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하는데 효율적인 컴터 80~100만원대에 LCD모니터까지 구입할수 있...

게임하는데 효율적인 컴터 80~100만원대에 LCD모니터까지 구입할수 있...

작성일 2005.01.1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아버지께서 사주신다고 해서요..


80~100만원대에 게임하는데 가장 효율적이면서


LCD모니터까지 구입할수 있는 법좀..;;


LCD까지는 무리일까;;쩝..

어쨌든


게임하는데 적합한 80~100만원대에 컴터 사양 좀 알려주세요~


LCD모니터 가격까지 고려해서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조립 추천합니다. 일단 메이커와 조립을 비교하면서 조립을 추천해드리고 싶습니다. 100만원이면 17인치 LCD포함한 상태에서 조립과 메이커의 성능은 2배 혹은 그 이상일 것입니다.

 

먼저 조립컴퓨터는 메이커 컴퓨터에 비해 같은 성능일 때 2배가량 저렴합니다. 잘못 알려진 단점으로는 AS가 안돼서 망가지면 자기만 손해다. 조립하고 조금 지나면 성능이 금방 떨어진다. 이거 다 알고 보면 쉽게 해결할 수 있죠. 만약 2만원을 내고 용산의 어떤 매장에서 조립을 했다 치면 그 매장에서 AS를 1~2년간 책임집니다.(영수증 필수) 그리고 부품 하나하나 만든 회사에서도 유, 무상으로 보통 3년(예: 무상1년5개월 유상1년7개월) 가량 AS를 처리하지요. 불량품이 종종 걸릴 수 있으므로 성능이 잘 안 나오거나 작동하지 않는다면 AS기간 동안 교환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드웨어도 어느 정도 궁합이 맞아야 합니다. 물과 기름처럼 잘 안 맞는 부품들이 있고 CPU의 경우 핀 수와 FSB에 맞는 메인보드를 꼭 맞추셔야 합니다. 사실 그 하드웨어적인 문제는 약간 공부를 하시거나 주위에 잘 아시는 분께 도움을 청하면 됩니다. 궁합이 잘 안 맞는 부품이 섞이지 않는다면 별다른 문제는 없습니다. 그리고 사양선택도 자유롭죠. 조립컴퓨터의 단점으로는 소프트웨어는 모두 직접 처리 하셔야 합니다. 윈도우(OS)와 한글, 엑셀, 여타 소프트웨어는 원래 정품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정당한 방법이지요. 하지만 조립해 주는 매장에서는 비록 불법이지만 윈도우는 깔아준답니다. (직접 조립 할 때는 윈도우도 직접 구해야 하지요.) CD는 구워달라고 하시면 주는 곳도 있어요. 두 번째 단점은 AS가 되긴 되는데 하는 절차가 까다로운 것이 흠이지요. 컴퓨터가 망가졌다하면 망가진 부분만 조립한 매장이나 부품을 만든 회사에 직접 찾아 가거나 택배(본인부담)를 보내셔야 하죠. 그리고 어디가 고장난지 모르겠다면 그 큰 본체를 들고 용산까지 가야하는 일이 있을 수 있어요.(하드웨어 공부만 어느 정도 하신다면 이런 불상사는 없습니다.)
 

메이커 컴퓨터의 장점은 먼저 AS가 간편하다는 것이겠죠. 전화로 한번 부르면 각각 매장의 기사님들이 직접 방문하셔서 해결해 주시죠. 그리고 소프트웨어는 원하는 것은 구입 시 말씀만 하시면 정품으로 사용하실 수 있어요. 하지만 단점은 가격이 터무니없이 비싸다는 것과(하드웨어 공부하시다 보면 얼마가 터무니없이 받아먹는지 아실 거예요.) AS비가 만만치 않고요. 파견되는 기사님들의 수준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데 있어요. 그리고 AS경우는 길어봤자 3년인가하고 무상AS는 조립과 비슷한 수준인 1년밖에(어떤곳은 횟수로 유,무상AS를 결정하기도 3회이상은 유상 이런식으로요...)안되더라고요. (저 같은 경우는 그래픽카드 문제였는데 그것도 못 찾아내고 그냥 본체 들고 가서 10 동안 해준 것은 그래픽카드 교체 뿐 이였네요 -_-; 싸구려 그래픽카드 달아놓고는 10만원이나 받아먹는 그 어처구니없는 상황 -_-; 그때는 4년 전이라 아무것도 몰랐을 때라서 그냥 덤탱이 씌어먹은 거지요. 솔직히 메이커의 AS는 믿음이 없어요. -_-;) 그리고 사양선택에서 많은 제약을 받았지만 요즘엔 맞춤형 메이커 컴퓨터가 생겨서 단점을 보완하였죠.

