 또 아랫면의 기압은 대기압보다도 높아져서, 즉 정압(正壓)으로 되어 날개를 아래서부터 밀어올리는 작용을 한다. 이 부압과 정압으로 날개에는 위로 향하는 양력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양력은 날개면적 , 속도와 관계가 있다. (하지만 '베르누이(Bernoulli)의 정리' 만으로는 양력 발생 원리를 확실히 규명할 수 없다.) 양력계수·날개면적이 일정하다면 양력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속으로 날 때에는 받음각을 조절하여 양력계수를 작게 하고 저속으로 날 때에는 크게 하여 양력과 중력(重力)의 균형을 유지시킨다.

비행기가 일정한 속도로서 수평(水平)으로 날고 있을 때에는 양력이 비행기 전체의 무게와 같게 균형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 날개 뒤의 동체(胴體) 가까이에는 플랩(flap)이 붙어 있다. 이것은 좌우 한꺼번에 내리게 되어 있다. 그 작용으로 비행기는 느린 속도에도 안전하게 날게 된다. 이륙과 착륙시에 없어서는 안 될 것이다.즉 플랩을 내리면 양력계수가 크게 되므로 느린 속도에도 충분한 양력이 얻어지는 것이다. 또 하나 날개에서 중요한 것은 상반각(上反角)인데, 이것은 옆기움을 복원시키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한다.

만일 비행기가 오른편으로 기울어지면 오른쪽 날개의 플랩과 에일러론이 아래로 처지고, 왼쪽 날개는 위로 들리게 된다. 그리고 기울어진 방향(오른편)으로 옆미끄럼(side slip)을 시작한다. 그러면 기류가 생겨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날개의 형은 음속(音速)에 가까운 속도 이상으로 나는 비행기는 모두가 뒤로 쏠린 후퇴날개로 되어 있다. 이것은 다음에 기술한 충격파의 영향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형이다.

프로펠러가 돌고 있는 뒤에 서게 되면 굉장히 센 바람을 받는다. 이것은 프로펠러가 공기에게 뒤로 향하는 속도를 주어 힘차게 밀고 있기 때문이다. 물리학의 법칙에 따라 단위시간에 어느 질량의 공기에 어느 속도를 주게 되면 공기에게 운동량의 변화를 주는 것이 되므로 그 반동으로 앞으로 향하는 추력(推力)이 얻어진다. 제트엔진에서 수평꼬리날개(水平尾翼)의 양력이 작용하는 위치는 받음각(迎角)에 따라 앞뒤로 이동한다. 한편 무게 중력은 비행기의 중심에 작용하므로 날개의 양력과 중력과는 언제나 같은 점에 작용한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이 두 힘의 균형을 잡기 위하여 수평꼬리날개가 붙어 있다. 만일 양력이 중력보다 앞에서 작용하고 있을 경우에는 수평꼬리날개에는 위로 향하는 힘이, 또 양력이 중심보다 뒤에서 작용하고 있을 경우는 수평꼬리날개에는 아래로 힘이 작용하고 있어야 한다. 수평꼬리날개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상향이든 하향이든)과 크기를 가감하기에는 수평꼬리날개를 움직여 받음각을 바꾸거나 승강키의 각을 바꾸어야 한다. 수평꼬리날개의 뒷부분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을 승강키(flipper)라고 한다. 승강키를 올리면 꼬리날개에 아래로 향하는 힘이 더해져서 비행기는 머리를 올린다. 반대로 승강키를 아래로 내리면 비행기는 머리를 숙인다.

꼬리날개에는 하나의 수직꼬리날개가 있다. 이것은 비행기가 진로(進路)를 바로잡고 날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며, 이것이 없으면 비행기는 비틀거리며 사행(蛇行)을 하게 된다. 수직꼬리날개의 뒷부분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이것을 방향키(rudder)라고 한다. 방향키를 왼쪽으로 하면 왼쪽으로 향하고, 오른쪽으로 하면 비행기는 오른쪽으로 향한다.

비행기에는 위에서 기술한 승강키와 방향키 이외에 보조날개(aileron)라고 하는 키가 있다. 이것은 날개의 뒷부분에 붙어 있으며, 왼쪽 보조날개를 내리면 오른쪽 보조날개가 올라가, 그로 인하여 비행기는 오른쪽으로 기운다. 그와 반대로 하게 되면 비행기는 왼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3개의 키를 사용하여 비행기는 자유자재로 방향을 바꾸기도 하고, 기울게도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여러 가지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 밖에 날개 뒷부분에는 보조날개와 나란히 동체와 가까운 곳에 플랩이 붙어 있다. 이것은 보조날개와는 달리 좌우 동시에 내릴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그 작용으로 비행기는 느린 속도에서도 안전하게 날 수 있다. 이륙(離陸)이나 착륙할 때에 없어서는 안될 것으로 되어 있다.

맨앞이 조종석으로 되어 있고 뒤에는 객실과 화물실로 되어 있다. 비행기를 비행시키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의 계기·유압장치·전기장치·라디오·레이더 등도 대부분 동체 안에 장치되어 있다. 동체부에는 사람이 타기 때문에 고공(高空)에서도 산소가 부족하지 않도록 여압장치(與壓裝置)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보내고 있는 것이 많다(소형기는 제외). 고공에 오르면 기압도 떨어지고 산소가 부족하게 되며, 기온도 내려간다. 따라서 4,000∼5,000m 이상의 고공을 비행하는 비행기는 여압장치에 의하여 바깥의 공기를 압축하여 안으로 집어넣어 압력을 올리기도 하고, 냉난방(冷暖房)도 하고 있다. 압력은 보통 지상 2400m 상당의 0.75기압 정도로 유지되고 있다

비행기가 지면에 있을 때 이것을 지탱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앞에 1개, 뒤에 2개가 있다. 비행기가 대형인 경우는 랜딩기어(바퀴)가 여러개인 경우도 있다. 각각 몇 개의 바퀴와 착륙할 때에 쇼크를 완충시키기 위한 올레오(유압식 완충장치:oleo shock absorber)로 되어 있다. 날고 있을 때에는 필요가 없으므로 날개나 동체 속에 접어넣어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 접게들이바퀴이다. 바퀴 대신으로 플라우트(flout)를 달아 물 위에서 발착하는 것이 수상기(水上機)이다. 동체가 보트형으로 되어 있고, 수상에서 발착하는 것을 비행정(飛行艇)이라고 한다. 또 다른 착륙장치로는 플랩(FLAP)이 있는데,플랩은 착륙시 양력을 증가시킨다. 스피드 브레이크(SPEED BRAKE)는 착륙하자마자 날개쪽에서 작동되는데,착륙 할때가 아닌 이륙 한후 상공에서 작동되는 에어브레이크(AIR BRAKE)등도 있다.

비행기는 공기 속을 고속으로 운동하기 때문에 매우 심한 바람의 힘을 기체가 받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무작정 두꺼운 금속을 사용한다면 그만큼 무거워져서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될 수 있는 한 가볍고 견고한 구조로 해야 하는 것이다. 현재 여러 가지의 비행기는 알루미늄합금의 얇은 판제로서 동체와 날개의 형태를 이루고 도리와 쇠오리를 안에 넣어 튼튼하게 하고 있다. 즉 기체가 받는 하중(荷重)을 거의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외피에 의하여 지탱하고 있다. 이 구조를 모노코크 구조(Monocoque construction)라고 한다. 비행기를 설계(設計)하는 데 있어서는 그 비행기가 부닥칠 수 있는 모든 경우를 상정(想定)하여, 그때그때 받을 힘에 견딜 만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해두는 것이다. 그리고 실제의 비행기를 사용하여 철저한 강도시험(強度試驗)을 행하여, 설계와 다름없는 결과로 되어 있는가 어떤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비행기의 속도는 약 500mph(800km/h)에서 625mph(1000km/h)이다.

