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예시에서 왜 주택가격의 누진공제액이 18만원인지 알려주세요

아래 예시에서 왜 주택가격의 누진공제액이 18만원인지 알려주세요

작성일 2023.08.3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책읽다 궁금한건데 누진공제액에 대한 이야기는 없더라구요ㅠㅠ 2021년 책이라 그런가 아무리 검색해도 안나오네요!! 내공드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재산세는

주택가격에 따라 누진되어 부과됩니다.

그냥 간단한 예를 들면,

주택가격이 1억이하일때 0.5%, 1억초과일때 1%, 2억초과일때 2%.,

3억초과일때 3% 이런식인경우

주택가격이 3억5천이면

재산세가 3억5천의 3%인 1,050만원이 아니라

1억구간은 0.5%인 1억 x 0.005 = 50만원

1억초과~2억인 구간은 1%적용하여, 1억 x 0.01 = 100만원

2억초과~3억인 구간은 2%적용하여, 1억 x 0.02 = 200만원

3억초과~3억5천인 구간은 3%적용하여 5천만 x 0.03 = 150만원

총 500만원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일일히 계산하면 복잡하니 계산이 편하도록

소득구간에 따른 누진공제액을 미리 정해두었습니다.

위의 경우 3억초과구간의 누진공제액은 550만원이 됩니다.

3억5천 x 3% - 누진공제액(550만원) = 1,050 - 550 = 500 만원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둔 값이라 보시면 됩니다.

참고가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