 

조립하시는 방법은 생각보다 무지 쉽답니다. 1시간 아니 30분만 배우셔도 금방 하실 수 있어요. www.danawa.co.kr 에 들어가셔서 왼쪽에 조립가이드에서 조립하시는 동영상이 큰 도움이 됩니다. 부품 선택 방법은 역시 다나와에 들어가셔서 종류별로 구입할 제품을 생각해 두시고 다나와 홈페이지 역시 왼쪽에 가상견적서 내기 부분에서 구입하시고 싶은 부품을 종류별로 고르신 뒤에 저장 시키신 다음에 최저가 업체를 클릭하면 그 부품의 평균 최저가 매장이 순서대로 나오게 되지요. 그렇게 해서 그곳에서 조립하셔도 되고요. 부품하나하나 다 따로 최저가 업체에서 구입하시면 돈은 좀 아끼지만 돌아다니는데 시간낭비에 다리가 아플 뿐이죠. 조립은 부품 한 개라도 구입한 매장에 맞기시면 20,000원의 돈이 들지만 윈도우를 깔아준답니다. 조립할 때 옆에서 보고 배우세요. 다음에 조립하실 때 돈 안내고 하실 수 있으니까요. (그쪽 사람들이 싫어하지만 음료수라도 드리면서 옆에서 물어보고 친한 척 하면서;) 혹은 최저가 매장사이트에 들어가셔서 택배로도 물건 받아보실 수 있고요. 전화로 조립까지 한 제품을 택배로도 받으실 수 있어요. 선택은 자유겠죠? 아참 그리고 매장(사이트)추천은 못하겠네요. 전에 램, cpu 중고 파셔서 돈 보태신 다음 새것으로 맞추시라고 매장 소개시켜드렸는데 점수 다 앗아가고 1주간 못한 기억이 -_-;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최고 가격대비 성능비를 위해 추천했습니다. 제품호환도 생각했으니 걱정마세요 ^-^ 아 그리고 초록색 상품을 클릭하시면 다나와 제품정보로 이동하고 게시판에 상품평이 많이 있으니 참고하시구요. 가격은 다나와(주로 용산전자상가)기준으로 최저가로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구입하실 때 도움이 되시라고 그냥 상품 추천만이 아닌 설명까지(좀 길지만) 겻들여서 말씀드리고 싶어요.

 

