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립pc를 하나 만들려고하는데요..

조립pc를 하나 만들려고하는데요..

작성일 2005.01.2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이번에 조립pc를 하나만들려고하는데여..

지금쓰고있는컴퓨터가 팬3 128RAM 좀 그렇져? 2000년에 산거라..

이번에 게임그래픽을 공부할려고 하다보니..

3DMAX,일러,포토등 작업을해야하거든여..

그래픽작업도 해야되고..게임이나..애니메이션도 자주봐서

보충을해야하거든여...지금가진돈이 대략60~70만원선이구여

본체만 조립할경우...저 가격으로

마출수있는 최고의컴퓨터좀 셋팅해주셨으면 합니다..

그럼 답변기다리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조립완제품을 해 주는 사이트와 매장은 추천해 드리고 싶지 않으며 특히 이런 매장중 팝x포x, 아x컴 등 (실제 매장 이름공개하면 그 매장에 피해가 갈 수 있으니...) 이런곳들은 AS도 엉망인데다가 컴퓨터 부품간의 조합도 생각하지 않아서 잘 망가지거나, 성능이 저하되는등의 현상이 나오고 교환을 위해서 택배비를 소비자가 집접 지불해야 하고, 스피커 하나 교환하는데 6주가 걸렸다는 소리도 있죠. 그래서 이런 곳들은 안좋은 평이 지배적이고 그것을 무마시키기 위해 이 매장에서 알바를 고용해서 그에 반박하는 내용을 인터넷상으로 유포하는가 하면 에서도 얌x퓨터 경우 불법광고를 상습적으로 하고 있죠.

  

그래서 조립을 하시되 조립완제품은 절대 비추이고 부품을 구하셔서 구입하신 매장에서 조립을 부탁하시거나 아시는분께 부탁을 하는것을 추천하고 조립완제품은 절대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조립완제품을 생각하신다면 차라리 브랜드 제품을 추천하고 싶어요.

 

요즘은 완전히 모르셔도 윈도우만 깔려있고 인터넷만 되는 컴퓨터(xp깔았다면 인터넷 선 연결시 자동으로 인터넷 접속가능)라면 사용하실수 있고 MS오피스나 다른 여러프로그램은 잘 쓰시지 않으며 쉽게 구할수 있고 조립을 매장에 맞기시는 경우(조립비 2만원에 윈도우까지 깔아준답니다.)가 많기 때문에 조립을 많이 하는 추세이며 직접 조립을 하시거나 인맥을 많이 동원하고 계시죠. (저도 아시는분들 컴퓨터는 제가 담당합니다;;;

 

사기 안당하시려면 매장에서 파시는분이 이거 좋아요! 하면 아 그래요? 저건 어때요? 이런식의 대화는 절대 하지 마세요. 안그러는곳도 많지만 사기쳐 먹는곳 굉장히 많습니다. www.danawa.co.kr 에서 왼쪽에 보면 가상온라인견적서 부분에 들어가셔서 제가 추천한 부품을 선택하신뒤 평균최저가 매장을 찾아서(현금동일가와 카드로 했을때 다릅니다.)그 매장의 사이트나 그매장에 전화를 걸어서 먼저 주문을 하세요. 직접 찾아갔을때는 앞에서 말한대로 하시지 말고 딱부러지게 구입하실 부품만 말씀하시고 조립 맞기실 경우 윈도우 xp프로페셔날 로 깔아주세요. 라고 말씀하세요. 그리고 구입하실 때 이거 좋죠? 등 제품성능이나 가격에 관한것은 절대 물어보시지 마세요. 물어본다는것은 잘 모른다는것을 뜻하니 그쪽에서 바로 사기칠 가능성이 있으니까요. 이정도만 하시면 그쪽에서 사기칠 생각은 못할거예요.