항공기

항공사

공군

제트엔진

제트 엔진(영어: jet engine)은 엔진 내부에서 연소시킨 고온의 가스를 분출함으로써 뉴턴의 세 번째 운동 법칙인 작용-반작용 원리에 의해 추력을 얻는 기관이다. 제트 엔진은 넓은 의미로써 터보제트, 터보팬, 스크램제트 등을 포함하며 좁은 의미로는 가스 터빈 엔진, 즉 터보젯만을 의미한다. 제트 엔진은 가스 터빈과 동일한 의미로도 쓰이는데 이는 제트 엔진 거의 대부분이 가스 터빈 엔진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제트 엔진의 역사는 기원전 1세기 아에올리스의 공이라 불리는 이알러파일(aeolipile)로 거슬러 올라간다. 증기력으로 구동되던 이 기관은 아쉽게도 자료가 극히 미미하다. 오늘날의 제트 추진에 의한 기관이 구체화된 것은 로켓에 의해서였다. 연료를 빠르게 연소시켜 추력을 얻는 방식으로 불꽃놀이에 사용되었고 후에는 무기로 발전한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제트 엔진의 개발이 두드러지게 되는데 이는 항공기의 동력 기관으로 피스톤 엔진과 프로펠러에 의한 추진이 한계를 보였기 때문이다. 피스톤을 사용하는 엔진은 추력에 비하여 무거웠고 무엇보다도 프로펠러에 의한 추진은 프로펠러의 날개 끝이 초음속으로 회전할때에는 당시의 재료가 이를 견디기 힘들었다. 이렇게 하여 등장한 것이 가스 터빈 엔진, 즉 제트 엔진이다. 가스 터빈의 발상은 사실 영국인 존 바버(John Barber)에 의해서였다. 그는 1791년 기본적인 개념의 가스 터빈 설계로 특허를 획득하였지만 실용화하지 못했다. 이후 20세기 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인 개발이 진행되는데 초기의 제트 엔진 기관은 지금과는 다르게 압축공기를 피스톤 엔진으로 압축하여 연료와 함께 연소시켜 추력을 얻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Secondo CampiniCaproni Campini N.1를, 일본은 Tsu-11를 개발하려 하였으나 실용화에는 실패하였다. 일본의 Tsu-11은 카미카제 비행기에 사용할 계획이었다.

제트 엔진이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은 압축기를 엔진 자체의 동력으로 구동하면서이다. 노르웨이 공학자 Ægidius Elling이 1903년에 이를 실현하였고 몇몇 기관이 선보였지만 안정성과 지속적인 구동이 어려워 크게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던 중 영국의 프랭크 휘틀터보제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비슷한 시기에 독일의 한스 폰 오하인또한 항공기용 가스 터빈 엔진의 개발을 시작하였다. 1937년에 휘틀은 세계 최초의 제트엔진인 파워 제트 WU(Power jets WU)를 완성시켰으며 곧이어 오하인 또한 에른스트 하인켈(Ernst Heinkel)사와 협력하여 1937년 HeS-1엔진 개발에 성공한다. HeS-1은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였지만 이후 개발을 지속하여 가솔린을 연료로 하는 출력 5kN의 HeS-3을 개발하였고 하인켈사의 He178에 탑재되어 1939년 8월 27일 세계 최초로 제트 엔진에 의한 비행에 성공한다. 최초의 제트 비행임에도 여기에는 문제가 있었다. 압축기가 너무 커 엔진 단면이 커져버렸고 여기에 따르는 문제로 효율이 좋지 못했다. 이 문제를 해결한 것은 오스트리아의 Junkers' engine division(혹은 Jumo라고도 함)으로 원심력으로 공기를 압축하는 대신 마치 터빈을 거꾸로 설치하듯 팬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공기를 압축하였다. 기관은 더욱 복잡해졌지만 결과적으로 엔진은 작아졌고 이 엔진은 Jumo004로 명명되었다. 이 엔진은 1944년 세계 최초의 제트 전투기인 메서슈미트(Messerschumitt) Me 262에 탑재된다. 그리고 그 얼마 뒤 연합군도 그동안 독자적으로 개발해온 제트 전투기를 실전 배치하게 된다.

종류

특징

장점

단점

용도

원심식 터보제트

초기 항공기에 사용되었던 엔진으로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를 원심식 블레이드를 통해 블레이드 바깥으로 밀어내어 압축하는 형태를 가진다.

설계가 쉽다.

기초적인 구성이므로 효율과 성능을 향상하는 기술이 없다. 엔진의 내부에 항력발생량 증가 요인인 원심식 압축터빈이 있고 엔진의 출력이 커지려면 엔진의 직경이 매우 커져야 하며 이러면 항력발생량이 너무 커져 고속비행에 불리하다.

초창기 전투기, 미사일, RC항공기 등.

축류식 터보제트

나치 독일에 의해 최초 개발된 종류의 엔진으로 여러 단의 축류식 블레이드만으로 공기를 압축한다.

설계가 쉬우며 효율과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엔진 내부 터빈 수를 늘리고 직경은 조금씩만 키우며, 따라서 엔진의 길이가 길고 직경이 작은, 세장비가 긴 형태로 만들어져 항력이 적고 고속비행에 유리하여 터보팬이 보급될때까지 한동안 주력 엔진이었다.

효율과 성능을 향상시킬수는 있으나 향상시켜도 그다지 좋지 못하여 연비가 떨어지고, 또한 매연발생량이 엄청나 환경을 오염시킬수 있다.

나치 독일 후기의 군용기 및 냉전기 동서 양측의 항공기, 일부 미사일, 소수의 RC항공기 등.

기존 축류식 터보제트를 코어로 삼고, 앞에 중공축을 장비한뒤 해당 축에 코어보다 큰 터빈을 장착하여 마치 가솔린 항공기 엔진이 프로펠러를 돌리는 것처럼 전방 저압터빈으로 추진력의 일부를 내는 방식. 차이점이라면 가솔린 항공기는 모든 추진력이 프로펠러만으로 나오나 터보팬은 코어가 추진력을 어느정도 낸다는 점이다. 바이패스비가 낮은 저바이패스 엔진들은 코어의 터보제트가 주 추력을 내며 고바이패스 엔진들은 팬이 주 추력을 낸다.

소음이 덜하고 아음속에서 효율적이다.

매연발생량이 줄어들어 환경오염이 덜하며 축류식 터보제트만큼은 아니나 고속 영역에서도 어느정도 효율이 있다.

또한 애프터버너 장비 시 따로 흡기구가 필요했던 터보제트와는 다르게 앞의 큰 팬에서 나오는 바이패스 에어로 직접냉각이 가능하여 따로 설계를 바꾸거나 할 필요가 없이 그저 덕트를 뒤로 길게 늘여 애프터버너와 합치면 된다. 또한 역추진을 통한 급감속을 이용, 단거리 이착륙 능력(STOL)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자력후진이 가능해진다는 강점도 있다. 효율을 높이고 역추진 추력을 확보하고자 매우 거대한 팬을 달기도 한다.

설계와 구성이 복잡해진다(바이패스 덕트, 샤프트 수의 증가 등), 엔진이 커지고 무거워진다. FOD(외부 물질에 유입되어 입는 손상)와 동결에 따른 손상(ice damage)에 취약하다.

여객기, 화물기, 전투기, 폭격기, 대잠초계기, 수상기, STOL 능력을 갖춘 군용수송기들 중 대형 고중량 대출력을 요구받는 기종들 등 현대의 거의 모든 제트 항공기

터보팬 엔진을 기반으로 하여, 앞쪽 축에 기어박스를 연결하고 그 기어박스에 팬 대신 프로펠러를 연결, 구동하기 위해 가스터빈 엔진을 사용한다.

저속에서 효율이 매우 높다.(시속 500 - 700km) 엔진 자체가 어느정도 추진력을 내기도 한다.

속도에 한계가 있고 가스 터빈 사용으로 소음이 많고 구동계가 복잡하다.

