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군인 되는법

직업군인 되는법

작성일 2024.02.2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직업군인이 되는 방법은 몇가지고 직업군인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직업군인 되는법 #여자 직업군인 되는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직업군인은 부사관 준사관 장교가 되는 방법이 있습니다.

부사관이 되는 방법은 현역 용사가 만기 전역과 동시에 하사로 임관하는 임기제부사관이 되는 방법이 있고, 부사관학군단으로 지원한는 방법이 있는데, 경북전문대, 대전과학기술대, 전남과학기술대 등에 설치된 부사관학군단에 지원하여 임관하는 밥법으로, 졸업과 동시에 하사로 임관합니다. 그리고 민간부사관과 현역부사관 과정이 있습니다. 민간부사관은 민간 자원 중에서 선발해서 기초군사훈련 5주, 초급부사관으로써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교육훈련지도, 소부대 전투 지휘 및 통솔 능력, 기초군사훈련 보다 좀 더 심화된 병기본 과목 수행능력을 배양받기 위한 교육훈련을 13주 받고 임관종합평가를 거쳐서 하사로 임관하는 과정이고, 현역부사관은 현역으로 복무중인 병사가 지원해서 부사관학교에 입교해서 기초군사교육인 5주를 제외하고 13주 교육을 받고 하사로 임관하는 과정입니다. 현역부사관은 일병(부사관 학교입교일 기준 5개월 이상 복무한 자) ~ 병장(전역일자가 부사관학교 입교일 이후인 자)까지 지원 가능합니다. 중사이상 계급으로 전역한 예비역은 3주 훈련을 받습니다. 양성교육후 중위전역까지는 하사로 임관, 대위부터는 중사로 임관합니다. 선발시 1차: 필기평가(국사과목 포함), 직무수행능력 평가(서류전형) 2차: 체력인증평가, 면접평가, 신체검사, 신원조사가 있는데 체력인증평가는 '체력인증센터'를 통한 인증제로 시행(2020년부터 시행)됩니다.

준사관은 준위라는 계급으로 임관해서 준위로 전역하는 계급입니다. 준위는 육군의 기술행정 준사관의 경우 정기적인 모집을 통해 원사 또는 상사로서 2년 이상 복무한 부사관에 한해 심사를 거쳐 준위로 임용될 수 있습니다. 육군항공준사관은 여기서 예외인데, 항공운항준사관은 조종에 재능있는 사람을 구하기 위해 뽑는거라 부사관으로 2년 이상 복무했으면 지원 가능합니다.

육군을 기준으로 장교가 되는 방법은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임관하는 방법이 있는데, 육군사관학교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지원하여 4년간의 생도생활을 통해 교육을 받고 소위로 임관하게 됩니다.

육군3사관학교 졸업 후 임관하는 방법이 있는데 2년제 대학을 졸업 또는 4년제 대학과정중 2학년을 수료후 육군3사관학교에 편입하여 2년간의 생도생활을 통해 교육을 받고 소위로 임관하게 됩니다.

학군장교(ROTC)는 4년제 대학 2학년 겨울 끝자락에 기초훈련을 실시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3~4학년 2년간의 방학 간 기초군사훈련을 받으며 학군사관후보생 생활을 통해 소위로 임관하게 됩니다. 육군은 2년 4개월 (28개월), 해군과 해병대는 2년 (24개월), 공군은 3년 (36개월)의 의무복무를 해야 합니다.

학사장교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하여 학사 학위를 취득하거나 그에 동등한 자격을 갖춘 자 중 선발하여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16주간의 장교 양성과정을 수료후 소위로 임관합니다.

간부사관은 2021년 5월 17일부로 단기간부사관에서 명칭이 간부사관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간부사관은 현역에 복무 중인 부사관 및 현역병, 2년 이내 전역한 예비역에게도 장교가 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자는 취지로 만들어진 육군의 장교 임관 과정입니다. 육군에만 있는 장교양성과정이며, 일정한 군경력 및 전문학사 이상의 학위 혹은 4년제 대학 2년 이상 수료 학력은 있어야 합니다. 보병, 포병, 기갑, 공병, 통신병과에만 지원할 수 있습니다.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14주의 장교양성과정을 거쳐서 소위로 임관합니다. 장교로 지원하여 가장 빠르게 임관할 수 있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지원하기 위해서는 대학성적과 현역병 또는 부사관으로 근무하는 동안 받은 근무평점, 그리고 중대장의 지휘추천서가 필요합니다.

그 외에 전문사관(간호, 재정, 교수, 군악, 군의, 치의, 군종, 법무, 변리, 수의, 의정, 전산, 통역, 국방과학연구소 현역 연구원, 사이버국방학과 전문사관)으로 각 과정별 선발하여 7주간의 장교양성과정을 거쳐 소위나 중위(군종,법무)로 임관하여 해당 분야에서 복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통칭 행정고시, 외무고시, 입법고시) 합격자들을 대상으로 선발하는 기본병과장교라는 과정도 있는데 7주간의 장교양성을 거친후 중위로 임관하여 대위로 전역합니다.

직업군인 되는법

직업군인되는 방법은 몇가지고 직업군인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직업군인은 부사관 준사관 장교가 되는 방법이 있습니다. 부사관이 되는 방법은 현역 용사가 만기...

직업군인 되는법

직업 군인되는 방법은 몇가지인가요? 그리고 그 방법도 알려주세요. 육군사관학교를 통해 장교가 되거나 대학에서 학군사관 후보생이 되는 방법, 군입대를 통해 전문하사를...

직업군인 되는법

아직 중3이고 꿈은 직업군인입니다 돈은 어느정도 벌수있고 공부 잘해야되나요? 군인도 공무원에 속합니다. 공무원 월급을 벌어가신다고 보면 됩니다. 공부는 어느정도...

직업군인 되는 법

현재 고 2 학생입니다 중학교때부터 공부도 안하고 출석률도 적어서 사관학교는 불가능일 것 같고 이제서야 정신 차리고 20살에 입대하여 전문하사 지원 하고 싶은데요...

직업군인 되는법 궁금해요

직업군인 되는법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ㅠ 공부 최대한 필요 없는 직급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부 필요없이 직업군인 하시려면 군대를 일단 가셔서 전역할때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