CPU하시면 요즘에는 AMD가 어느정도 좋다고 아시는 분들이 계시지만 컴초보이시거나 정보가 어두우신분들께서는 아직도 펜티엄 3.0 정도? 하고 싶어요! 이런말씀하시죠. CPU는 펜티엄만 있는게 아니고 펜티엄만 좋은것이 아니랍니다. 일단 CPU는 AMD(주요상품:애슬론64,셈프론)와 인텔(펜티엄4,셀러론D) 두 회사의 경쟁으로 서로 장점을 부각시키며 제품을 판매하는데 현재는 AMD가 가격으로 보나 성능으로 보나 인텔을 앞선다고 생각합니다. 한마디로 대세는 AMD라는 것이죠. AMD는 뛰어난 가격대비성능비,단독작업,게임에서 좋다, 오버클럭이 잘된다. 라는 장점이 있고 인텔은 그동안에 많은소비자들께 인식되어있는 "펜티엄"이라는 무기, 멀티태스킹(한번에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 안정성으로 판매해왔지만 인텔은 멀티태스킹과 안전성도 AMD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따라왔기 때문에 (노트북쪽은 인텔센트리노 어쩌구~ 해서 광고가 많죠 노트북은 아직도 인텔이 강세입니다.)데스크탑 CPU분야에서는 AMD가 앞서고 있죠. 혹시나 아직도 AMD하면 cpu금방 탄다 안좋다 하시는 분들은 잘 모르시고 하시는 말씀입니다. 인텔의 경우에는 실클럭 2.4GHz 같은것을 펜티엄4 2.4 이런식으로 상품명에 넣지만 AMD는 인텔과 견주어서 전혀 떨어지는게 없지만 인텔의 "펜티엄" 이라는 인식이 많은분들께 깊숙히 박혀 있기 때문에 이를 뺏어오고자 상품명에는 2400+ 나 3000+ 같이 숫자뒤에 +가 있는데 이는 라이벌제품 (인텔의 셀러론D,펜티엄4윌라멧vs AMD의 셈프론   인텔의 펜티엄4 노스우드,프레스캇 vs AMD의 바톤, 애슬론64 그외 다수...)과 비교해서 만약 셈프론 2400+ 라면 셀러론D 2.4(2400) 보다 좋은(+) 성능을 낸다고 해서 2400+ 라고 비교하는 차원으로 상품명을 달고 있어서 서로 비교해 보기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편하기 때문에 좋죠. 일단 제가 추천해 드리고 싶은 제품은 AMD 애슬론64 윈체스터 3000+ (939핀) (181,000) 입니다. AMD에서 가장 밀고있는 제품중 하나이구요. 인텔제품과 비교하자면 인텔 펜티엄4 노스우드 3.0c , 펜티엄4 프레스캇 3.0e 와 자주 비교되더군요. 성능은 비슷비슷 하거나 좋은데 가격이 더 저렴하죠. 애슬론64중에서도 제가 말씀드린 윈체스터와 뉴캐슬이 있는데요. 윈체스터는 업그레이드에 용이하고 램듀얼(램성능 향상)기능 지원되는 등 뉴캐슬보다 장점이 더 많다고 생각해서 윈체스터를 추천합니다. 초고사양게임 이나 프로그램도 간단히 돌린다고 합니다. 아 그리고 AMD는 실클럭(제가 추천한 윈체스터 3000+경우 실클럭 1.8)은 떨어지지만 캐쉬와 코어 명령어 등등 cpu의 다른 기능으로 낮은 클럭으로도 비슷한 성능을 낼수 있게 하였죠. 한마디로 인텔은 클럭빨(?) 이라고 말하고 싶네요. 특히 3DNow!™ Professional technology기술을 사용한 AMD쪽이 3D게임쪽은 좋다고 하네요.

 

메인보드의 경우 컴퓨터의 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하죠. 일단 메인보드는 CPU 소켓(cpu에 달려있는 핀의 숫자)에 맞는 메인보드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제가 추천해 드린 윈체스터는 939핀용이여야 하죠. 메인보드 3대 명가 3A (ASUS, ABIT, Aopen은 AMD쪽은 만들지 않아서 제외)와 좋은성능으로 이름을 날리는 GIGABYTE 쪽으로 추천해 드리고 싶어요.ASUS A8V Deluxe 디지탈그린텍  (144,000) ABIT AV8 빅빔  (129,000)  GIGABYTE GA-K8NS Ultra-939 (Dual LAN)  (139,000)  이 3가지 제품 추천하고 싶어요. ASUS는 메인보드 쪽에서는 최고라는 소리를 듣지만 삼성램과 조합에서 문제가 아주 간혹가다가 있어요. ABIT는 오버클럭에 좋은 이미지가 있고(AMD cpu는 오버클럭때문에 구입하시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Gigabyte는 기본에 충실한 제품 정도로 말씀드릴수 있겠네요. 성능차이는 적을것으로 보입니다. 메인보드는 칩셋에 따라 성능이 달라지는데  ASUS와 ABIT는 가격대비 성능비가 뛰어난 VIA K8T800 Pro 칩셋을 사용하였고 Gigabyte는 램쪽성능은 좋지만 IDE(일반하드 연결형식)와 약간의 호환에 문제가 아주 가끔있다고 들리는  nVidia nForce3 Ultra 을 사용하였죠. 이 3개 제품 모두  램듀얼채널(똑같은램을 2개 꽂아서 램성능을 15~30%가량 높이는 기술) 을 지원하기 때문에 램을 2개 사용하시는것이 좋습니다. 두제품 모두 내장 랜카드, 내장사운드카드(5.1채널이상)가 장착되었습니다.