STOL성능이 필요한 항공기들에 대규모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중량이 많이 무겁지는 않으나 여러 화물을 싣고 지형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자유자재로 뜨고 내릴 것을 요구받을 경우 쓰인다. 또한 경비행기에도 자주 사용된다.

원심식 터보샤프트

터보제트 엔진을 기반으로 하여 뒤쪽 측면으로 샤프트를 내어 기어박스에 연결, 축 회전속도를 적절히 감속시켜 메인로터와 테일로터를 구동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동륜을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엔진.

저속에서 효율이 높으며 엔진 자체가 추진력을 내지 않도록 만들어져 호버링에 유리하다.

터보프롭보다 속도한계가 더 낮아 느리며 효율도 그렇게 좋지는 못하다.

서방 헬리콥터 및 고정익 수송기, 동서방 가스터빈 전차 및 선박에 사용.

축류식 터보샤프트

원심 블레이드가 들어가지 않아 원심식 터보샤프트보다는 엔진 내부 항력발생량이 적기 때문에 고속성 및 효율 면에서는 우위에 있지만, 속도한계가 터보프롭보다 낮은 것은 동일하다. 또한 공기압축능력이 떨어져 고고도에서 활동하기 힘들어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헬기임에도 불구하고 활주이착륙을 해야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

동구권 헬리콥터 거의 전부 및 고정익 수송기(안토노프 An-140이 사용), 동서방 선박 추진기관에 사용.

터보프롭 엔진이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마치 덕트를 뺀 터보팬과 유사한 형식이다.

연료 효율이 매우 높다. 1980년대에 고유가로 유행했었다.

터보팬보다 복잡하고 소음이 많아 개발에 한계가 있다.

일부 고정익 항공기.

공기압축기를 사용하지 않고, 기압을 이용하는 엔진

초음속에선 아주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가볍다.

어느 일정한 속도에 도달해야 잘 작동하며, 낮은 속도에선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걸리더라도 작동이 불안정하다.

터보램제트

터보제트 뒤쪽 애프터버너에 램제트 기능을 넣은 엔진

초음속에서 안정적이면서도 저속에서도 안정적이다.

엔진이 매우 크고 길며, 무겁다. 속도영역에 따라선 어느 한쪽을 꺼야 하나, 가속할 시에는 램제트 엔진이 애프터버너로 쓰여야 해서 켜지게 된다. 연비가 그다지 좋지 못하고, 고속비행으로 인한 대기마찰열 등의 사유로 기체가 자연열처리가 된다고도 할 정도로 매우 뜨거워지기 때문에 유압계통 유격이 커 평상시에도 기름이 타 항공기보다 더 많이 새도록 되어야 한다.

SR-71 등 고고도 초음속 정찰기 전용엔진.

이 부분의 본문은 터보제트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좁은 의미의 제트 엔진이 터보제트이다. 간단히 말한다면 가스 터빈 기관을 그대로 동력기관으로 사용할 때 터보젯이 된다. 여기에 바이패스(by-pass ratio)를 높이기 위해 압축기의 1단 팬을 확대한 것이 터보팬으로 대부분의 항공기들이 이 터보팬 엔진이다. 또 다른 방식으로 터빈에서 얻은 동력을 압축기뿐 아니라 따로 축을 연결하여 프로펠러 등을 구동하는 것이 터보프롭, 터보샤프트이다.

터보젯 엔진에 의한 추진을 프로펠러에 의한 추진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적은 공기를 흡입하여 분출한다. 반면에 프로펠러는 많은 공기를 취하지만 상대적으로 느리게 공기를 밀어낸다. 이러한 이유로 비행체가 고속으로 기동할 때나 높은 고도에서(공기가 희박) 제트 엔진의 효율이 더 좋아진다. 다시 말하면 저속에서는 프로펠러에 의한 추진이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가스터빈에 프로펠러를 연결한 터보프롭기가 단거리나 저속 비행에 이용되고 있다.

이 부분의 본문은 터보팬입니다.

터보팬 엔진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그림

현대의 항공기 엔진은 거의 대부분 터보팬이다. 제트 엔진, 즉 터보젯 엔진에 대형 팬을 더한 것으로 이 팬을 통해 압축기로 공기를 보낼 뿐 아니라 엔진 본체를 둘러싼 바이패스 덕트로도 보낸다. 덕트로 보내진 공기는 배기구를 빠져나가기 전 연소된 공기와 혼합되어 분출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터보팬 엔진은 효율이 좋아지고 터보젯 엔진보다 소음이 덜하다.

제트 엔진이 항공기 엔진으로 사용되던 초창기엔 군사용과 일반 항공기용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오늘날 대부분의 터보팬 엔진은 연료 효율을 높이고 소음을 줄이기 위해 낮은 추력비를 갖는데 이것은 상대적으로 바이패스비가 높음(4-8:1)을 의미한다. 하지만 군사용으로 사용되는 터보팬 엔진은 소음이나 연료 효율보다는 높은 추력을 요구함으로 바이패스비가 낮다(보통 2.0이하).

엔진 종류에 따라 상이한 구성 요소들을 갖지만 제트 엔진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를 갖는다.

공기 유입구(Air Intake)

제트 엔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이다. 아음속 비행의 경우 공기 흡입구 형상이 크게 문제되지 않기 때문에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으면 되지만 초음속으로 비행할 경우 압축기로 유입되는 공기는 음속이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기 흡입구 설계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초음속으로 인한 충격파에 대응하기 위해 콘(cone)이나 램프(ramp)를 설치한다.

압축기(Compressor)

유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연소실로 보낸다. 거의 모든 제트 엔진이 팬을 일렬로 배열하여 공기가 팬을 지나면서 점차 압축되는 방식이다. 구동력은 터빈에서 샤프트로 연결하여 얻는다.

연소실(Combustor or Combustion Chamber)

압축기에서 유입된 공기가 연료와 섞여 연소하는 곳이다. 이때의 팽창력으로 터빈을 돌리고 배기구를 통해 고속의 제트 기류를 분출하여 추력을 얻는다. 연소를 위한 플래임홀더(flame holder)를 갖고 있다.

터빈(Turbine)

연소하는 공기의 팽창력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켜 동력을 얻는다. 이 동력으로 압축기를 돌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와 연결해 동력을 전달한다. 터빈 날이 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축기에서 유입된 차가운(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로 터빈 날을 식힌다.

샤프트(Shaft)

터빈에서 얻은 동력을 압축기에 전달하고 터보샤프트(터보프롭)의 경우 엔진 외부로 토크(Torque)를 전달한다.

후연기(Afterburner)

주로 전투기에 추가로 추력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연소되고 터빈을 빠져나온 팽창 가스는 여전히 높은 온도를 갖고 있으나, 그래도 점화장치가 필요하다. 애프터버너로 가열된 공기가 들어오기 전에 바이패스 기류가 연소가스와 잠시 합쳐졌다가 떨어지는데, 이 때 온도가 낮아지는것도 있고, 스크램블시엔 저출력운전(택싱)이나 활주로상에서 공회전을 하다가 갑자기 애프터버너를 작동함과 동시에 최대 출력으로 올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가스의 온도가 부족할수도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불꽃안정기라는 추가부품도 필수이다. 그리고 여기에 연료를 분사, 점화하면 추력을 추가로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연비가 지나치게 나빠져서 이륙할 때나 목표지점으로 고속 이동해야 하는 사유가 있을 때(레이더 화면상에 아측 영공내로 침입한 적기 또는 적 폭격 편대가 포착되어 예상경로상에 실제공습경보가 발령되었을 시)나 비무장상태로 적기조우 또는 적 방공망의 미사일 발사 감지로 인해 고속도주할때, 또는 같은 이유로 고속도주하는 적기를 추격해야하는 중요한 이유가 있을때(미그25나 미그31같은 서방측 전투기가 속도부족으로 따라가지 못함에도 영공 밖으로 이탈시켜 방어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나 이들이 착륙접근중임을 감지하고 격추및 비행장 보복폭격을 위해 고속추격하는 경우 등) 등 고기동을 요구할 때에만 사용된다.

