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금(플래티넘)과 화이트골드 합금되나요?

백금(플래티넘)과 화이트골드 합금되나요?

작성일 2007.08.2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종로에서 목걸이랑 귀걸이를 했는데요..

 

14k WG 플래니터 이렇게 써서 주더라구요.. 주문서에..

 

구입할 땐 정신 없어서 설명을 들어도 모르겠더라구요..

 

근데 집에와서 찾아보니 WG가 화이트 골드라네요..

 

그래서 이게 뭐냐고 물어봤더니..

 

백금과 화이트 골드가 합금 된거라고 하더라구요..

 

처음부터 화이트 골드랑 백금이 합금 된거라고 하면 더 이해하기 쉬웠을 텐데..

 

백금과 화이트 골드 원래 합금 되서 많이 나오는 건가요??

 

가격은 어느 정도 되는지..  귀걸이나 목걸이 싸이즈그 그렇게 큰편이 아니거등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께선 백금과 화이트골드에 대한것에 오해의 소지가 있어보입니다.

먼저 이글을 보시면 이해가 가리라 봅니다.

제가 작성하였던 오픈백과내용을 올립니다.

<!--// 타이틀 -->
백금과 화이트골드의 차이점

주얼리샾을 운영하다 보면 쉽게 접 할 수 있는 문제의 의문점이다. 손님께서 샆을 방문하여 진열되어 있는 하얀금으로 된 상품을 보고 하시는 말씀 이거 백금입니까? 하는 물음에 샆에서의 대답은 아주 다양하다.

1.네 그렇습니다.
2.아니요, 화이트골드입니다.
3.네, 화이트백금입니다.

이렇듯 대답은 다양하나 정답은 2번과 같은 한 가지입니다. 이는 귀금속의 기준인 금에 대해 정확 기준을 세우지 못한 무지에서 오는 것으로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판매해야 할 의무를 지닌 판매자가 사기라는 범죄의 우려를 문제시하게 되는 것입니다.

백금이란?

백금족의 원소인 하나로 platinum (白金)으로 원소기호가Pt이며, 비중이21.4, 융점이1773.5이다.

금이란?

구리족의 원소로 gold (黃金)으로 원소기호Au이며, 비중은19.3, 융점이1063이다

파라디움이란?

백금족의 원소로서palladium 팔라듐이라고 부르며, 원소기호는Pd, 비중12.1, 융점1554이다.

은이란?

구리족의 원소로 silver (銀) 원소기호Ag이며, 비중은10.5, 융점은960.5이다.

구리(동)이란?

구리족의 원소이며Copper (銅)으로 원소기호Cu, 비중은8.9이고,융점은1083이다.
이상의 금속을 소개한 것은 백금과 화이트골드에 대해 설명하고자 여기 필요로 하는 금속을 나열해 본 것이다.

1.백금에 대해서 알아보면.

여기에서 %표시는 순수한 백금(Pt)의량을 표기한 것임, 백금과 팔라듐을 합금한 유형들로는?

1)Pt (순수백금)100%, 표기1,000, 비중21.45
2)Pt+Pd의 합금95%, 표기950, 비중20.64
3)Pt+Pd의 합금90%, 표기900, 비중19.88
4)Pt+Pd의 합금85%, 표기850, 비중19.18
5)Pt+Pd의 합금80%, 표기800, 비중18.53
6)Pt+Pd의 합금75%, 표기750, 비중17.92

위와 같은 합금으로 백금을 합금하게 되면 백금과 팔라듐이 백금족에 속하는 하얀색을 지니고 있어 가장 이상적인 귀금속 합금이겠으나, 백금 같은 경우 워낙이 귀한 금속인지라 고가의 가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일본과 같은 나라에선 화이트골드보단 위에 백금의 합금을 선호하여 많이 활성화가 되어있고, 국내에선 아직은 몇몇 업체에서 극히 적은수의 제품만 생산 유통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여기에서 눈여겨 봐야할 것은 가격이 비중과 융점이 비례 한다는 것이며, 융점도 높을수록 순도가 높고 높은 가격을 지니고 있다는 것입니다.

2.18K 화이트골드에 대하여.

여기에서 화이트골드는 하얀금이라 하여 WG 라고 표시 합니다.
여기에서도 %표시는 순수한 황금(Au)를 표시한 것임, 황금과 백금족인 팔라듐을 합금한 예.