제가 추천한 메인보드는 ATX(일반크기)용 이고요 미니케이스 쓰시고 싶으시면 mATX(작은크기)로 따로 하셔야 하는데 ATX보다 가격도 비교적 비싸고 성능도 좀 떨어집니다.

 

RAM은 삼성(안정성과 브랜드네임)이나 하이닉스(낮은가격, 약간빠른속도) 추천해드리고 싶어요. 국산이라는 이유가 있기도 하지만 가장 인기 있는 제품들이죠.

DDR 삼성 512M PC3200 (85,000) 

DDR 삼성 256M PC3200 (41,000)

DDR 하이닉스 512M PC3200 (83,000) 

DDR 하이닉스 256M PC3200 (41,000)

그밖에 게일은 오버클럭 하시는 분들이 가끔가다 쓰시고요. 구입하실 때 반드시 PC3200 으로 사셔요(PC2100이나 2700보다뛰어난 대역폭을 가진제품이 며 가격차이는 거의비슷비슷합니다. 그렇다고 3200 넘어가는 제품은 많이비싸지고 맞는 CPU도 적습니다.

 

몇가지 말씀드리자면 SD램과 DDR램은 같은용량이면 성능차이가 2배가 나는데 가격은 성능이 더 좋은 DDR이 저렴합니다. SD경우는 생산중단으로 인해 값이 올랐죠. SD램에서 DDR램으로 바꾸실때 SD램을 파시면 DDR램 값은 어느정도 충당하실 수 있을거예요.

 


VGA카드경우 최고급 사양으로는 GeForce 6600GT 리드텍 A6600 GT TDH 128MB AGP LEADERS (235,000) 이제품이 가장 괜찮은 제품인듯 하구요. 초고사양 게임도 다른 부품이 바쳐준다면 이제품달고 하시면 렉 없이 부드럽게 즐기실 수 있을 거예요. 

가장 많이 쓰시는 중가제품으로는 ATI 9550 시리즈를 추천해 드리고싶어요. 라이벌제품인 지포스 FX5700시리즈보다 인기, 가격대비성능비가 앞선 시리즈로써 현재 VGA판매순위 상위권을 대부분 장식하고 있죠. 9550중에서도 ATI Radeon 9550 EVERTOP Saint EX  (100,000) 을 추천해 드리고 싶어요. VGA는 좋은 제품이라도 악평이 있는것은 당연한 일인데 이 제품은 악평이 적으면서도 좋은평은 많고 성능과 AS가 좋은 에버탑이라는 것도 한몫 하네요

낮은 가격대에서는 지포스 FX 5200 이 가장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중에서도 저는 비교적 최근에 나온 GeForceFX 5200 벤텍디지탈 Extreme 128M 128bit (58,000) 이제품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슬림케이스에 끼우고 싶으면 LP타입으로 구입하셔야 해요. LP타입은 가격에 비해 성능이 좀 떨어지죠.  그리고 6만원대 이상제품은 DVI(LCD의 디지털단자)와 TV out 기능이 거의 모두 지원된답니다. 혹시 모르니까 확인해 보시는 것도 괜찮고요.

 

HDD는 80GB면 충분하실거라 생각하고 추천해 드리자면

삼성 80G 7200rpm 정품 (62,000) Seagate 80G 7200rpm (7200.7) 정품 (57,000)

이 두 제품 중 선택하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가장 좋은성능으로 비슷비슷한 인기를 얻고 있죠. 더 큰용량을 원하시면 가격대비용량비(?)가 뛰어난 160GB쪽으로 하세요

Seagate 160G 7200rpm (7200.7) 정품 (8MB) (99,000)

삼성 160G 7200rpm 8M 정품 (102,000)

 

몇가지 말씀드리자면 하드는 용량보다 읽는속도가 성능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7200rpm 정도 되는 제품을 쓰셔야 렉 없이 잘 돌아갈 수 있습니다. 약 2~3년전 구입하신 하드 라면 5400rpm이하일 가능성이 높아요.