배기구(Exhaust or Nozzle)

연소된 공기가 팽창하면서 배기구를 통하여 고속의 제트 기류를 내뿜고 추력을 얻는다. 대부분 일정한 단면을 갖고 분출 방향으로 오므린 모양이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Pre-cooled 터보젯

핵추진 램젯

기어드 터보팬

램제트

제트 엔진 이해를 위한 애니메이션-영문

RMCybernetics - 집에서 만드는 제트 엔진-영문

How Stuff Works 사이트의 가스터빈 엔진 원리-영문

우주항공 산업에서 제트 엔진의 영향-영문

군사용 제트 엔진 역사에 관한 고찰-영문 (Rand Corp., 24 pgs, PDF)

제트 추진 자전거-영문

터보제트(영어: turbojet)는 항공기에 추력을 공급하는 기관의 한 종류로서, 가스터빈엔진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터보제트의 기계적 구성은 크게 공기 흡입구, 압축기, 연소기, 터빈 및 추력 노즐로 나눌 수 있다. 각 구성품의 역할에 관해서는 제트 엔진에 관한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터보제트 엔진의 일반적인 작동 원리에 관해서는 가스 터빈에 관한 문서의 원리 부분을 참고할 수 있다. 항공용 기관으로서는, 추력 노즐을 통해 분출되는 공기의 반작용에 의해 항공기에 추력을 전달하게 된다.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여기에 연료를 분사하여 발생시킨고온고압의 연소가스를 분출시켜 그 반작용으로 추진력을 얻음.

1930년대 후반, 가스터빈엔진을 이를 항공기용 추력 공급원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아이디어로부터 터보제트 엔진이 탄생하였다.

터보제트 엔진은 왕복동 엔진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크기 때문에, 터보제트 엔진을 장착한 항공기는 왕복동 엔진을 이용한 프로펠러형 항공기에 비해 빠른 비행 속도를 낼 수 있었다. 이 때문에 각국이 군용 항공기의 추력원으로서 터보제트 엔진의 연구 개발에 박차를 가하였다.

그러나 이후 터보제트 엔진의 개량형 격으로 동일한 추력에 대하여 소모되는 연료량을 줄일 수 있는 터보팬 엔진이 등장하였으며, 현대의 대부분의 전투기, 수송기, 폭격기 등 군용 항공기는 터보팬 엔진을 장착하고 있다. 또한 터보제트 엔진은 터보샤프트 엔진(헬리콥터용), 터보프롭 엔진(프로펠러기용) 등으로도 분화하였다.

제트엔진

터보프롭

터보팬

터보

기본 정보

결성 지역

장르

2015년 12월 2일 ~ 현재

레이블

소속사

스타뮤직 (1995년 7월 1일 ~ 2001년 4월 9일)

더 터보 컴퍼니 (2015년 12월 2일 ~ 현재)

구성원

터보(영어: Turbo)는 1995년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3인조 남성 그룹이다. 원래는 남성 듀오였으나, 해체 14년만에 터보 원년 멤버 래퍼 김정남김종국, 터보 래퍼 마이키(우노앤베티(Uno)의 멤버:강성민(OGN(온게임넷) 켠김에왕까지 허강조류(허준, 강성민, 조현민, 류경진) 멤버활동), 베티(이의정)의 난중난색 피쳐링)를 모두 포함한 3인조 그룹으로 재결합하였다.

1995년 7월 1일 정규 1집 280km Speed '나 어릴적 꿈'으로 데뷔 정규 1집 280km Speed

1996년 8월 14일 정규 2집 New Sensation

1996년 11월 1일 캐롤 X-Mas Dance Party with TURBO

1996년 11월 28일 곽승남 탈퇴

1997년 6월 1일 Summer Rmmix

1997년 7월 23일 소속사 문제로 김정남 탈퇴

1997년 10월19일 마이키 영입

1997년 10월 22일 정규 3집 Born Again

1997년 12월 마이키의 우노앤베티(우노(강성민(OGN(온게임넷) 켠김에왕까지 허강조류(허준,강성민,조현민,류경진 멤버활동),김형철,장신민)와 베티(이의정)) 난중난색 피쳐링

1998년 11월 1일 정규 4집 Perfect Love

1999년 7월 1일 Millennium TURBO Dance Megamix

2000년 1월 25일 5집 E-Mail my Heart 앨범으로 다시 컴백

2000년 5월 28일 활동 중단

2001년 4월 9일 마이키의 비자문제와 소속사와 계약만료와 함께 김종국이 탈퇴함에 따라 그룹 터보는 끝내 해체됨

2001년 6월 20일 TURBO History Best 발매

2015년 12월 2일 김정남, 김종국, 마이키 3명으로 재결합

2015년 12월 21일 0시 데뷔 20주년 터보(Turbo) 6th Album "AGAIN" 발매

TITLE(2곡) : 다시 (feat. 유재석), 숨바꼭질

2017년 7월 25일 미니 앨범 TURBO SPLASH 로 컴백

이름

소개

이름 : 김종국 (金鍾國)

생년월일 : 1976년 4월 25일 (45세)

포지션 : 리더, 메인보컬[1]

활동기간 : 1995년 ~ 2001년, 2015년 ~ 현재

이름 : 김정남 (金正男)

생년월일 : 1972년 1월 25일 (49세)[2]

출생지 : 경상북도 의성군

포지션 : 리드래퍼, 메인댄서

활동기간 : 1995년 ~ 1997년, 2015년 ~ 현재

본명 : 조명익 (趙明翼)

생년월일 : 1980년 1월 30일 (41세)

포지션 : 메인래퍼

활동기간 : 1997년 ~ 2001년, 2015년 ~ 현재

이름

소개

본명 : 곽승남 (郭勝南)

생년월일 : 1975년 1월 23일 (46세)

출생지 : 서울특별시

포지션 : 메인보컬

활동기간 : 1995년 ~ 1996년

번호

음반 정보

트랙 리스트

1

280Km/h Speed

발매일: 1995년 7월 1일

판매량: 545,986장 (절판)

Turbo`s Theme

나 어릴적 꿈

소유할 수 없는 사랑

검은 고양이

초상화

죄와 벌

선택

잿빛 하루

떠나 가는 너

나의 일기

나 어릴 적 꿈 (Acid House Remix)

나 어릴 적 꿈 (Techno Remix)

검은 고양이 (X-Mas Remix)

두 아빠 (MBC-TV 홈드라마 주제곡)

나 어릴 적 꿈 (Inst.)

2

발매일: 1996년 8월 14일

판매량: 1,221,034장 (절판)

Prologue

Love Is... (3+3=0)

노스트라다무스 (사랑의 예언)

Twist King

어느 째즈바...

바람의 철학 (바람부는 날)

우리들의 천국

개구장이 (Techno Remix)

평화로운 세상

하늘 만큼 땅 만큼

상처

변심

지난 겨울

생일 축하곡 (Acid House Remix)

Love Is... (Inst.)

어느 째즈바... (Inst.)

Twist King (Inst.)

3

Born Again

발매일: 1997년 10월 22일

판매량: 1,404,288장 (절판)

Prologue

금지된 장난

회상 (December)

Goodbye Yesterday

어긋난 사랑

Always

오버 센스

러브 송 (Hi Energy Style)

Only Seventeen

졸업

추억 만들기

단념

나폴레옹

겨울 나그네

후회 없는 사랑 (Acid House Remix)

Happy Birthday To You (Bonus Track)

4

Perfect Love

발매일: 1998년 11월 1일

판매량 1,092,000장 (절판)

Prologue

X (The Greatest Love)

결투 (Western House)

애인이 생겼어요 (True Love)

기도 (Endless Love)

허니문 (Honeymoon)

다가갈 수 없는 너

California

첫사랑 (Crazy Love)

거짓말

후회

Love Forever

오해

White Love (스키장에서)

또 만나요 (See You Again)

5

E-Mail My Heart

발매일: 2000년 1월 26일

판매량 913,000장 (절판)

Prologue (Inst.)

