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의 종류와 사용용도, 특징. 그리고 저에게 맞는 마이크를 추천해주...

마이크의 종류와 사용용도, 특징. 그리고 저에게 맞는 마이크를 추천해주...

작성일 2008.01.10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지금 밴드를 결성한지 1달하고 약 2주를 넘긴 새내기 싱어입니다.

일주일에 약 2번정도 모여서 합주를 하는데요.
저도 전용 마이크가 있어야 되겠다는 생각에 질문을 올려봅니다.
이제 약 2주 후면 저희들의 첫번째 공연이 시작되구요.

저희는 방을 임대해서 사용하는 합주실이 아닌,
시간제로 사용하고 있으며, 드럼이나 마이크, 앰프정도는 방마다 갖추어져 있는 합주실입니다.
뭐, 기타나 베이스 치시는 분들은 기타와 이펙터는 기본으로 들고 다니더라구요..

그런데 저도 문득 욕심이 나서 지식인에 일단 질문을 드리려고 합니다.


첫번째는 마이크의 종류와 특징입니다.
마이크가 어떠한 종류가 있는지 까마득히 몰라서 일단 종류와 특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싶구요.

두번째는 마이크의 종류에 따른 사용용도입니다.
저는 합주, 공연용도로 사용을 할 목적이지만, 그래도 여러종류의 마이크의 사용용도를 자세하게 알고 싶습니다.

세번째는 마이크의 종류에 따른 부가장비의 설명입니다.
예를 들어서 기타는 기타만 있어도 칠 수는 있지만 이펙터나 페달 등을 부가장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는 ^^;
그래서 마이크의 종류에 따라서 어떠한 부가장비가 있고,
"꼭 이것은 필요하다!" 라는 것 정도는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덧붙여 그 부가장비들의 역할과 기본적인 작동, 조정을 설명해주시면 더더욱 감사하겠습니다.)

네번째는 마이크 장비에 대한 추천 사이트입니다.
저는 기타를 학원에서 배우다가 싱어로 넘어와서 장비가 하.나.도. 없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여러 쇼핑몰 사이트라던가 리뷰, 참고할만한 사이트 몇군데를 소개받고 싶습니다.


내공 건 만큼 확실한 정보를 얻고 싶습니다.
저의 긴 글을 읽어주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디렉토리가 할만한게 없네요.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첫번째는 마이크의 종류와 특징입니다.

다이나믹 형 - SHURE SM-58. 전세계 베스트셀러 마이크이다. 물론 다이내믹형이고 저렴한 가격과 좋은 내구성을 무기로 라이브용의 보컬 마이크로 사용되는 일이 많다. 인기 가수 이승철씨가 애용한다고 하며, 얼마전 가수 김원준씨의 앨범에도 대부분 SM-58을 이용해 보컬을 고음했다고 하니, 정말로 활용하기에 따라 레코딩시에도 충분히 좋은 퀄리티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콘덴서 형 - 일단 콘덴서 마이크는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를 자랑한다. 그렇기 때문에 보컬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어쿠스틱 악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보컬 녹음에는 스탠더드로 인정받는 마이크이다. 단점이라면 내구성이 약해서 물리적이 충격에 의해 파손을 입기가 쉽고, 가격이 비싸다는 것이다. 하지만 ...

튜브형 - 한 세대 이전의 마이크랄까? 무엇보다도 진공관(튜브)을 사용하기 때문에 취급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며, 콘덴서 마이크의 보급에 밀려 점차 보컬 녹음의 주류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하지만 요즘엔 오히려 완벽한 디지털 시대가 만들어져 감에 따라 반대로 튜브의 인기가 높아지는 추세이다.

 

두번째는 마이크의 종류에 따른 사용용도입니다

다이내믹형 - 다이내믹 특유의 좁은 다이내믹 레인지(주파수 특성) 때문에 보컬에 그렇게 널리 쓰이는 편은 아니지만, 보다 부드러운 톤을 원하거나 보컬의 시빌런스(치찰음)가 심할 경우 곧잘 사용되기도 한다.

콘덴서형 - 본격적인 보컬 녹음에 욕심이 있다면 반드시 하나 정도는 가져볼 가치가 있다고나 할까? 개인이 Neumann U87 같은걸 사려면 엄청나 용기가 필요할만큼 가격이 비싸다.

