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단체 의원이 비영리법인에 등기이사로 등재되어도 공직선거법에 위배...

기초단체 의원이 비영리법인에 등기이사로 등재되어도 공직선거법에 위배...

작성일 2022.01.1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기초단체 의원이 비영리법인에 등기이사로 등재되어도 공직선거법에 위배 되지 않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비영리법인 등기이사로 등재되어도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지방의회의원이 당선 전부터 다른 직을 겸직하고 있을 경우 임기 개시 후 1개월 이내, 임기 중 그 다른 직에 취임한 경우 취임 후 15일 이내에 지방의회 의장에게 서면으로 신고해야 하며,

임원등기 되어 있는 비영리법인이 지방자치단체의 출자,출연, 사무위탁, 보조금지원을 받는 경우 겸한 직을 사임하여야 합니다.

<지방자치법>

제43조(겸직 등 금지) ① 지방의회의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직(職)을 겸할 수 없다.

1. 국회의원, 다른 지방의회의원

2. 헌법재판소 재판관, 각급 선거관리위원회 위원

3. 「국가공무원법」 제2조에 따른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법」 제2조에 따른 지방공무원(「정당법」 제22조에 따라 정당의 당원이 될 수 있는 교원은 제외한다)

4.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공공기관(한국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 및 한국은행을 포함한다)의 임직원

5. 「지방공기업법」 제2조에 따른 지방공사와 지방공단의 임직원

6. 농업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 산림조합, 엽연초생산협동조합,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이들 조합ㆍ금고의 중앙회와 연합회를 포함한다)의 임직원과 이들 조합ㆍ금고의 중앙회장이나 연합회장

7. 「정당법」 제22조에 따라 정당의 당원이 될 수 없는 교원

8. 다른 법령에 따라 공무원의 신분을 가지는 직

9. 그 밖에 다른 법률에서 겸임할 수 없도록 정하는 직

② 「정당법」 제22조에 따라 정당의 당원이 될 수 있는 교원이 지방의회의원으로 당선되면 임기 중 그 교원의 직은 휴직된다.

③ 지방의회의원이 당선 전부터 제1항 각 호의 직을 제외한 다른 직을 가진 경우에는 임기 개시 후 1개월 이내에, 임기 중 그 다른 직에 취임한 경우에는 취임 후 15일 이내에 지방의회의 의장에게 서면으로 신고하여야 하며, 그 방법과 절차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다.

④ 지방의회의 의장은 제3항에 따라 지방의회의원의 겸직신고를 받으면 그 내용을 연 1회 이상 해당 지방의회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시하거나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공개하여야 한다.

⑤ 지방의회의원이 다음 각 호의 기관ㆍ단체 및 그 기관ㆍ단체가 설립ㆍ운영하는 시설의 대표, 임원, 상근직원 또는 그 소속 위원회(자문위원회는 제외한다)의 위원이 된 경우에는 그 겸한 직을 사임하여야 한다.

1.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출자ㆍ출연(재출자ㆍ재출연을 포함한다)한 기관ㆍ단체

2.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위탁받아 수행하고 있는 기관ㆍ단체

3. 해당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운영비, 사업비 등을 지원받고 있는 기관ㆍ단체

4. 법령에 따라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인가를 받아 설립된 조합(조합설립을 위한 추진위원회 등 준비단체를 포함한다)의 임직원

⑥ 지방의회의 의장은 지방의회의원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겸한 직을 사임할 것을 권고하여야 한다. 이 경우 지방의회의 의장은 제66조에 따른 윤리심사자문위원회의 의견을 들어야 하며 그 의견을 존중하여야 한다.

1. 제5항에 해당하는 데도 불구하고 겸한 직을 사임하지 아니할 때

2. 다른 직을 겸하는 것이 제44조제2항에 위반된다고 인정될 때

⑦ 지방의회의 의장은 지방의회의원의 행위 또는 양수인이나 관리인의 지위가 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라 제한되는지와 관련하여 제66조에 따른 윤리심사자문위원회의 의견을 들을 수 있다.

비영리법인에 이사등재시 궁금증

비영리단체이사를 부탁받았는데 혹시 이름만 올려도 나중에 불이익이나 책임을... (민법 제65조) 이사가 각종의 법인등기를 게일리 하거나, 재산목록의 작성 및 비치의무를...

비영리 민간단체 등기이사에 관해

제 지인이 운영하는 비영리공익법인이 있는데요 등기이사로 등재해달라고 부탁을 하더라구요 본인이 2달정도 다른 직무를 해야해서 겸임할수 없는 상황이다보니 그런듯한데...

영리법인비영리법인으로 전환

... 이사회 결의 - 이사회에서 비영리법인으로 전환할 것을... - 등기부에 등재법인명칭과 주소, 대표자 등 법인... 기타 절차 - 전환 후에는 세무청, 지방자치단체...

비영리사단법인 총회

... ⑤ 이사의 임면에 관한 규정 ⑥ 사원자격의 득실에... 법인의 활동영역이 특정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구역 내에... 12 비영리사단법인 설립등기 법인설립허가가 있는 때부터...

사회복지 질문

... 사람으로 이사 후보군을 구성하여 공고하여야 한다. 다만, 사회복지법인의 대표자, 사회복지사업을 하는 비영리법인 또는 단체의 대표자, 「사회보장급여의...

헌법소원심판

... 명확성원칙에 위배되는지 여부(소극) 나.... 이 사건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였다. 2. 심판대상 가.... 조직한 단체’이다. 공직선거법 제103조 제2항에서 ‘회의 그 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