D.D.R

Cyber Lover

Paradoxx

Tonight

왜 몰라

Secret

Please

Why

Knife

Behind Story

My Life

Stay

Easy Love

내사랑 내곁에

Memories

6

AGAIN

발매일: 2015년 12월 21일

판매량: 약 44,000장 (절판)

Intro

다시 (Feat. 유재석) 뮤직비디오

숨바꼭질 뮤직비디오

댄싱퀸 (Prod. by 주영훈)

잘 지내 (Feat. 박정현)

..is love

나비효과

하얀거리 (Prod. by 윤일상)

어느 째즈바 2015

악몽

skit

가요 톱 10 (Feat. 이하늘, 지누, 이상민)

행복했음 좋겠다 (Feat. 산이)

우리 (Feat. 케이윌, 제시)

Sunshine (Feat. 소야)

Happy Birthday To You (Bagagee Viphex13 Remix)

다시 (Feat. 유재석) (Chinese Ver.) (CD Only)

다시 (Inst.)

숨바꼭질 (Inst.)

1996년 11월 28일 당시 소속사인 스타뮤직 대표 권승식이 터보 멤버들을 폭행하고 수익을 갈취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터보 멤버들이 예정되어있던 방송 스케줄을 펑크내고 잠적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그 후 소속사의 만행이 드러나자 검찰 측이 소속사를 조사하였는데, 이 이전에도 메인보컬이었던 곽승남이 앨범 발표 전에 소속사의 만행으로 인해 탈퇴한 사건이 있었으며 곽승남은 터보 탈퇴 후 2인조 그룹 '지오'를 결성했다[3]. 결국 이 사건으로 김정남은 복귀하지 못하고 이듬해 7월 팀을 탈퇴하였다. 그러나 2015년 12월 터보의 재결합으로 활동을 재개하였다.

1998년 12월 31일kbs한·중·일 콘서트'에서 불성실한 자세로 공연을 한 김종국에게 가수 활동 무기한 정지 처분이 내려지면서 약 한 해 동안 터보의 활동은 중단되었고 나머지 공백 기간 중 대만까지 진출해 인기를 얻기도 하였다. 영구제명위기까지 갔었다가, 1999년 10월에 징계는 풀렸지만 이 사건은 터보 해체의 원인이 되었다.

연도

수상 내역

1995년

12월 14일 《KMTV 가요대전》 본상

1996년

12월 5일 《제7회 서울가요대상》 본상

12월 12일 《일간스포츠주최 한국영상음반》 대상

12월 13일 《KMTV 가요대전》 인기 가수상

12월 29일 《SBS 가요대전》 그룹 부문상, 올해의 가수상

12월 31일 《MBC 한국가요제전》 올해의 가수상

1997년

12월 4일 《제8회 서울가요대상》 본상

12월 14일 《제12회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본상

12월 14일 《KMTV 가요대전》 인기 가수상

12월 28일 《SBS 가요대전》 10대 가수상

1998년

12월 6일 《KMTV 가요대전》 인기 가수상

12월 18일 《제8회 서울가요대상》 본상

12월 27일 《SBS 가요대전》 10대 가수상

12월 30일 《KBS 가요대상》 본상

2000년

연도

수상 내역 (총 49회)

1995년 (총 1회)

나 어릴적 꿈 (총 1회)

12월 3일 《SBS TV가요20》 1위

1996년 (총 20회)

검은 고양이 (총 6회)

1월 19일 《MBC 인기가요 베스트 50》 1위

1월 21일 《SBS TV가요20》 1위

1월 26일 《MBC 인기가요 베스트 50》 1위

1월 28일 《SBS TV가요20》 1위

2월 2일 《MBC 인기가요 베스트 50》 1위 (3주 연속, BEST OF BEST)

2월 4일 《SBS TV가요20》 1위 (3주 연속)

Twist King (총 9회)

8월 31일 《MBC 인기가요 베스트 50》 1위

9월 7일 《MBC 인기가요 베스트 50》 1위

9월 8일 《SBS TV가요20》 1위

9월 11일 《KBS 가요톱10》 1위

9월 14일 《MBC 인기가요 베스트 50》 1위 (3주 연속, BEST OF BEST)

9월 15일 《SBS TV가요20》 1위

9월 18일 《KBS 가요톱10》 1위

9월 25일 《KBS 가요톱10》 1위 (3주 연속)

9월 29일 《SBS TV가요20》 1위 (3주 연속)

Love is...(3+3=0) (총 5회)

10월 19일 《MBC 인기가요 베스트 50》 1위

10월 20일 《SBS TV가요20》 1위

10월 26일 《MBC 인기가요 베스트 50》 1위 (2주 연속)

10월 27일 《SBS TV가요20》 1위

11월 17일 《SBS TV가요20》 1위 (통산 3주)

1997년 (총 7회)

Goodbye Yesterday (총 7회)

12월 6일 쇼 뮤직탱크 1위

12월 3일 《KBS 가요톱10》 1위

12월 10일 《KBS 가요톱10》 1위

12월 13일 쇼 뮤직탱크 1위

12월 14일 《SBS TV가요20》 1위

12월 17일 《KBS 가요톱10》 1위

12월 20일 쇼 뮤직탱크 1위

1998년 (총 12회)

Goodbye Yesterday (총 3회)

1월 3일 쇼 뮤직탱크 1위 (4주 연속)

1월 3일 《MBC 인기가요 베스트 50》 1위

1월 7일 《KBS 가요톱10》 1위 (4주 연속)

회상(December) (총 3회)

2월 1일 《SBS 인기가요》 1위

2월 8일 《SBS 인기가요》 1위

2월 15일 《SBS 인기가요》 1위 (3주 연속, 트리플 크라운))

금지된 장난 (총 3회)

3월 7일 《MBC 젊은그대》 1위

3월 14일 《MBC 젊은그대》 1위

3월 21일 《MBC 젊은그대》 1위 (3주 연속)

애인이 생겼어요 (총 2회)

11월 14일 《MBC 음악캠프》 1위

11월 22일 《SBS 인기가요》 1위

X(The Greatest Love) (총 1회)

12월 19일 《MBC 음악캠프》 1위

1999년 (총 1회)

X (The Greatest Love) (총 1회)

1월 17일 《SBS 인기가요》 1위

2000년 (총 1회)

Cyber Lover (총 1회)

3월 7일 《KBS 뮤직뱅크》 1위

2016년 (총 1회)

다시(Feat. 유재석) (총 1회)

1월 3일 《SBS 인기가요》 1위

연도

수상 내역 (총 36회)

1996년 (총 17회)

검은 고양이 (총 5회)

1월 13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1월 20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1월 27일 《KMTV 쇼! 뮤직탱크》 1우위

2월 3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2월 10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5주 연속, 최강자)

선택 (총 1회)

2월 17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Twist King (총 5회)

8월 31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9월 7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9월 14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9월 21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9월 28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5주 연속, 최강자)

Love is...(3+3=0) (총 5회)

10월 5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10월 12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10월 26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11월 2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11월 9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5주 연속, 최강자)

어느 째즈바 (총 1회)

11월 23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1997년 (총 3회)

Goodbye Yesterday (총 3회)

12월 6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12월 13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12월 20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1998년 (총 11회)

Goodbye Yesterday (총 1회)

1월 3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회상(December) (총 5회)

1월24일kmTv쇼뮤직탱크1위

1월31일쇼뮤직탱크1위2주연속

2월1일sbs인기가요1위

2월8일sbs인기가요1위

2월15일sbs인기가요1위3주연속트리풀크라운

2월 7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2월 14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2월 21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2월 28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4주연속

3월 7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5주 연속, 최강자)

금지된 장난 (총 3회)

3월 14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3월 21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3월 28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애인이 생겼어요 (총 1회)

10월 3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White Love (스키장에서) (총 1회)

12월 12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1999년 (총 5회)

X(The Greatest Love) (총 5회)

1월 9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1월 16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1월 23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1월 30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2월 6일 《KMTV 쇼! 뮤직탱크》 1위 (5주 연속, 최강자)

곽승남 탈퇴 이후 승계받음.

