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 아픈 사람의 매트리스 선정 (하드 독립스프링 vs 본넬스프링)

허리 아픈 사람의 매트리스 선정 (하드 독립스프링 vs 본넬스프링)

작성일 2017.12.03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독립, 본넬, 라텍스, 7존, 등등의 정보는 대략 검색해 보았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허리를 다친 이후로 침대 생활을 하게 되었습니다.

처음에 쓴 건 라텍스 매트리스였는데요, 허리 상태가 별로 좋아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아무거나 썼는데 이건 본넬이었습니다.

본넬을 썼더니 일할 수 있을 정도로 허리가 좋아졌다가 

이번에 이사오면서 7존 어쩌고 하는 컴포트? 미디엄 하드 계열을 써 봤는데요

다시 반년 동안 허리가 낫지 않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안 맞는 것 같아요.



매트리스를 다시 바꿔 보려고 하다가 첫줄에 있는 개념들을 새로 배우고 매트리스를 고르다 보니

독립스프링인데 하드타입 

그냥 본넬스프링으로 돌아가기. 중에서 고민 중입니다.

저기 적힌 대로라면 본넬이 훨씬 맞는데 왜 고민인가 싶겠지만 친구나 후배 등 여러 사람들의 매트리스를 빌린 결과 포켓스프링(독립스프링의 원조) 침대도 잘 맞는 게 있었거든요. 단종되어서 같은 걸 구할 수 없거나 상표가 적혀 있지 않아서 같은 물건을 구할 수 없는게 문제.


질문 : 허리 아픈 사람한텐 대개 뭐가 더 좋나요?

부가적인 질문 : 본넬스프링은 전부 하드타입인가요? 인터넷에 검색해도 이걸 알 수 없었습니다.


#허리 아픈 이유 #허리 아픈 짤 #허리 아픈 사람 선물 #허리 아픈데 #허리 아픈 의자 #허리 아픈데 좋은 약 #허리 아픈데 좋은 운동 #허리 아픈 사람 운동 #허리 아픈 부위 #허리 아픈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매트리스 기술전문가는 아닙니다.

하지만 매트리스의 기본은 알고 있습니다.

스프링 / 라텍스 / 폼

이렇게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스프링은 일반형(연결형 또는 본넬] 스프링과 독립형(포켓) 스프링이 있습니다.

본넬과 포켓으로만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스프링 굵기와 회전 수, 상하 직경의 차이 등을 변경하여 특허를 내어 사람에게 가장 적합한 것을

연구하고 있는것이 현시점이지 않을까 합니다.

일반적으로 본넬은 포켓에 비해 스프링이 굵은 강선과 프레임 보조스프링과 연결방식을 사용하기때문에

내구성이 좋다고 표현합니다. 이에 비해 포켓은 스프링이 본넬에 비해 얇기때문에 탄성이 약하여 부드럽다고 느끼실수 있습니다. 독립형이란 말을 쓰듯이 포켓은 스프링 각각마다 부직포를 감싸고 있고 그것을 한줄씩 또 부직포로 어깨동무(?)를 시켜 나열해놓습니다. 부드러운것은 좋지만 사람의 자세에 따라 몸 상태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거두절미하고 말씀드릴 수 있는것은,

자세교정이 필요할 정도로 몸이 변형되신분들은 분명 어떤것을 사용하셔도 불편하실 수 밖에없습니다.

하지만 그런정도가 아니고 일반 정상적인 체형에 가까우시다면 편하셨던 본넬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시는게 좋다고 생각되어집니다. 

글쓰는 저는 하단 본넬, 상단 미니포켓을 복층식으로 셀프제작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몸은 미니포켓에 가깝게 닿고있지만 탄성이 강한 스프링으로 제작하엿기에 본넬처럼 하드하게 이용중이지요. 저도 본넬이 몸에 맞기때문에 허리이상없이 잘 사용하고 있답니다.

참고로 포켓이나 라텍스는 추천하고싶지 않습니다. 개인의취향이지만 경화되엇을때 부직포나, 라텍스의 고무가루(100%천연은 없습니다.)는 차마 이루말할 수 없지요.. 요즘은 그렇게 없다?!고 광고들을 하겠지만.. 과연 그게 100% 가능할련지요.. 다 이유가 있는거지요~ 국내 매트리스 대기업 xxx회사도 포켓은 안하고 있지요..

말이 길어졌지만, 답답한 현실에 저의 짧은 의견을 써보고싶어 댓글을 달아보았습니다.

허리는 평생가는거고, 완쾌되어도 잠은 자야되는거고, 고민 많이 하시는걸 보면,

진심이 느껴집니다. 어서 맞는 부분을 찾으셔서 완쾌하시길 바랍니다.

