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법 헌법재판소 위헌결정

행정법 헌법재판소 위헌결정

작성일 2022.02.1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4.5번 어떻게 다른건지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같아 보여서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4,5번은 아예 상충되는 내용입니다.

4번은 헌법재판소 결정례이고, 헌법재판소는 헌재의 위헌결정에는 기속력이 있다는 입장입니다.

5번은 대법원 판례이고, 대법원은 헌재의 '한정위헌결정'은 법률해석에 불과하기 때문에 기속력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참고로 4번에서의 '법원'과 5번에서의 '법원'은 한자어가 다릅니다. 4번에서 법원은 법의 근원, 근거를 의미하는 단어이고, 5번에서 법원은 지방법원, 대법원과 같이 사법부 기관을 말하는 것입니다.

행정법) 헌법재판소위헌결정

공무원 행정법 공부하고 있는 중인데요 ㅠㅠ 헌법재판소위헌결정 부분에서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요 "판례에 따르면 헌법재판소위헌결정은 행정청이 개인에 대해...

행정법 헌법재판소 위헌결정

... 4번은 헌법재판소 결정례이고, 헌법재판소는 헌재의 위헌결정에는 기속력이 있다는 입장입니다. 5번은 대법원 판례이고, 대법원은 헌재의 '한정위헌결정'은 법률해석에...

행정법 위헌법률에 기한 행정처분 집행...

... 행정청이 헌법재판소위헌결정 전에 해당 법률조항에 근거하여 세금부과 처분을 하였으나, 과세처분 후에 헌법재판소가 그 근거가 된 법률조항에 대하여 위헌결정을...

[행정법 질문이요] '법률의 위헌결정'

... 판례에서는 헌법재판소위헌결정의 기속력을 근거로, 과세처분의 근거법률에 대한 위헌결정 전에 이루어진 과세처분이 (위헌결정의 소급효가 인정되지 않아) 적법하다...

[행정법 질문이요] '법률의 위헌결정'

... 것이 헌법재판소의 입장이다. 질문 : 위헌법률에 근거한 행정처분의 경우 원칙적으로... 를 위헌결정이 난 법률을 적용한 처분이라 이해하시면 곤란합니다. 3. 문구는...

행정법 처분후 위헌결정

...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2항은 위헌결정에 대해 장래효를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개인의 권리구제차원에서 예외적으로 소급효를 인정하는 경우가 4가지가 있습니다. 1....

행정법 공부..위헌에 관해서 ..ㅠㅠ

... 헌법재판소의 법률에 대한 위헌결정은 그 결정이 있는 날로부터 효력을 상실합니다. 이와 달리 대법원판결에 의하여 명령, 규칙(법규명령으로 이해하심이 좋을 듯 하네요)...

[행정법] 행정처분의 근거가 된 법률 위헌

2018 지방 행정법 9급 문제에서 -어느 행정처분에 대하여 그 행정처분의 근거가 된... 사정이 헌법재판소위헌결정이 있기 전에는 객관적으로 명백한 것이라고 할 수는...

행정법 위헌법률에 관한 질문

행정처분 이후에 처분의 근거법령에 대하여 헌법재판소 또는 대법원이 위헌 또는 위법하다는 결정을 하게 되면, 당해 처분은 법적 근거가 없는 처분으로 하자 있는 처분이고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