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학과 과학 책 추천

미디어학과 과학 책 추천

작성일 2023.06.11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미디어학과 지망하는 고1 입니다
진로가 PD인데 미디어랑 언론 관련된 과학 책 추천해주세요.


#미디어학과 과학 세특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미디어 리터러시』 - 이재승, 김기섭, 김영일, 김철수, 김호식, 신동훈, 이수진, 전대현, 한상훈, 홍승표 이 책은 대중매체와 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미디어의 기능과 역할,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중요성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2. 『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 시민 교육을 위하여』 - 김영일, 김경욱, 김미혜, 김형철, 김효정, 이효경, 최연희 이 책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과 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미디어 시민으로서 필요한 능력을 개발하는 방법과 교육 방법론 등을 다룹니다.

  3. 『언론윤리와 관습』 - 김영훈, 김진권 이 책은 언론의 윤리와 관습에 대해 탐구합니다. 언론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 언론의 윤리적 가치와 원칙에 대한 이해를 도와줍니다.

  4. 『언론품질관리』 - 최지훈, 김덕중, 오상헌 이 책은 언론의 품질과 관리에 관한 내용을 다룹니다. 언론의 품질을 높이고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원칙과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5. 『데이터 저널리즘과 데이터 시각화』 - 오정임, 황유지 이 책은 데이터 저널리즘과 데이터 시각화에 대해 다룹니다. 데이터를 통해 뉴스와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과 데이터 시각화 기술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고교 생명과학 연계되고 쉽게 쓰인 아래의 2022년 출간된 <유전자를 알면 장수한다> 추천합니다. 영화, 뉴스와 함께 유전자를 설명하여 이해하기 좋습니다.

아래 책의 목차에 있는 영화들은 과학, 건강, 질병 관련 영화들이에요. 영화가 대부분 청소년 관람가로 선정되어서 좋습니다.

https://naver.me/Gh8h7Vhj

유전자를 알면 장수한다 목차

Chapter 1 인간유전체와 질병의 범위

1. 인간유전체 사업과 정밀의료: 영화 〈아일랜드〉

2. 외계인의 DNA는? 영화 〈베놈 venom 2018〉, 〈이티 E.T. 1982〉

3. 흡연과 유전자: 영화 〈다키스트 아워 Darkest Hour. 2017〉

4. 낭포성섬유증과 프랜시스 콜린스 박사: 영화 〈파이브 피트〉

5. 만성 질병과 질병의 범위: 영화 〈조 블랙의 사랑〉

Chapter 2 유전자와 돌연변이

6. 유전자 암호: 영화 〈뷰티풀 마인드〉

7. 돌연변이: 영화 〈엑스맨 퍼스트 클래스〉

8. 유전자 지문: 영화 〈컨빅션〉

9. 유전자형과 표현형: 영화 〈살인의 추억〉

10. 왜 사람들의 모습은 다 다른가? 영화 〈위대한 쇼맨〉

11. 쌍둥이와 후성유전학: 영화 〈트윈스터즈〉

12. 유전체 각인: 영화 〈트와일라잇 브레이킹던〉

Chapter 3 단일유전자 질병과 인구 집단 유전학

13. 단일유전자 질환의 가계도: 영화 〈미라클 벨리에〉

14. 상염색체 우성유전: 영화 〈리메모리_기억추출〉

15. 상염색체 열성 유전: 영화 〈미드나잇 선〉

16. 유전자와 발생: 영화 〈원더〉

17. X 염색체 유전과 인종 간 유전적 차이: 영화 〈미스 리틀 선샤인〉

18. 이형접합자 우세: 영화 〈나는 전설이다〉

Chapter 4 다인자 질환의 유전과 유전자 찾기

19. 유전자를 알면 장수한다: 영화 〈인크레더블2〉

20. 쌍둥이와 유전율 연구: 영화 〈페어런트 트랩〉

21. 유전-환경 상호작용 질병의 예: 영화 〈우리형〉

22. 다인자 선천성 심장 질환: 영화 〈디스 크레이지 하트〉, 〈미나리〉

23. 비만과 유전자: 영화 〈길버트 그레이프〉

24. 비만유전자 운동으로 극복? 영화 〈아이 필 프리티〉

Chapter 5 감수분열과 염색체

25.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영화 〈잭〉

26. 염색체의 텔로미어와 노화: 영화 〈인 타임〉

27. 형제자매가 같은 유전자를 가지지 않는 이유는? 영화 〈어바웃 타임〉

28. 멘델의 분리 법칙과 염색체 수의 이상: 영화 〈챔피언스〉

29. 모노조미monosomy로 생각해보는 아버지: 영화 〈뮤직 네버 스탑〉

30. 성염색체: 영화 〈빌리 진 킹: 세기의 대결〉

Chapter 6 정밀의료와 공중보건 유전체

31. 조발성 알츠하이머병: 영화 〈스틸 엘리스〉

32. 후기발병 알츠하이머병: 영화 〈더 파더〉

33. 동성애와 유전자: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34. 체외수정과 백혈병: 영화 〈마이 시스터즈 키퍼〉

35. 맞춤 의료와 공중보건 유전체: 영화 〈가타카〉

과학 페입랩 주제 추천

... 미디어학과 쪽을 생각하고 있는데 둘이 연계할 만한 주제가 있을까요? 영화 뉴스 속 생명과학 주제 찾기 추천... 추가적인 내용은 아래 <유전자를 알면 장수한다> 에...

미디어학과 생기부

... 미디어 학과를 지망하고 있는데 어떤 걸 해야할지 감이 잘 안 옵니다ㅠㅠ 교육적... 미디어로 배우는 과학 주제 추천합니다. 추가적인 내용은 아래 책에 있습니다....

고1 미디어학과 수학 독서 수행 책 추천

... 있는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ㅠㅠ 이러한 도서들은 어떠할까요? 미디어 학과로 진학을 목표하고 계신다면... 사회, 과학 교과 중 우수 10과목 반영* *진로선택과목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