정지원 (2015년 1월 7일). “터보 김정남 "실제나이 72년생, 포털 프로필 안바뀌길"”. 뉴스엔. 2020년 5월 11일에 확인함.

김민서 (2016년 1월 28일). “인디고 곽승남 "터보 김종국 자리, 원래 내 거였다"”. 한국경제TV. 2020년 5월 11일에 확인함.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더 터보 컴퍼니 페이스북

더 터보 컴퍼니 인스타그램

김종국(金鍾國, 1976년 4월 25일 ~ )은 대한민국가수방송인이자 터보의 멤버이다.

1989년 명학초등학교(졸업)

1992년 신성중학교(졸업)

1995년 신성고등학교(졸업)

한세대학교 예술학부 작곡과(학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공연예술학과(석사)

1976년 4월 25일 서울 용산구에서 2남 중 차남으로 태어나 경기도 안양시에서 자랐다. 형 김종명성형외과 의사이며 각종 미인대회 심사위원을 한 적이 있다. (그전까지 합천 출생으로 알려졌으나 21년 3월 21일 런닝맨 방송에서 용산 출신이라 밝힘.)

스파르타꾹스, 능력자 라는 별명을 가진 그는 원래 태권도 선수였으나 척추측만증허리디스크로 운동을 그만두게 돼 가수의 꿈을 키우게 되었다.

운동 중독자로 매일 하루도 거르지 않고 몇 시간씩 웨이트 트레이닝에 전념한다. 또한 태권도 선수 이력으로 알 수 있듯 싸움을 굉장히 잘 하며 이 때문에 연예인 싸움실력에 천하장사 출신인 강호동과 더불어 항상 거론되는 인물이다.

원래 터보의 메인보컬은 곽승남이었다. 그러나 곽승남이 터보를 탈퇴하면서 김종국이 메인보컬을 담당하게 되었다.

여성, 남성 음역대를 모두 가진 특수 미성과 가창력의 소유자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1995년 7월 1일에 그룹 댄스 듀오 터보로 데뷔했다.

터보 정규앨범 2집, 3집, 4집이 모두 100만장 이상이 판매되어 3연속 밀리엄셀러를 달성했다.

김종국의 솔로 3집 앨범은 그에게 2005년 MBC, KBS, SBS 가요대상을 안겨주었고, 역대 다섯 번째 지상파 3사 가요대상 트리플 크라운 달성이자, 마지막 지상파 3사 가요대상 그랜드슬램 수상자가 됐다.

현재는 예능 프로그램 SBS런닝맨》, 《미운 우리 새끼》의 예능 프로그램 큰 활약을 하며 가수와 예능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5년 터보(전 멤버:곽승남) 해체 14년 만에 김정남, 마이키(1997년 우노앤베티(우노:강성민(OGN(온게임넷)) 켠김에왕까지 허강조류(허준,강성민,조현민,류경진) 멤버활동), 김형철, 장신민 베티(이의정))의 난중난색 1,2 피쳐링)와 재결합했다.

2004년 6월 FC 서울 홍보대사

2005년 11월~2006년 3월 KBS2 해피선데이 날아라 슛돌이 감독

2008년 6월 효창종합사회복지관 홍보대사

2009년 11월 홍명보 장학재단 셰어 더 드림 풋볼 매치 홍보대사

2012년 5월 금연 홍보대사

2012년 11월 드림투게더 크리스마스 100일의 기적 홍보대사

2013년 9월 대장경세계문화축전 명예홍보대사

2014년 4월 상하이 한국문화 및 우수 중기제품 페스티벌 홍보대사

2014년 6월 W재단 Run for Water 공익캠페인 홍보대사

Renaissance(정규 1집) - 2001년 12월 12일

Evolution(정규 2집) - 2004년 6월 18일

This Is Me(정규 3집) - 2005년 7월 1일

김종국의 네번째 편지(정규 4집) - 2006년 4월 13일

Here I Am(정규 5집) - 2008년 10월 22일

행복병(디지털싱글) - 2009년 3월 5일

따줘(디지털싱글)(트로트) - 2009년 4월 13일

열한번째 이야기(정규 6집) - 2010년 1월 27일

리메이크 앨범: 노래 - 2010년 9월 29일

소야 피쳐링(매일매일 사랑해) - 2010년 11월 16일

마이키 피쳐링(ALL FOR U) - 2011년 6월 24일

Journey Home(정규 7집) - 2012년 11월 1일

굿 닥터 OST part5 "모르나요" - 2013년 9월 16일

러브 인 메모리2 OST "눈물 자국" - 2014년 3월 10일

지우고 아플 사랑은 "지우고 아플 사랑은" - 2020년 12월 8일

눈물을 훔친다 (금혼령 X 김종국) "눈물을 훔친다" - 2021년 8월 30일

2004년 골든디스크 PAVE 인기가수상

2004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04년 SBS 가요대전 본상

2004년 KBS 가요대상 본상

2004년 MBC 10대 가수 가요제 본상

2005년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발라드부문 가수상

2005년 대한민국 영상대전 포토제닉상

2005년 골든디스크 본상

2005년 Mnet KM 페스티벌 남자솔로부문 최우수뮤직비디오상

2005년 KBS 연예대상 베스트 엔터테이너상

2005년 쥬크온 뮤직 어워드 올해의 노래 부문상

2005년 쥬크온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앨범 부문상

2005년 뮤즈 뮤직 어워드 올해의 히트곡 부문상

2005년 뮤즈 뮤직 어워드 올해의 남자가수 부문상

2005년 SBS 가요대전 본상

2005년 SBS 가요대전 대상

2005년 KBS 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2005년 KBS 가요대상 대상

2005년 MBC 가요대제전 본상

2005년 MBC 가요대제전 최고 인기 가수상

2006년 2005 맥스 어워드 Song Of The Year (대상)

2006년 2005 맥스 어워드 최우수 프로듀서상

2006년 한국방송프로듀서상 가수상

2006년 멜론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2006년 골든디스크 본상

2009년 아시안 모델 페스티벌 어워즈 인기가수상

2009년 제18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0년 SBS 연예대상 베스트 TV스타상

2011년 SBS 연예대상 버라이어티부문 우수상

2013년 KBS 연예대상 최고 엔터테이너상

2013년 SBS 연예대상 시청자들이 뽑은 인기상

2013년 SBS 연예대상 남자 우수상

2014년 SBS 연예대상 최우수상

2014년 SBS 연예대상 네티즌 최고 인기상 - 중국

2015년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국무총리 표창

2016년 KU Music 시상식 올해의 아시아 최고 인기상 (The Most Concerned Artist Of The Year)

2018년 SBS 연예대상 베스트 커플상

2018년 SBS 연예대상 프로듀서상

2019년 SBS 연예대상 리얼리티쇼 부문 최우수상

2020년 SBS 연예대상 대상

2020년 제25회 소비자의 날 시상식 예능 부문 방송인상

2021년 2021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 엔터테이너상 (남자)

연도

수상 내역 (총 39회)

2004년 (총 10회)

한 남자 (총 10회)

9월 11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9월 18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9월 25일 MBC음악캠프》 1위

9월 25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9월 26일 SBS인기가요》 뮤티즌송

10월 2일 MBC음악캠프》 1위

10월 2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10월 3일 SBS인기가요》 뮤티즌송 (2주 연속)

10월 9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5주 연속, 최강자)

10월 16일 MBC음악캠프》 1위 (통산 3주)

