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와법 상속 문제

정치와법 상속 문제

작성일 2022.10.10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사실혼 관계의 배우자는 배우자의 상속인이 아무도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속이 불가능한 거죠??

2. 그리고 사실혼 관계에서 출생한 혼인 외 출생자는 상속권을 갖나요? 그렇다면 법정 상속 순위가 어떻게 되나요?


#정치와법 상속 #정치와법 상속 문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사실혼 배우자는

다른 상속인이 없는 경우

특별연고자로서 상속재산분여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1057조의 2).

2. 혼인외의 출생자는 어머니에 대해서는

당연히 상속권을 갖지만

생부가 인지하거나 인지청구의 소에서 승소판결이 확정되어야만 상속권이 인정됩니다.

인지는 출생시부터 소급효가 있어서(민법 제860조)

혼인중의 출생자와 동등한 상속순위를 갖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네사실혼 관계배우자는불가능합니다

2혼인외자의경우 모(母)하고만상속관계가 성립되며

부가인지하여출생신고를했을경우에는 상속권이생깁니다

1순위배우자 2순위자녀 3부모 4손자녀 5조부모6 형제자매 7사촌

정치와법 상속

16번 문제 선지 4번에서 사실혼 관계에서 낳은 자녀(C)가 법적 상속인이라고 되어있는데, 상속 자격 갖추려면 인지... 법정친자관계가 있습니다. 친생친자관계는 다시 혼인...

정치와 법 상속관련 문제질문 있어욤

... 이는 사실이지만, 문제에서 갑과 을이 사실혼 관계에 있었음을 명시하고 있기 때문에, 병과 정은 사실혼 관계로 인정된 자녀로서도 상속권을 가집니다. 문제에서 제시된...

정치와 법 상속문제 아무나 문제 좀

정치와 법 상속문제 아무나 문제 좀 만들어주세요 ㅠㅠ 급해요 내공 30이요 당신이 언급한 정치와 법 상속문제에 대해 제가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아래는 상속과 관련된...

정치와법 상속 문제 풀어주세요

다섯개 선지 다 왜 맞았고 틀렸는지 정치와법 수준에서 풀이해주세요 을은 법률혼이 아니라서 상속에 대한 권리 없음. 그러므로 상속분도 유류분도 없음. → 1, 4, 5 X 유증은...

정치와 법 상속 문제

... 병의 재산이 없다면 상속문제는 없습니다. 이어 갑이 사망하면 그 당시 병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직계비속이 없어서 배우자와 직계존속이 공동으로 상속합니다. 배우자...

정치와법 상속 문제

... A는 상속을 받을 수 있나요 ? 권리 능력이 있는건가요... 재산을 상속받지 못한다면 태어난 후 상당히 불리한... 고려해 상속과 손해배상 청구인으로서의 권리를 인정하고...

정치와법 상속 문제

문제에서 갑의 사망으로 을 병 정 B가 받는 상속분의 비는 3:2:2:2 라는데 어떻게 계산해야 이렇게 나오는거죠..? 진짜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ㅠㅠ 갑이 사망하면 배우자...

정치와법 상속문제

...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1) 갑의 공동 상속인은 배우자인 을과 자녀인 병과 정입니다. 을:병:정 의 법정상속 비율은 1.5:1:1이 되어 각 3/7, 2/7, 2/7가 됩니다. 따라서 상속재...

정치와 법 상속 문제

사진 에서 보시다 시피 갑의 상속인은 을과 A이고 병의 상속인은 정 과 A,B입니다... 공동 상속을 받고 을이 A의 상속분의 50%를 가산 받는것이라면 을과 A는 각각 5억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