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목으로 침대 만들 때 어떤 나무가 좋나요?

원목으로 침대 만들 때 어떤 나무가 좋나요?

작성일 2013.12.2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침대와 다이닝 테이블을 공방에서 맞출려고 해요.

 

여러 가구 매장 갔는데 딱히 마음에 드는걸 못 찾아서 디자인 의뢰 해보려구요.

 

근데 침대를 어떤 나무로 하는게 좋을지 잘 모르겠네요.

 

편백나무가 좋다고 하는데

일본산이라 거부감이 있네요.

 

대형가구점에서는 원목으로 가구를 전부 다 만들경우 수축 팽창으로 뒤틀림이 일어날 수 있다고 하더라구요.누가 전부 원목으로 만드냐고 이렇게 만드는데는 이유가 있다면서요.

 

편백나무, 삼나무, 고무나무등 여러 지식인 답변들이 있던데

아직 감이 잘 안오네요.

 

어떤 나무로 만드는 게 가장 괜찮을까요?

성인 어른 2명이 사용할거라서 튼튼하고 오래 썼으면 좋겠거든요.

 

 

목재를 잘 아신다고 해서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날씨 추운데 감기조심하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목재유통회사 종사자입니다.

 

우선은 가구재에 어떤 목재를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지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가구재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것은 "치수안정성"과 요즘 대두되고 있는 "친환경성"입니다.

 

치수안정성이란, 시간이 지나도 목재의 변형이 적음을 뜻합니다.

 

친환경성이란, 말그래도 소재가 얼마나 사람과 가까운것인지, 화학적인 성분은 없는 것인지에 대한

 

것입니다.

 

두가지를 충족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것이 결국 "건조에 따른 함수율"인데요.

 

보통 가구재는 13% 정도선의 수분량을 기준으로 만들어지게 되어집니다.

 

얼마전 불만제로에서 방영된 가구에서의 충이나 벌레 등은 이 건조가 되지 않은 건축용 목재를

 

사용하여 생긴 비극이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1.대형가구점에서는 원목으로 가구를 전부 다 만들경우 수축 팽창으로 뒤틀림이 일어날 수 있다고 하더라구요.누가 전부 원목으로 만드냐고 이렇게 만드는데는 이유가 있다면서요.

 

이 대답은 잘못된 상술에 의한 괴론입니다.

 

대형가구점은 아시다싶이 대량화를 통해 양산형 제품을 만드는 곳입니다.

 

원목을 사용하면 수축 팽창으로 뒤틀림이 일어날수 있다고 하지만 이것은 엄연히

 

"제대로 되지않은 원목"을 사용 하거나, "비싼 단가로는 양산형 경쟁제품으로 이길수 없다"

 

이렇게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당연히 집성재나 MDF와 같은 소재를 권하겠지요.

 

제대로 인공건조가 된 솔리드(원목)는 집성목보다 그 가치나 마감이 비교될수 없을정도로

 

좋습니다. 단지, 가격이 비쌀뿐 입니다. 염두하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솔리드(원목)는 비싸고 가치있는 만큼 양산형이 아닌 제대로 된 시공법을 요합니다.

 

예를 들면, 테이블 상판을 붙혀서 만들더라도 나무의 결이 서로 반대가 되게 붙인다던가.

 

이와같은 일반 양산형 제품과는 다른 좀 더 세밀하고 기술력있는 솜씨가 필요합니다.

 

이 두가지가 만났을 경우, 아주 질 좋은 원목가구가 탄생하는 것입니다.

 

여기까지는 목재의 선택에 대한 설명이였습니다.

 

2. 편백나무, 삼나무, 고무나무등 여러 답변들이 있던데 아직 감이 잘 안오네요.

 

편백나무 일명 히노끼라 하여, 요즘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피톤치드량도 많고, 습에도 강하여, 욕조나 사우나 요즘은 가구재로도 아주 많은 사랑을 받는

 

제품입니다. 국내 유통시장에선 90%는 일본산이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삼나무는 편백나무와 같이 향나무과 이지만, 거의 중국산이라 보시면 됩니다.

 

해서 단가적인 면에서 삼나무가 저렴합니다. 하지만 향이 좀 독하다는 느낌이 분명 있습니다.

 

독하다는 뜻은 썩 좋지는 않다. 편백나무와 비교시에..이 정도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고무나무는 "도장성"이 굉장히 용이 합니다.

 

때문에, 좀더 고급스러운 느낌을 원하는 월넛 톤이나 색감을 입히기 좋은 제품입니다.

 

 

결론은 삼나무 집성 편백나무 집성 고무나무 집성 등 집성류 전부 가구재로 쓰기엔 적합합니다.

 

적합하지 않은 비건조재를 피하셔야 합니다.

 

셋중에서 결정하시다면, 취향에 맞는 색상이나 느낌에 따라 구매하시는 것이 좋겠네요^^

 

P.s

성인 어른 2명이 사용할거라서 튼튼하고 오래 썼으면 좋겠거든요.

 

이 부분은 나무 수종의 문제라기 보단, 제작법이나 제작과정에 따라 달라질수 있습니다.

 

얼마나 안정된 사이즈의 속대를 사용하여, 간격을 두느냐 이것이 하중의 관건입니다.

원목으로 침대 만들 때 어떤 나무가 좋나요?

... 근데 침대어떤 나무로 하는게 좋을지 잘 모르겠네요. 편백나무가 좋다고 하는데 일본산이라 거부감이 있네요. 대형가구점에서는 원목으로 가구를 전부 다 만들경우 수축...

침대 원목으로 된거 어떤좋나요?

... 뒤집기전까지는 원목침대 쓴다고 하는데 좀 오래 사용할수 있는 신생아아기침대 있을까요??안전하면서 튼튼하고 아기가 편하게 쓸 수 있는 신생아아기침대 제품이면...

침대프레임 원목좋나요?

... 매트리스도 요즘엔 메모리폼 많이 산다는데 그런거 사려면 침대프레임은 어떤거 사는게 나을까요? 질문이 많았는데 정리해서 명쾌하게 설명좀 부탁드려요 ㅠㅠ 원목 침대프...

MDF합판침대원목침대의 장단점...

... 있고 나무가 더 좋다는곳이 있던데 원목의경우 갈라짐이... 만졌을 부드럽고, 견고함이 느껴집니다. 또 나무... 디자인의 침대만들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원목의 경우...

원목침대 구입시

... 5억하더이다^^ 그러니 통원목으로 만들어지는 가구 중 저가는 루바형식으로 얇게 자른 나무가 많습니다. 이를... 어떤 CF에서 이렇게 말하죠? 침대는 가구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