 

ODD는 쓰시던것 이나 중고쓰셔도 별 상관 없어요. 하지만 새로 하시고 싶으시다면 요즘 인기가 많은 COMBO(CD-RW + DVD-ROM)

COMBO LG 52X GCC-4521B 블랙 (48,000)  

COMBO 삼성 52X TS-H492A/KRBF 블랙 (44,000)

그냥 CD-ROM과 CD-RW는 

CD-ROM LG 52X GCR-8522B 블랙 (24,000)

CD-ROM 삼성 52X SC-152G 블랙 (18,000) 

CD-RW LG 52X GCE-8525B 역수 블랙 (29,000) 

CD-RW 삼성 52X SW-252S 블랙 (33,000)을 추천해 드리고 싶네요.

 

일단 블랙으로 추천해 드렸어요. 케이스와 맞지 않을수도 있지만 케이스역시 블랙계열로 하신다면 굉장히 잘어울리구요. 일반회색이나 흰색은 때가 타거나 시간이 지나면 누리끼리 해지기 때문에 보기가 않좋죠. 하지만 블랙은 심플해보이면서도 때가타도 티가 나지 않죠. 그래서 블랙쪽으로 추천을 해 보았어요.

아참 그리고 DVD_RW는 추천하지 않았어요. 가격도 만만치 않은데다가 예전 CD_RW가 그랬듯 성능도 낮으면서 가격은 비싸니 상용화가 된뒤에 구입하시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공DVD도 값이 만만치 않죠.

 

FDD 역시 쓰시던것 이나 중고 부품도 상관없지만 새로하신다면

FDD 삼성 1.44MB 3.5인치 블랙 (9,000)

이 가장 무난하네요. 플로피는 크게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스피커는 2.1채널과 5.1채널 각각 하나씩 추천하자면

스피커 Britz BR- 1100 (14,000) 

스피커 Creative INSPiRE 5.1 5100 (45,000)

가격대비 성능비가 가장 뛰어나다고 생각되는 제품이네요. 대부분 메인보드가 사운드카드가 내장되어있기는 하지만 성능이 좋지 않기 때문에 괜찮은 음질을 듣고 싶으시다면 사운드 카드도 같이 하시는것을 추천해 드리고 싶네요. 만약에 하신다면

Creative SB Live 24bit 7.1 JCHyun (41,000)

추천해드리고 싶어요. 스피커와 사운드 카드 모두 Creative 가 강세이네요.

키보드는 게임주로하 신다면 삼성전기 DT-35 블랙 (13,000) 추천하구요. 다른용도이시라면 아무거나 사용하셔도 괜찮을 듯 합니다.

 

마우스는 로지텍 MX310 컴웨어 (30,000) 이제품이 게임을해도 좋고 그냥쓰기에도 좋다고 하네요. 가벼운거 혹은 스타나 워크같은 게임 많이 하신다면

KTEC Optical KTM -3212 C형 (8,000) 이 제품도 괜찮고요.

마우스패드는 저가에 좋은품질 로 많은 사랑을 받는 

마우스패드 KTEC 광마우스 전용 청 바지 패드 (2,000) 추천해 드릴게요.


케이스는 케이스만 따로 혹은 케이스에 파워서플라이까지 붙어있는경우가 있는데 케이스에 파워가 붙어있는경우가 더 저렴하고 싸게 먹힌다고나 할까요? 하지만 기능은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요즘은 따로따로 하는 추세입니다.

일단은 디자인을 직접 보시고 구입하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실용성만을 따진다면!

GMC H60 (풍) (40,000) 을 추천해 드리고 싶네요.(파워미포함)

제가 최저가에 나름대로 괜찮다고 생각하는(디자인쪽이나 성능)제품은  

월드컴퓨터산업 Omega M304 에어가이드 (오메가300W) (30,000) 괜찮아 보입니다. 파워포함되어있어 따로 구입하실 필요 없습니다.

