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과수 법의관이 되려는데요..!!

국과수 법의관이 되려는데요..!!

작성일 2014.03.0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지금 저는 고등학교 일학년이에요,그런데 제꿈이 국과수에서 부검해서 사인을 밝히는 법의관이 되려고해요..

이과로 가는건 당연한거고,법의관이 되려면 필요한 자격증(?)이나 학교안에서 획득가능한 스펙이 무엇이있을까 생각해보다가 도저히 모르겟어서 이렇게 글을 올리게되엇는데요

1. 동아리 선택할때 봉사동아리, 과학탐구,글쓰기.역사탐구 스펙관리에관한건 이렇게 만 있엇던것같아요..이중에 무얼하는게좋을지...다양하게 영화감상부 ,치어리더. 댄스,네일아트. 펠트(바느질해서 지갑같은거 만드는..),종교에 관한 동아리도잇고, 체육관련 동아리도있고,,무엇을하는게 나은가요???

 

2. 자격증은 지금시기에 많이 따놓는게 좋은가요?

한자자격증이나 한국사 자격 능력시험???인가 그런거 를 따놓아야되나요..? 대학갈때 도움이 많이되는건가요?

 

3.법의관이 되려면 어느 대학에가야되고, 어느 학과에가야되나요?

 

4.지금 진로 선택은 되엇찌만.,...어떻게 준비해야될지 매우 고민되고,,지금부터 준비해야되지않을까해ㅔ서 이렇게 글을 올리게되엇는데요,,많은 조언 부탁드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동아리 선택할때 봉사동아리, 과학탐구,글쓰기.역사탐구 스펙관리에관한건 이렇게 만 있엇던것같아요..이중에 무얼하는게좋을지...다양하게 영화감상부 ,치어리더. 댄스,네일아트. 펠트(바느질해서 지갑같은거 만드는..),종교에 관한 동아리도잇고, 체육관련 동아리도있고,,무엇을하는게 나은가요???

 

 

어떤 것을 하셔도 상관이 없습니다. 그저 대학에 갈때 도움이 된다고 생각 되시는 걸 하심녀 됩니다. 고등학교에서는 배우는 즐거움을 즐기시길 바랍니다. 법의학자가 되는 것과는 연관이 없으니 마음놓고 즐기세요.

 

 

2. 자격증은 지금시기에 많이 따놓는게 좋은가요?

한자자격증이나 한국사 자격 능력시험???인가 그런거 를 따놓아야되나요..? 대학갈때 도움이 많이되는건가요?

 

 

한자 자격증은 따 놓으셔더 되지만  한국사 시험은 법의학자 및 법의관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물론 대학갈때도 수시가 아니라면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3.법의관이 되려면 어느 대학에가야되고, 어느 학과에가야되나요?

 

 

대학은 의대를 나오셔야 하며 과는 의예과입니다. 이후 병리학 전문의가 되시면 법의관으로서 지원이 가능합니다. 의대에 가지 못할 경우에는 생물 및 보건계열 대학을 나온 후 MEET을 보고 의전원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4.지금 진로 선택은 되엇찌만.,...어떻게 준비해야될지 매우 고민되고,,지금부터 준비해야되지않을까해ㅔ서 이렇게 글을 올리게되엇는데요,,많은 조언 부탁드려요><!!!

 

 

일단 고등학교에서 할 수 있는 것은 공부 뿐입니다. 물론 경시대회나 다른 교외 대회에 나간다면 대학 갈때 도움이 되니 많이 나가시길 바랍니다. 그래도 무엇보다 중요한건 학업이니 이 점을 유의하세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다른 궁금한 것이 생기시면 1:1질문이나 쪽지로 보내주세요. 블로그에 방문하셔서 덧글로 질문을 올려주셔도 됩니다.

 

 

-단탈리안의 서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동아리 활동은 사실 필수는 아닙니다.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지원할 때에 한하여 지원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학교 생활을 얼마나 충실히 했는지 파악하는 참고자료일 뿐입니다.

 

따라서 어느 분야의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든 상관은 없습니다.

본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추어 다양한 분야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면 됩니다.

 

그리고 동아리 활동을 아무리 열심히 했어도 학업성적이 저조하면 아무런 쓸모가 없으며,

솔직히 학업성적이 매우 높다면 동아리 활동은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또다른 입학 가능한 방법이 얼마든지 많이 있습니다.

 

 

 

2.

대학입시에서 자격증이나 공인시험 성적이 비중있게 반영되던 시대는 지났습니다.

이제 그런 것은 특기자 전형으로 지원할 때에만 제한적으로 필요할 뿐이며,

일반전형에서는 원래 필요하지 않았던 것이고,

입학사정관 전형에서도 이제는 거의 필요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한자/한문급수시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공인외국어시험,

올림피아드, 외부 경시대회 등등은 특기자 전형으로 지원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대학입시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3.

"법의학과"라는 학과 또는 법의학 분야에 직접 관련된 학과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서울대, ... 등등 국내에서 법의학 분야로 유명한 대학들도

의과대학의 임상 분야의 여러 분과 중에서 하나로 개설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ㅇㅇ과'라고 하니까 마치 독립적인 학과처럼 존재한다고 착각하는 분들이 있더군요.

 

전문적인 법의학자로 진출하려면 먼저 의과대학(또는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여

졸업 요건을 갖추고 국가시험을 통과하여 의사면허까지 취득해야 합니다.

물론 다른 일반 학과를 졸업한 다음에 의과대학에 학사편입학하거나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는 방법도 가능합니다.

어쨌든 의사면허가 없으면 법의학자로 진출하는 것도 아예 불가능합니다.

 

그 다음에는 수련의 과정에서 해부병리(진단병리) 전공으로 레지던트 과정까지 수료한 다음에

전문의 시험을 통과하여 해부병리 전문의 자격까지 취득해야 합니다.

전문의 자격까지 취득한 다음에 법의학 분야에 관련된 수련 과정을

일정 기간 이상 거쳐야 자격이 주어집니다.

 

어쨌든 법의학 분야로 진출하려면 일단은 의과대학에 진학하는 것을 목표로 정하면 됩니다!!

 

국과수 법의관이 되려는데요..!!

지금 저는 고등학교 일학년이에요,그런데 제꿈이 국과수에서 부검해서 사인을 밝히는 법의관이 되려고해요.. 이과로 가는건 당연한거고,법의관이 되려면 필요한 자격증(?)이나...

국립과학수사대가 되는법 (내공100!)...

... 1.국과수 연구원이 되려는데 카이스트 가도 되나요?아니면 경찰대 가야 하나요? 2.... 법의학자 및 법의관이 되기 위해서는 카이스트나 경찰대는 당연히 불가능하고 의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