1)Au+Pd의 합금75%, 표기750, 또는18K, 융점1400
2)Au+Pd+Ag의 합금: Au75%+Pd10%+Ag15%: 표기750, 또는18K, 융점1220
3)Au+Ag의 합금: Au75%+Ag25%: 표기750, 또는18K, 융점1040
4)Au+Ag+Cu의 합금: Au75%+Ag16.7%+Au8.3%: 표기750, 또는18K, 융점968

여기에서 18KWG는 1)번의경우는 가장 이상적인 화이트골드의 합금이라 하겠으나, 금과팔라듐의 가격요인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위해선 오히려 순수한 황금100%의 가격보다 높은 가격이 형성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어 실효성이 없으며, 2)번은 금과팔라듐, 은을 합금한 예로 하얀금을 만들기 위하여 은보다 적은 팔라듐을 섞어 합금해 보지만 이 또한 가격요인이 맞질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3)의 경우는 금과은의 합금이지만 이는 가격요인에서는 크게 문제가 될 수없다고 할 수 있겠으나, 연성이 좋질 않아 일을 하는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4)의 경우는 제조업에서 제일 많이 사용하고 있는 합금방식입니다. 하지만 위의 모든 합금방식에는 금의 순도가 75%라는 함량을 포함하고 있어 전체적인 노란색에 어떤 것을 넣어도 약간의 색상만 변할 뿐 가장 중요한 하얀색은 되질 않으며, 약간누런색으로만 될 뿐이므로, 화이트골드로는 적합하지 않는 합금방식으로 이를 보환하기 위하여 소량의 닉켈을 섞는 방법을 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것만으로는 색을 감출 수 없어 백금도금이나 로듐도금으로 하얀색의 금으로 보이게 하고 있으며 이는 도금이 벚겨질 경우 약간 누런 색상의 금색이 나오는 것은 우리나라에선 지극히 합당하다 할 것입니다.

3.14K 화이트 골드에 대하여.여기에서도 %표시는 순수한 황금(Au)를 표시한 것임, 황금과 백금족인 팔라듐을 합금한 예.

1)Au+Pd+Ag의 합금: 금58.5%+팔라듐15%+은26.5%, 표기는585,또는14K, 융점1230
2)Au+Pd+Ag의 합금: 금58.5%+팔라듐10%+은31.5%, 표기는585,또는14K,융점1160
3)Au+Ag+Cu의 합금: 금58.5%+은31%+동10.5%, 표기는585,또는14K,융점841
4)Au+Ag+Cu의 합금: 금58.5%+은0.6%+동35.5%, 표기585,또는14K, 융점890

이것은 14K 골드의 합금방식으로 진정한 화이트골드를 원한다면, 18K 화이트골드보단 14K 화이트골드를 권하고 싶다. 이유는 18K 골드는 노란색상에 가까운 색상으로 많은 황색을 지니고 있지만 14K 골드는 그래도 하얀색에 가까울 정도로 금의순도가 58.5%밖에 함유하고 있지 않아 착용하다 보면 도금이 벚 어지더라도 잘 모르기 때문에 그리 보기가 흉하지 않기 때문이다.

위에 합금방식에서1)과2)의 합금방식은 최상의 합금 방식인 것으로 이를 지향해야하는 방식일 것이나, 18K 골드의 경우와 같이 팔라듐이 들어간 합금방식에는 우리나라와의 맞지 않는 가격요인 때문에 실효성이 없는 방법입니다.

3)과4)번의 경우는 그래도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은이나 동과 같은 금속은 그리 비싸지 않기 때문에 별 어려움이 없고 지금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합금으로 가격이 이 방법을 적용시켜 상품화가 됩니다.

이 경우 하얀 금속인 은이 많이 들어가면 하얀색상의 금속으로 합금이 되겠으나, 동과같이 붉은색계통이 많이 함유되는 적색에 가까운 금속으로 합금이 됩니다.
여기에서 금과은만 넣어서 합금을 하면 더욱 하얀금이 되지 않느냐는 질문이 나올 수 있겠으나 금은 물론 하얀색에 가까운 백색금으로 합금이 되는 것은 사실입니다만, 귀금속의 소재는 합금을 하여 상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제조공정을 거쳐야 하는 것으로 인성과 연성 강도가 맞아야 그 하고자하는 제품의 성질을 맞춰 일을 해야 하는 애로점으로 인해 그런 특단의 방법을 사용치 못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위에 나열한 합금방식은 그 제품의 특성에 따라 여러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무엇을 어떻게 합금을 하느냐에 따라 색상도 변하지만 금의 변색도 염려해야 하며, 인체에 접촉하는 부분이 알러지 등으로 인해 피부가 손상을 줄 수 있는 사항까지 고려해야 하는 것이 합금방식이라 해야 할 것입니다.