 

파워서플라이는 전압크기와 안정성등때문에 상당히 다른부품의 수명등과도 관계가 있기 때문에 요즘에는 많이 중요시 합니다. 요즘보통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 PS- 325Plus (29,000)

Heroichi HEC-300AR- T (26,000) 이 정도 제품이면 충분하구요.

오버클럭에 관심있다 혹은 정말 넉넉하게 사용하고 싶다 하시면

ENERMAX EG365P-VE (FMA-R) (68,000)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 PS-400AP (51,000)

을 추천하고 싶네요 (300이상이 권장파워예요.)

 
모니터의 경우 17인치 LCD는 정말 추천할만한 제품이 있는데 파워렙 PL-17D (DVI) 블랙 (275,000) 이제품 성능도 정말 좋고 AS도 정말 좋더군요. 그리고 제품 게시판 가시면 많은 정보 얻으실 수 있을것 같습니다. 제가 지금 사용중이며 정말 추천해 드릴만한 제품입니다.


 

다른 자세한 사항은 WWW.DANAWA.CO.KR   에서 확인하시구요.

 

매장마다 가격이 다르니 서로 비교해 보시구요. cpu,ram 중고 매입상도 있으니 쓰시던 부품 파시면 어느정도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이상 허접하면서 길기만한; 답변이였구요. 끝까지 읽어주셨다면 정말 감사드립니다. 질문자님 개인과 그 주변 모든일들이 잘되시고 한단계,두단계 더 발전하시는 한해 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앞으로 행복하신일만 있으시고요. 즐거운 쇼핑하세요.

 

컴터 80~100만원대에 LCD모니터까지...

... 80~100만원대에 게임하는데 가장 효율적이면서 LCD모니터까지 구입할수 있는 법좀..;; LCD까지는 무리일까;;쩝.... 어쨌든 게임하는데 적합한 80~100만원대에 컴터 사양...

컴터를 하나 구입하려는데 조언 좀...

... 가장 효율적인 컴터 구입을 하려는데요, 최대 70만원대... LCD모니터로 바꿔서 조금 오바 됐습니다. 질문자님의 경우엔 80~90만원대(모니터포함) 조립으로 가능합니다....

컴터고수님들 봐주십시요 ^^내공 80드림

... 게임,영화저장 에 쓸려고합니다. 파티션은 c: d: 2개로 구성하고 레이드 몇으로 잡아야지 가장효율적으로 사용할수있나 요? 4. 모니터는 24인치 lcd 를 메인보니터로...

어떤 컴터를 사야할까요?

... LCD 모니터의 가격이 40만원대 초반에서 100만원대까지 다양합니다. 190만원짜리 하나하고 300만원짜리 하나도 보이더군요. 하지면 이런곳에서 컴터...

컴터 고수님~!!! 그리고 노트북에대해...

... (60이나 80이면 더 좋고)그리고 하드 디스크가 빠른것 모니터 LCD 15`이상 좋은 그래픽카드 그리고 콤보 또 여러가지 좋은 기능.. 일단.. 노트북으로 게임을 즐기시겠다는...

3d작업 및 그래픽작업에 쓸만한 컴퓨터..

... 게임은 건드리지 않습니다. only for graphic.. 다중 작업이 가능했으면 합니다. 모니터 두개를 놓고 쓰려고요.... 이상이고 100만원대 전문가용 카드 보다는 위의...

조립식 컴퓨터 구입할려합니다

... 본체 80만원에 모니터 Fantasy-L1900R 을 320000원에... 조립식으로 구입한다해도 컴터는 기본적인 프로그램인... 제품이 효율적이고 좋은지 컴터 문외한으로써 판단이...

컴퓨터사양 좀 추천해주세요(내공80)

... 피시를 구입해 볼까합니다. 사용용도 : 인터넷 검색, 프로그램(C++), 워드, 가끔 겜 가장 효율적으로 컴퓨터... 모니터는 17"완평정도만 하셔도 될듯..(완평, 완전평면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