2005년 (총 25회)

제자리 걸음 (총 15회)

7월 30일 MBC음악캠프》 1위

7월 30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8월 4일 M.net엠카운트다운》 1위

8월 6일 MBC음악캠프》 1위

8월 6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8월 7일 SBS인기가요》 뮤티즌송

8월 13일 MBC음악캠프》 1위

8월 13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8월 14일 SBS인기가요》 뮤티즌송

8월 20일 MBC음악캠프》 1위

8월 20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8월 21일 SBS인기가요》 뮤티즌송 (트리플 크라운)

8월 27일 MBC음악캠프》 1위

8월 27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5주 연속, 최강자)

9월 3일 MBC음악캠프》 1위 (6주 연속, 음악캠프 최후의 수상자)

사랑스러워 (총 8회)

9월 10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9월 11일 SBS인기가요》 뮤티즌송

9월 17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9월 24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9월 25일 SBS인기가요》 뮤티즌송

10월 1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10월 2일 SBS인기가요》 뮤티즌송 (트리플 크라운)

10월 8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5주 연속, 최강자)

별, 바람, 햇살 그리고 사랑 (총 2회)

11월 19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11월 26일 KMTV쇼 뮤직탱크》 1위 (2주 연속)

2008년 (총 4회)

어제보다 오늘 더 (총 4회)

11월 7일 KBS뮤직뱅크》 K-Chart 1위

11월 14일 KBS뮤직뱅크》 K-Chart 1위 (2주 연속)

11월 16일 SBS인기가요》 뮤티즌송

11월 23일 SBS인기가요》 뮤티즌송 (2주 연속)

터보+솔로 가수 활동 이래 총 음반 판매량 670만장 이상 판매

터보+솔로 가수 활동 이래 가요 프로그램에서 총 124주 1위

솔로 2집 앨범 Evolution과 3집 앨범 This is me가 한 앨범에서 3곡이 1위를 하는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

역대 2번째로 연예대상과 가요대상을 모두 수상

대규모 음원사이트에서 한 앨범의 3곡이 1위를 기록한 건 김종국이 최초이자 유일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를 거쳐 1위곡을 보유한 가수

음원 서비스 벅스뮤직에서 아티스트별 주간 1위 횟수 총 32주 1위로 2위에 기록

2006년에 집계한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요 100곡 중에서 한 남자(23위), 사랑스러워(56위)를 차지.

정규 앨범 2집 New Sensation, 3집 Born Again, 4집 Perfect Love 모두 3연속으로 밀리언셀러를 기록

정규 앨범 3집 Born Again이 한 앨범에서 3곡이 1위를 차지하는 트리플 크라운 달성

터보 활동 이래 가요 프로그램에서 총 85주 1위를 차지

정규 앨범 3집 Born Again의 수록곡 Goodbye Yesterday, 회상(December), 금지된 장난이 가요 프로그램에서 총 34주 1위를 달성

전 소속사의 방해로 가요계에서 매장 당할 뻔한 김종국이 "한 남자"와 "중독"의 큰 인기에 힘입어 많은 사랑을 받는 발라드 솔로 가수로 부활

SBS 인기가요 "한 남자" 1위 (2회)

MBC 음악캠프 "한 남자" 1위 (3회)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1위 ("한 남자")

활동 4개월만에 싸이월드 뮤직 다운로드건수 40만 건 이상 달성 ("한 남자")

KMTV 쇼 뮤직탱크 "한 남자" (5회 최강자)

벅스 뮤직 차트 8주 연속 1위 (한 남자)

벅스 뮤직 차트 6주 연속 1위 (중독)

벅스 뮤직 차트 1주 1위 (Feeling)

벅스 뮤직이 생긴 이래 최초로 한 앨범에서 3곡이 1위를 하는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 (총 15주 1위)

한달여만에 3집 앨범을 발매한 이래 15일 지상파 케이블 라디오 등을 집계한 결과 방송횟수 1088회 기록

벅스 뮤직 차트 통산 6주 1위 (사랑스러워)

벅스 뮤직 차트 통산 6주 1위 (별, 바람, 햇살 그리고 사랑)

3집 앨범 This is me의 수록곡 "제자리 걸음"이 멜론 차트 6주 연속 1위, 쥬크온 음악 차트에서 6주 연속 1위, 맥스MP3 차트에서 통산 5주 1위를 차지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3위 "사랑스러워", 8위 "제자리 걸음"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TOP 10 안에 2곡 이상 올린 가수는 김종국이 유일, 1위는 윤도현, 2위는 MC몽)

김종국이 발매한 3집 'This is me'가 싸이월드 명예의 전당 앨범 순위 2위에 기록

3집 앨범 'This is me'가 싸이월드 미니홈피 배경음악 (2002~2010년)으로 가장 많이 판매된 앨범이 되어 06년 6월 기준 37주 연속 1위 (Platinum) 등급 달성

3집 앨범이 2010년까지 싸이월드 BGM 등급 메달에서 무려 4곡이 붙었고, 2010년까지 4곡 이상이 붙은 앨범은 김종국 3집 앨범이 유일

한 앨범에서 3곡("제자리 걸음", "사랑스러워", "별 바람 햇살 그리고 사랑")이 1위를 하는 트리플 크라운 달성

정규 3집 앨범 'This is me' 총 판매량 30만장 판매 2위 (1위는 SG워너비의 2집 앨범 살다가 43만장)

SBS 인기가요 "제자리 걸음" 통산 3주 연속 1위 (트리플 크라운)

SBS 인기가요 "사랑스러워" 통산 3주 연속 1위 (트리플 크라운)

Mnet 엠카운트다운 "제자리 걸음" 1위

MBC 음악캠프 "제자리 걸음" 6주 연속 1위 (6주 연속 1위는 최초 달성이자 최후의 수상자)

KMTV 쇼 뮤직탱크 "제자리 걸음" 1위 (5회 최강자)

KMTV 쇼 뮤직탱크 "사랑스러워" 1위 (5회 최강자)

KMTV 쇼 뮤직탱크 "별 바람 햇살 그리고 사랑" 1위 (2회)

음악 순위 프로그램 "제자리 걸음" 15관왕, "사랑스러워" 8관왕, "별 바람 햇살 그리고 사랑" 2관왕 총 25관왕으로 누적 1위

3집 앨범 후속곡 "사랑스러워"가 활동 4개월만에 싸이월드 뮤직 다운로드건수 50만 건 이상 달성

3집 앨범 후속곡 "사랑스러워"가 싸이월드 미니홈피 BGM 등급에서 50만 곡 이상을 판매한 곡에게 수여되는 (Platinum) 등급을 수여받은 곡

각종 벨소리&컬러링 음원 차트에서 TOP 10 안에 3~4개의 곡("제자리 걸음", "사랑스러워", "별 바람 햇살 그리고 사랑", "그녀의 남자에게")을 올림(TOP 10에 한 가수당 한 곡 뿐인 반면, 김종국은 3~4개의 곡을 올림)

3집 앨범 This is me의 수록곡 제자리 걸음과 사랑스러워가 SK Telecom 벨소리&컬러링 디지털 음원 다운로드 건수 194만 건으로 도합 1위를 차지(제자리 걸음 843,130만 건 + 사랑스러워 1,098,208만 건)

3집 앨범과 타이틀 곡 "제자리 걸음"으로 쥬크온 뮤직 어워드에서 올해의 앨범 부문, 올해의 노래 부문에 등극

타이틀곡 "제자리 걸음"으로 뮤즈 뮤직 어워드에서 올해의 히트곡 부문, 올해의 남자가수 부문에 등극

위의 성적으로 "제자리 걸음"은 SBS 가요대전 대상을, "사랑스러워"는 KBS 가요대상 대상, MBC 가요대제전 대상을 바침

역대 다섯 번째 지상파 3사 가요대상 트리플 크라운 달성이자, 마지막 지상파 3사 가요대상 그랜드슬램을 달성

솔로 정규 4집 앨범으로 제2회 멜론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으로 등극

솔로 발라드 가수로서 , 원더걸스, 빅뱅과 함께 활동했음에도 지상파에서 총 4주 1위를 차지

KBS 뮤직뱅크 "어제보다 오늘 더 " 1위 (2회)