튜브형 - 차가운 느낌으로 대변되는 디지털을 보강해 줄 수 있는 인간적인 따뜻함 때문이랄까? 대체로 진공관이 상태나 제품의 수명 등등 여러 가지 편차에 따라 음질이 제각각인 경우가 많으므로, 선택이나 고장이 날 경우 수리 등에도 다소간의 어려움이 있다.

 

세번째는 마이크의 종류에 따른 부가장비의 설명입니다

마이크의 부가장비도 이펙터와 엠프입니다. 콘솔이나 엠프로 들어가기 전에 preamp가있어 음색과 톤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그마한 장비가 아니라 조금 큰 랙형 장비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대여해서 쓰거나 스튜디오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고급콘솔에 장착되어있는 프리엠프는 퀄리티가 높아서 일반적으로 그냥 쓰기도 합니다. 그 외 이펙터는 특별히 보컬을 위해서 되었다기 보다는 보컬의 음색을 악기화(?)시켜서 사용하기 위해서 보쿼더같은 머신들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이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락음악을 위주로 공연을 주로 하시는 분들께는 다이내믹형 SM-58을 추천합니다. 여성의 고음이나 부드러운 소리를 내시려고 SM-57(악기를 마이킹 하기 위해서 나온 제품)을 사용하는 가수들도 조금 있습니다. 마이크 관련 샵에 가셔서 직접 소리를 들어보고 고르시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리라 생각합니다.

 

네번째는 마이크 장비에 대한 추천 사이트입니다

http://www.avteam.co.kr  각종 마이크 제품 구매가능한 사이트 입니다.

www.mnshome.com 미디와 음향, 마이크도 몇 제품 있으며 커뮤니티에서 녹음및 마이크 관련 글을 보실수 있습니다.

www.mule.co.kr 악기 및 음향관련 중고매매 전문 사이트입니다.

 

궁금한 부분은 1:1질문을 통해서 질문하시면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마이크는 크게 두가지 다이나믹방식과 콘덴서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다이나믹 마이크란?
다이내믹 마이크는 고정 자석 주위로 감겨있는 무빙코일의 움직임을 이용해 소리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킵니다. 콘덴서 타입의 마이크 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튼튼하여 라이브 상황에서 주로 이용됩니다. 주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타입입니다.

  
 

 

콘덴서 마이크란?
콘덴서 마이크는 고정 자석 사이에 가는 리본형태의 떨림 감지장치의 움직임을 이용해 소리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킵니다. 소리반응에 매우 민감하기에 다이내믹 타입의 마이크 보다 가격이 비싸며 민감한만큼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하기에 주로 녹음실이나 고감도를 요하는 마이크로 이용됩니다. 주로 고급형으로 녹음스트디오에서 사용하는 민감성 고급형 마이크와 대형 콘서트홀 천장에 매달려있는 마이크라고 보시면 됩니다.

 

 

 

마이크 활용도
일반적으로 손에 들고 부르는 마이크는 다이나믹형과 콘덴서형이 쓰일 수 있는데 그 활동성과 사용자의 거친 활용으로 주로 다이나믹 마이크가 더 많이 쓰입니다. 입에 가까이 하고 사용하는 라이브 음악이나 저주파음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되므로 다이나믹 마이크가 더 유리합니다. 특성이 낮은 전류 방식으로 맞추어져 있는 마이크가 가질 수 있는 감도의 기준도 중요합니다.  또한 마이크의 디자인도 사용자를 위해 편리하고 가볍게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런 마이크를 사용할 때 음원으로부터의 적당한 거리는 10㎝ - 15㎝가 좋은 소리를 잡아내는데 도움을 줍니다. 높은 소리 레벨의 악기나 노래소리는 약간 더 마이크를 음원으로 가까이 붙이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거리가 10㎝보다 짧을 때 저주파의 반응은 증가합니다. 그리고 마이크 선이 유동성 있게 잘 움직이도록 만드는 것도 필요합니다.