*별도로 본넬은 퀸사이즈부터는 거의 의무적으로 허리받침대가 들어갑니다. 슈퍼싱글도 들어가도 되긴하지만, 이것은 향후 매트리스 중간이 꺼지는 부분방지용이니 참고하시고, 반드시 큰게 필요하시지 않다면 슈퍼싱글을 쓰시다가 교체주기를 앞당기시는것도 추천해드립니다. 비용문제가 걸리신다면 퀸이상의 사이즈에서 허리받침대를 어떤식으로 넣을지 아시면 됩니다. 궁금하시면 다음에라도 쪽지나 댓글 주시면 답변해드리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매트리스 지니어스입니다.

허리통증이 있으신 경우, 매트리스 선택에 있어 굉장히 고민되고 어렵기도 한듯요.

스프링 계열 매트리스에 있어 존 방식은 크게 신경 않쓰셔도 될 듯 합니다.

본넬을 사용하시는 경우 몸이 편하셨다는 부분은, 매트리스 때문일 수도 
아니면, 라텍스 이전 부터 사용하셨던 매트리스 혹은 바닥 생활로 인해 허리가 약간 뜨는 형태의 척추밸런스에 익숙하신 경우일 수 도 있답니다. 

특히 바닥생활을 오래하셨던 분들은, 장력이 강한 스프링 계열 매트리스에서 편안함을 많이 느끼시고요.

사실 누우셨을 때 허리 뒤쪽에  손을 넣어보아서 공간이 있다면, 허리근육에 계속된 긴장을 일으켜 도움이 되지 않는경우가 많이 있답니다.

그리고 폼 계열 제품이 가장 허리통증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현재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인정하는 부분이고요.

허리통증이나 허리디스크 문제가 있으신 경우, 
단단한 매트리스는 오히려 무리를 줄 수 있기에,
매트리스를 고르실 때 압력완화를 시켜줄 수 있는 메모리폼 계열이 지지력은 확실한 제품이 가장 나을 듯 합니다. 

예전에는 부드러운 매트리스는 지지력 또한 약하여, 내구성에 문제가 생기거나 허리가 꺽이는 단점등이 있었습니다.
현재는 내구성이 높은 지지력을 바탕으로 상단에는 부드러운 쿠셔닝으로,
신체가 느끼는 압력을 최소화 하면서 자연스럽게 받쳐주는 제품들이 있답니다.

결론으로,
소프트 타입 혹은 하드타입의 결정보다는, 매트리스 종류에 있어 메모리폼쪽을 알아보시는게 나은 선택일 듯 하며, 이 중에서도 고탄성 계열이 도움이 많이 될 듯 합니다.

품질이 좋은 제품인 경우, 지지력 또한 좋기에, 상단에서 느껴지는 단단함 혹은 부드러움은 누우셨을 때 편한 느낌으로 고르시면 될 듯 하고요.

제 개인 블로그에 와보시면, 매트리스 홍보가 아닌,
매트리스의 종류 및 장단점, 그리고 매트리스 제품에 관한 상세한 포스팅들이 있으니,
둘러보시면 매트리스 구매에 도움이 될 듯 하여 링크를 남겨봅니다~~


그럼 이만!

선정 (하드 독립스프링 vs 본넬스프링)

... 질문 : 허리 아픈 사람한텐 대개 뭐가 더 좋나요? 부가적인 질문 : 본넬스프링은 전부 하드타입인가요? 인터넷에 검색해도 이걸 알 수 없었습니다. 매트리스 기술전문가는...

본넬스프링이랑 독립스프링허리에...

... 그래서 허리에 좋은 매트리스를 고르려 하는데 본넬스프링이랑 독립스프링 중 뭐가 나을까요....... 다 차이점이... 어떤 특정 브랜드의 어떤 모델이 참 좋더라 하는 사람 말만...

7존 독립 매트리스 같은 거 사려고...

... 독립스프링 매트리스를 사려고 하는데요. 금성이나 동서가구 보니까 엉덩이 부분이 하드스프링으로 되어있더라고요. 엉덩이는 푹신하고 허리는 받쳐줘야 허리가 안아픈...

리브맘 매트리스 허리아픈 사람이...

리브맘 매트리스 허리아픈 사람이 써도 좋은가요? 허리가 좀 안 좋은 편이라서 허리를... 7존 독립 포켓 스프링으로 되서 머리부터 발 끝까지 흔들림 없이 받쳐줘서 좋아요 ㅎ...

허리 아픈사람인데 에이스 vs 시몬스...

... 허리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둘째, 매트리스 핵심 내장재/스프링의 반발력과 탄력이 좋아야 합니다. 반발력과 탄력이 없으면, 상대적으로 흔들림은 적겠지만, 사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