SBS 인기가요 "어제보다 오늘 더" 1위 (2회)

정규 5집 앨범 발표 하루만에 온라인 오프라인 차트 1위

5집 앨범 발표 당일 두 시간 만에 싸이월드 뮤직에서 실시간 1위

음악포털 엠넷닷컴의 실시간 TOP 7에서 7곡중 6곡이 김종국 앨범의 수록곡들로 랭크

5집 앨범 발매 2개월만에 타이틀 곡 "어제보다 오늘 더"가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15위에 랭크

 

날짜

프로그램명

1

1999년 1월 8일

2

2001년 11월 4일 ~ 2002년 5월 25일

3

2004년 7월 ~ 2004년 12월, 2005년 7월 ~ 2006년 2월

4

2005년 10월 ~ 2006년 3월

KBS2 《날아라 슛돌이

5

2005년 8월 6일, 9월 3일

6

2008년 10월 ~ 2010년 2월

7

2010년 7월 11일 ~

SBS 《런닝맨

8

2012년 9월 10일 ~ 2016년 4월 11일

9

2014년 11월 27일 ~ 2015년 3월 19일

JTBC 《에브리바디

10

2014년 12월 20일 ~ 2015년 1월 3일

11

2016년 5월 6일 ~ 2016년 10월 7일

KBS2 《어서옵SHOW

12

2016년 8월 13일 - 493회

MBC 《무한도전

13

2017년 10월 10일 ~ 2017년 12월 19일

14

2017년 3월 20일 ~ 2017년 5월 15일

TV조선 《맘대로 가자

15

2017년 3월 2일 ~ 2017년 7월 6일

16

2018년 1월 26일 ~ 2018년 4월 27일

17

2018년 12월 20일

SBS 《가로채널》 6회

18

2018년 2월 25일 ~

19

2018년 5월 4일 ~ 2018년 6월 9일

Mnet 《더 콜

20

2019년 1월 18일 ~ 2019년 4월 12일

21

2019년 1월 31일 ~ 2019년 4월 19일

MBC 《Target: Billboard - KILL BILL》

22

2019년 3월 12일 - 608회

23

2019년 3월 5일 ~ 2019년 3월 26일

KBS2 《입맞춤

24

2019년 7월 17일 ~ 2020년 1월 8일

25

2019년 7월 5일 ~ 2019년 9월 13일

Mnet 《더 콜 시즌2

26

2020년 1월 17일 ~ 2020년 4월3일

27

2020년 1월 7일 ~ 2020년 7월 13일

28

2020년 5월29일 ~

29

2021년 2월 18일 ~

MBC 《OPAL이 빛나는 밤》

30

2021년 3월 3일

TV조선《뽕숭아학당

31

2021년 4월 18일

SBS 《집사부일체

프로듀사(2015년 5월 15일 ~ 2015년 6월 20일) - 김홍순 역

마음의 소리

원더풀 라디오 - 카메오 본인 역

1996년 일양약품 꾸러기철력(그룹 터보 팀으로 출연)

2006년 휠라코리아

2009년 훌랄라치킨(SBS 일요일이 좋다 - 패밀리가 떴다 팀으로 출연)

2009년 구김스

2012년 삼성전자 갤럭시 R

2013년 세정 피버그린

2015년 제일신검

2015년 조이시티 주사위의 신(SBS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팀으로 출연)

2016년 대상웰라이프 클로렐라

2016년 중국 코카콜라 수이둥러

2016년 중국 오리온 오감자

2018년 테팔 에어포스360

2018년 Y&H 렉스파

2018년 아미코스매틱 BRTC

2018년 칼로바이

2019년 에쓰 오일

2019년 완미세계 모바일

2020년 젝시믹스

Evolution(김종국의 음반)

김종국의 네번째 편지

유재석

소야

마이티 마우스

지석진

개리

하하

송지효

이광수

양세찬 (허준과 함께 투니버스,OGN(온게임넷)에서 공동제작,동시방영한 소원의섬 캐릭아일랜드 진행)

허준

전소민

김정남

마이키

윤일상

안정훈

차태현

장혁

홍경민

홍경인

오지호

박수홍

이상민

임원희

탁재훈

김순택

김창열

김희철

강호동

이훈

박예진

이효리

대성

윤종신

김수로

이천희

지진희

조성모

유승준

이상인

이창명

김종국 사촌 누나의 딸이다. 따라서, 김종국에게는 5촌 조카가 된다.

윤, 성열 (2018년 5월 26일). “[단독]김종국, FA시장 나온다..올 여름 소속사와 계약만료”. 스타뉴스. 2019년 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28일에 확인함.

식당 메뉴판에 감자민찌조림이 있는데...

식당 메뉴에 감자민찌조림이 있는데 민찌가 무슨 뜻인가요? 다진 고기, 다짐육(--肉) 또는 간 고기는 다지거나 간 고기이다. 민스(영어: mince)나 민찌로 부르기도 한다. 다진...

맛있는 중국현지 음식 추천좀^^;

... 좀 냄새나는 두부조림. 취두부, 솬라탕 - 별로인거 등등... 회족식당에서 먹을 수 있는데 인기가 아주 좋다 한국의... 가서 메뉴판을 열어보면 그 음식의 수 많은 가짓수에...

울산에서 출발하는 2박3일 남해안맛집여행

... 함평읍내에 식당이 여럿 있는데, 암소만 사용해 입에서... 물천어조림도 향토 음식. *가을을 불러놓고 전어를... 호박 감자 바지락 미더덕 등에 짱뚱어를 통째로 넣어서...

한국과 일본 식탁모습

... 이질문 들이 있는데 답변 해주 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자와 고기를 간장에 졸여서 먹는 조림음식은 대표적인... 반찬같은경우는 메뉴판에 있을경우에는 시킬수있지만...

북한이탈주민사례

... 캄보디아 북한 식당은 지금... 북한 식당에서 경험하는... 수 있는데 왜 남과 북의 이산가족에게는 그게 허용되지... 무장아찌· 생선튀김· 닭날개조림· 장조림· 가자미식해...

북한의 사상교육은 어떤내용들로...

... 캄보디아 북한 식당은 지금... 북한 식당에서 경험하는... 수 있는데 왜 남과 북의 이산가족에게는 그게 허용되지... 무장아찌· 생선튀김· 닭날개조림· 장조림· 가자미식해...

우리가 휴전협정에 참석하지 않은게...

... 캄보디아 북한 식당은 지금... 북한 식당에서 경험하는... 수 있는데 왜 남과 북의 이산가족에게는 그게 허용되지... 무장아찌· 생선튀김· 닭날개조림· 장조림· 가자미식해...

경희대 근처 맛집 추천좀 부탁드려요~~

... 종이를 메뉴판으로 내놓는 퓨전 레스토랑 따뜻한... 콩나물국밥에 소고기 장조림을 주는 것도 이해가... 화서 오거리라는 곳이 있는데 거기서 보면 훼밀리 마트가 모여요...

수원역에 또는 인계동에서 찾아갈 수...

... 종이를 메뉴판으로 내놓는 퓨전 레스토랑 따뜻한... 콩나물국밥에 소고기 장조림을 주는 것도 이해가... 화서 오거리라는 곳이 있는데 거기서 보면 훼밀리 마트가 모여요...

연말모임장소 추천좀 해주세요!!

... 종이를 메뉴판으로 내놓는 퓨전 레스토랑 따뜻한... 콩나물국밥에 소고기 장조림을 주는 것도 이해가... 화서 오거리라는 곳이 있는데 거기서 보면 훼밀리 마트가 모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