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급용역계약과 도급계약의 대금지급 기준

하도급용역계약과 도급계약의 대금지급 기준

작성일 2024.05.1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계약서의 대금지급 기준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하도급용역계약시 도급계약의 대금지급 기준을 반드시 따라야 하나요?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도급계약 대금지급 기준 : 선금/잔금
하도급 용역계약 대금지급 기준 : 월별청구

위 내용으로 계약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로 원사업자가 발주자로부터 선급금을 받은 경우 15일 이내 선급금을 수급사업자에게 지급해야 한다고
하도급 용역계약의 대금지급 기준을 도급 기준에 따라 선금/잔금으고 진행해야 한다고 하네요,,

해당 기준은 이해하는데 하도급용역계약의 대금지급기쥰을 도급 기준과 다르게 진행할 수 있는 법률이 있다면 법률조항을 알 수 있을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귀하의 질의에 답변드립니다.

하도급법 제6조는 선급금의 지급을, 제13조는 하도급대금의 지급시기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제6조(선급금의 지급) ① 수급사업자에게 제조등의 위탁을 한 원사업자가 발주자로부터 선급금을 받은 경우에는 수급사업자가 제조ㆍ수리ㆍ시공 또는 용역수행을 시작할 수 있도록 그가 받은 선급금의 내용과 비율에 따라 선급금을 받은 날(제조등의 위탁을 하기 전에 선급금을 받은 경우에는 제조등의 위탁을 한 날)부터 15일 이내에 선급금을 수급사업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②,③ 항 생략

제13조(하도급대금의 지급 등) ① 원사업자가 수급사업자에게 제조등의 위탁을 하는 경우에는 목적물등의 수령일(건설위탁의 경우에는 인수일을, 용역위탁의 경우에는 수급사업자가 위탁받은 용역의 수행을 마친 날을, 납품등이 잦아 원사업자와 수급사업자가 월 1회 이상 세금계산서의 발행일을 정한 경우에는 그 정한 날을 말한다. 이하 같다)부터 60일 이내의 가능한 짧은 기한으로 정한 지급기일까지 하도급대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원사업자와 수급사업자가 대등한 지위에서 지급기일을 정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2. 해당 업종의 특수성과 경제여건에 비추어 그 지급기일이 정당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② 하도급대금의 지급기일이 정하여져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목적물등의 수령일을 하도급대금의 지급기일로 보고, 목적물등의 수령일부터 60일이 지난 후에 하도급대금의 지급기일을 정한 경우(제1항 단서에 해당되는 경우는 제외한다)에는 목적물등의 수령일부터 60일이 되는 날을 하도급대금의 지급기일로 본다.

③항이하 생략

하도급법은 다른 법률보다 우선적으로 적용되는 특별법적 지위에 있습니다. 위 규정은 강행규정으로 원사업자가 발주자로부터 선급금을 받았다면 그가 받은 선급금의 내용과 비율에 따라 선급금을 받은날붙터 15일이내에 수급사업자에게 지급해야 합니다.

또한 하도급대금은 도급계약이 어떻게 규정되어 있든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목적물등의 수령일부터 60일이내에 지급해야 합니다.

답변답변확정 부탁합니다.

건설 불법하도급계약 조언 부탁드립니다.

... 있다면 하도급업체는 공사를 중단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대법원은 “일반적으로 건축공사도급계약에서 공사대금지급의무와 공사의 완공의무가 반드시...

하도급계약 위반 시 어떻게 대처해야...

... 공사대금은 적정하게 산정해서 지급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분명 하도급계약 상으로 관련 법 위반인 듯 한데... 하도급업체의 경우, 통상 공사현장에서 원도급업체의...

용역계약과 도급계약의 대금지급 기준

... 한다고 하도급 용역계약대금지급 기준도급 기준에 따라 선금/잔금으고 진행해야 한다고 하네요,, 해당 기준은 이해하는데 하도급용역계약대금지급기쥰을 도급...

하도급계약 대금지급채무불이행에 대한...

... 하도급 받았습니다. 귀사는 의뢰받은 제작물을 모두 제작·공급하였으나, C사는 용역대금의 결정·결제는 A·B사가 절반씩 부담한다는 취지의 답변만 회신한 채 지급하지...

유보하고 대금지급하도급법 위반 여부

... 양당사자간의 계약조건에 따라 기성금에서 일정금액을 유보후 대금지급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인수일을, 용역위탁의 경우에는 수급사업자가 위탁받은...

하도급 계약시 비용 지급기준이 있나요?

... 하도급계약을 맺어 생산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물량과 비례하여 하도급 비용을 지급하였으나, 올해에는 물량이... 시정조치, 하도급대금의 2배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

하도급과 비하도급계약차이?

... 기본거래계약 체결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하도급이란 원사업자가 수급사업자에게 제조나 , 용역위탁을... 하도급 , 비하도급을 분류하는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