위와 같은 합금방식에 화이트골드라 하면 금의 함량에 무엇을 어떻게 섞느냐에 따라 색상이 변하므로 흰색에 가까운 다른 금속을 섞어 합금을 하면 화이트색에 가까울때 비로소 화이트골드가 탄생하는 것입니다. 여기에 약간의 미세한 금속색상을 보환하기 위하여 마지막 공정에서 14K나 18K 화이트골드에 백색인 백금이나 로듐 도금을 하는 것입니다.

결론은 위와 같은 합금방식에 따라 화이트골드냐 옐로우골드냐 백금이냐가 결정되는 것으로 혼돈하여 소비자에게 화이트골드를 백금인 것처럼 속여서 팔아도 되지 않을 것이며, 조금 힘이 들드라도 소비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정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판매를 해야 할 것입니다.

작성자: 한 순기  
<!--- 출처 --->

출처 : [직접 서술] 직접 서술

아울러 저는 순금에다 다이아몬드를 세팅할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선 먼가 꺼림직 하네요..

 

금과 백금을 합칠수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합하지 않습니다.

 

정확하게 문의를 해보세요..

 

금과 백금을 합했다면 금이 몇돈 백금이 몇돈이 들어갔는지..

 

제 생각에는 보증서에 WG 라고 써있으면 화이트골드 입니다.

 

백금이 아니라는 이야기죠..

 

다시한번 문의하시고 만약에 그게 맞다고 하면 보증서 써달라고 하세요..

 

나중에 재판매 할 일이 있을때 고생하게 됩니다..

화이트골드백금보다 비싼이유?

... 백금 = 플래티넘 화이트골드 = 금에 니켈이나 팔라듐 등을 합금 + 흰색 도금 백금이 더 희귀해 비쌌으나 아무래도 안전자산인 금의 시세가 오르다보니 화이트골드 가격도...

리얼화이트골드플래티넘(백금)인가요?

... 뭔가요 백금인가요? 아닙니다. 화이트골드는 원래 14k나 18k를 합금으로 섞어 하얗게 만들어놓은 합금제품입니다. 하지만 하얗게 섞어도 완전하게 하얗게 나오지않아 도금을...

플래티넘 백금 화이트골드 다 같은건가요

... 화이트 골드는 금, 니켈, 마그네슘 등의 합금으로 만들어진 귀금속으로, 백색 또는 회색의 색상을 가집니다. 따라서, 플래티넘, 백금, 화이트 골드는 모두 비슷한 색상을...

화이트골드인가요 아님 백금(플래티넘)...

... 됐는데 화이트골드일까요 백금일까요? 안녕하세요?... 플래티넘(백금) 은 PT 950, ,PT 900, PT 850.....식으로... 섞어서 합금을 만드는데 24K 순금이 노란색이다 보니 아무리...

화이트 골드백금

... 화이트골드는 하얀 금, 한마디로 금과 다른 물질의 합금을 말합니다. 백금이라는건 님이 잠깐 언급하신대로 플래티넘이구요. 차이라면 백금화이트골드에 비해서 가격이...

백금 화이트골드 차이점 질문 드립니다

... 예전에는 플래티넘 백금이 비쌋지만 지금은 18k화이트골드와 큰차이는 없지만... 18k화이트골드는 원래 순금(황금)75%에 25%의 화이트알로이(합금)를 넣서 만든것이다보니...

화이트골드 14k 합금방식과, 도금방식에...

... 요즘에도 가격단가 낮출려고 인체에 해로운 니켈합금하는것도 있던데 절대로 사절입니다. ㅡㅡ 2. 도금방식 화이트 골드라서.. 하얗지만.. 백금(플래티넘을 의미)가...

백금화이트 골드 차이점.

... 확실히 알아두시는게 좋을것 같네요~^^ *화이트 골드 - 백색금 *플래티넘 - 백금... *플래티넘화이트골드의 차이점 먼저 화이트 골드는 금에 파라듐을 10%정도 합금하면...

백금화이트골드 구분좀해주세요

... 귀금속 합금. 은백색이며 그 조성은 니켈13~27%, 구리1.6... 그러나 백금화이트골드와는 전혀 다른 금속이며 더... 9%의 백금순도와 0.1%의 함유물로 플래티넘을 만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