 

 
무선 마이크(WIRELESS MIC)


현장에서는 흔히 ‘와이어리스’라고 부르는 이 마이크는 일종의 소형 송·수신기로 마이크의 헤드 내에 송신기를 포함시켜 VHF나 UHF대의 전파로 송신하여 수신기로 수신하는 방식이다. 말 그대로 WIRE(케이블)가 없기 때문에 행동이 자유스러워 스튜디오뿐 아니라 야외중계나 오페라 무대 등에도 폭넓게 사용된다. 야외 촬영현장에서는 일반적으로 핀마이크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리포터가 움직이면서 말하는 멘트를 수음할 때 많이 사용하고 있다.
와이어리스 마이크는 사용이 편리하지만 주파수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사용하는 송신측 마이크와 수신기의 주파수를 동일하게 맞추어주어야 하며, 가지고 있는 마이크의 송·수신 주파수가 그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따져봐야 한다. 특히 해외 촬영시는 반드시 체크해 둬야 한다. 자칫하면 곤경에 처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국내의 경우는 군사지역이 많아 일부 제한적으로 주파수 사용이 허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SONY사의 와이어리스 마이크인 WRT-805. 카메라의 뒤쪽에는 WRR -862라는 수신기가 부착되어 있다.
요즘 대부분의 교양프로그램에서 이 와이어리스 마이크를 야외 인터뷰용으로 아무때나 시도때도없이 남발해 사용을 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이는 거추장스러운 코드가 없이 간편하게 수음을 할 수 있다는 편리함 때문인데, 이 핀마이크는 무지향성이기 때문에 소리가 울리는 장소나 소음이 큰 장소에서의 사용은 잡음이 크게 들어와 별로 바람직하지 않은 사용법이다.

 

 

■ 마이크의 종류 2 - 지향성에 따른 분류

우리가 사용하는 마이크는 소리를 캐취(집음)하려는 소리의 폭(지향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뉜다.  이 지향성 때문에 촬영을 하기 전에 어떠한 마이크가 이번 촬영에서의 오디오 픽업에 적합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사용할 마이크를 선택하여야만 한다.


1. 무지향성 마이크(전지향성 마이크)

이 마이크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다시피 특정한 방향에서 나오는 소리를 캐취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방향에서 나오는 소리를 모두 균일한 크기(감도)로 캐취를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촬영하고 있는 특정한 인물이나 피사체에서 나오는 소리뿐 아니라 주변의 모든 소음까지 녹음이 되어 자칫 소리의 주인공(?)을 찾기 어려운 녹음이 되는 경우도 있으나 소리가 울리지 않고(잔향이 없고), 아주 조용한 곳에서는 나름대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에 장착된 마이크 말고, TV 뉴스프로그램 등에서 기자나 리포터가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핸드 마이크나, 와이어리스 마이크는 이 무지향성 마이크의 일종이다.

    
 
무지향성(전지향성) 마이크는 그림과 같이 모든 각도에서 오는 소리에 동일한 감도로 반응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림을 보면 모든 방향(0도~180도)에서 들어오는 소리에 똑같이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가운데 의 원형은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db 데시벨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6mm나 8mm에 달려있는 마이크는 대개 전지향성 마이크이다.
  
 
인터뷰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shure사의 전지향성 다이나믹 마이크 SM63시리즈.
 

2. 단일 지향성 마이크

이 마이크는 특정한 방향에서 나오는 소리에만 크게 반응을 하고, 그 방향축을 벗어날 수록 반응이 작아지는 특성을 갖는 마이크를 말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주위에 소음이 많은 곳과 같은 장소에서 특정한 소리만을 캐취하는데 아주 유용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을 가진 마이크는 마이크가 향하는 방향의 소리에만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소리를 캐취하려는 대상자가 두 명 이상일 경우에는 말하는 상대에 따라서 마이크의 방향을 민첩하고 예민하게 조절해 주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어느 특정한 사람의 소리만 강하게 캐취되고, 미처 방향을 바꾸어 주지 못한 다른 쪽에 있는 사람의 소리는 극히 미약하게 캐취되어 버려 실제로는 둘이 대화를 나누고 있는 상황일 지라도 어느 한 사람만 일방적으로 떠드는 것처럼 녹음이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제 사용시 마이크를 조금만 움직여도 음색이 변하고, 소리가 들쑥날쑥해 지는 등 조작이 까다로워 사용시에는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이러한 단일 지향성 마이크는 소리를 캐취하는 폭(지향폭)에 따라 좀 더 지향각이 좁은 고지향성 마이크와 건GUN 타입의 초지향성 마이크 등으로도 세분된다.
 
 
단일 지향성 마이크는 특정한 방향에서 나오는 소리(음원)에만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특성을 갖고 있다. 마이크의 지향특성을 그린 옆의 표를 보면 마이크가 향하는 앞의 방향(0도 방향)과 양 옆의 방향(90도 방향)에서 들어오는 소리에만 반응을 하고 뒤쪽에서 오는 소리에는 둔감한 것을 알 수 있다.
 
옆의 그림은 단일 지향성 마이크 중에서도 좀 더 집음각(集音角)이 좁은 특성을 갖는 마이크의 특성을 보여준다.
 

3. 초지향성 마이크


초지향성 마이크는 건마이크나 건 마이크 뒤에 파라볼라 안테나와 같은 집음판까지 장착한 마이크와 같이 특정하게 좁은 각도에서의 소리만 캐취하기 위해 만들어진 마이크로 다른 마이크에 비해 지향성이 매우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수음하는 각도가 10~20°밖에 안되기 때문에 여러 음 중에서 어느 특정한 소리만 캐취할 때 아주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주로 자연 다큐멘터리 촬영시 특정한 동물의 소리만을 캐취할 때 등에 많이 사용되는데, 얼마전 춘천마라톤을 중계할 때 보니 1등으로 달리는 주자를 오토바이로 팔로우하며 촬영하는 옆에 또 하나의 오토바이에 이 초지향성 건마이크로 달리는 주자의 발소리만을 캐취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이럴 경우 연변에 늘어선 시민들의 환호하는 박수소리 속에서도 달리는 주자의 내딛는 발소리만이 강하게 캐취되어 주자의 역주하는 모습을 보다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다.

 
단일 지향성 마이크 중에서도 특정 방향과 각도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초지향성 마이크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그림에서도 알 수 있듯이 30도 이내의 좁은 각도에만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다른 각도에서 들어오는 소리에는 반응이 상당히 약한 것을 알 수 있다.
  
 
초지향성 마이크의 대표적인 모델일 독일 제나이저 SENNHESER 사의 SM60 마이크로폰. 지향성 마이크는 지향각을 높이기 위해 다른 마이크에 비해 마이크의 길이가 긴 모양을 갖는다.
 
4. 양방향성 마이크(쌍지향성 마이크)

지향 축과 그 반대 축 양쪽 모두 감도가 높고 옆 쪽은 감도가 매우 낮은 특성을 갖는 마이크로, 쌍지향(양지향)성 또는 전후지향성이라 한다. 쌍지향성 마이크는 8자 모양의 지향 패턴으로 마주 앉아 진행되는 토크 쇼(미국의 쟈니카슨 쇼 등)나 음악프로그램 등 특별한 목적에 사용된다. 이 종류의 마이크는 현재 거의 콘덴서형 마이크로써 여러 종류의 지향특성을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쌍지향성의 마이크는 핸드용은 없고 고정시켜 사용되는 스탠드형만 있다. 용도는 무지향성 마이크의 예와 마찬가지로 섬세한 음원의 수음 등, 고급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쌍지향성 마이크는 옆의 그림과 같이 좌우에서 들어오는 음원에는 반응이 둔감하고, 양쪽 방향에서 들어오는 음원에만 민감한 반응을 나타낸다.
   
 
쌍지향성 마이크의 대표적인 모델인 SHURE사의 VP-88

 

마이크 판매 업체를 소개해 드리자면 www.gayazon.com을 소개해 드립니다. 제가 이 사이트를 얼마전에 알았는데 전세계 모든 음향기기들을 취급하고 있어서 아주 좋습니다. 02-388-5775로 전화하시면 제품 설명도 아주 친절하게 잘해 주시더라구요~^^

스트리밍 마이크 추천

... 아파트입이다 용도는 게임방송을 할때... 마이크추천 마이크암은 사용 환경과 책상의 공간... 사용하시는 마이크와 호환되는지, 설치 가능한지, 그리고 사용자...

콘덴서마이크 오인페 추천

...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오인페가 필요합니다. 오인페는 가격, 성능, 기능 등이 다양하므로 자신의 용도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이크...

노래 녹음할때 쓰는 마이크 추천

... - 용도: 어떤 종류의 음악을 녹음하려는지, 스튜디오에서 녹음할 것인지 라이브 공연에서 사용할 것인지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마이크를 선택하세요. - 음질: 마이크의...

유튜브 입문용 마이크 추천 부탁드려요

... 제품 추천! 2. 용도는 유튜브를 위한 마이크로 요청!... 유튜브로도 사용가능! 3. 2천개 가량의 찐 후기로 믿음이... 많더라구요^^ 그리고 추천드린 제품도 4만원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