 

매장추천은 하지 않겠습니다. 부품추천은 괜찮지만 매장추천을 전에 해드렸다가 10일간 자격정지 먹고 답변답변확정 점수도 모두 빼았겼던 터라 말씀은 못드리겠네요.  그리고 딱히 추천할만한 매장도 없네요; (고만고만해서... 그래도 좋게 싸게 해주는 매장이 있긴 하죠. )

 

부품추천을 해 드리겠습니다. 저는 가격대비 성능비를 엄청나게 따지기 때문에 최고의 가격대비 성능비로 추천을 해 드리겠습니다. 제품 호환성도 고려를 했구요.  제품추천을 하면서 그 부품의 대한 정보도 섞어가면서 추천을 해 드리겠구요. 각 부품마다 클릭하시면 부품의 스펙,정보를 보실수 있습니다.(다나와) 옆에 가격은 다나와(주로 용산 전자상가)최저가 입니다. 평균가는 최저가 보다 약간 높습니다. 저 가격대로 하시려면 좀 힘듬니다.

 

CPU cpu란 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의 약자로서 사람의 뇌와 같은 기능을 하는 부품이죠. 사람도 머리가 좋아야 일을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컴퓨터도 "펜티엄4 몇이에요?" 라는 질문을 하시고는 하죠. 여기서 말씀드리고 싶은것은 CPU는 펜티엄4만 있는것도 아니고 펜티엄4만 무조건 좋은것이 절대 아닙니다. CPU는 아무나 만들수 없죠. 만드는 회사가 크게 2개 있습니다. INTEL 과 AMD이죠. INTEL은 그 유명한 펜티엄시리즈를 대표상품으로, AMD는 애슬론(애슬론64,바톤,셈프론 등이 모두 애슬론에 포함됩니다.)이라는 시리즈로 대표하죠. 보통 잘 모르시는 분들은 인텔의 펜티엄만 찾으시는데 저는 AMD쪽으로 추천을 하고 싶습니다.

 

장단점 서로 비교해가면서 말을해보면 INTEL은 브랜드네임이죠. 펜티엄하면 어르신들도 대부분 아실정도로 유명하죠. 그리고 비교적 안정적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노트북 쪽으로는 강세를 보이고 있죠. AMD는 뛰어난 가격대비성능비를 자랑합니다. 비슷한 제품의 INTEL제품이 20만원이면 AMD제품은 15만원 정도 ... 약 1.2~2배정도 차이가 납니다. 또 오버클럭에 더 좋습니다. 오버클럭이란 펜티엄4 2.4 할때 저 2.4란 클럭 숫자로서 높으면 높을수록 좋다는것은 아실겁니다. 이 숫자를 높여주는것인데 그 올라가는 폭이 높고, 전력소모가 적고 안정적일수록 오버클럭에 좋다고 하는것인데 상대적으로 오버클럭에 좋고, 오버클럭용 CPU로 불리우는 cpu도 있지요. (바톤 2500+경우 손쉽게 3200+로 오버클럭이 되었기 때문에 상당히 인기가 많았었죠. 지금은 너무 큰 오버클럭폭으로 인해 단종되었어요.) 그리고 게임에 능합니다.3DNow!™ Professional technology 라는 기술을 사용하였기 때문이죠.

 

현재 대세는 AMD라고 생각됩니다. 예전에는 AMD가 INTEL의 성능에 따라가지 못햇는데 현재는 비슷한수준 혹은 그 이상을 내는 cpu도 나온 상황이며 가격대비 성능비가 좋기 때문에 약 60% 이상이 AMD쪽으로 구입하시고 있습니다.

 

구입하시기 전에 상품명에 쓰인숫자들을 설명하자면

INTEL

1. 펜티엄4    2. 노스우드  3.   3.0c

1.번은 펜티엄4라는 종류라는 것이죠.

2.코어는 같은 cpu종류 (펜티엄4, 애슬론)라도 서로 다른데 펜티엄4는 3개가 나온상태입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안정적이면서 인기가 많고 가격대비 성능비가 괜찮은 노스우드라는 코어를 사용했다는 것이고.

3. 3.0은 클럭을 말하는 것이죠.인텔은 클럭중심의 cpu성능을 보여주기 때문에 클럭이란 것을 상품명에 붙인것입니다.

 

AMD

1. 애슬론64  2. 윈체스터 3.  3000+

1.펜티엄도 펜티엄3와 4등 이 있는것처럼 애슬론도 셈프론,바톤,애슬론64등으로 나뉩니다. 좋은순서로는 셈프론2.역시 코어이름을 나타낸 것인데 애슬론 64중에 윈체스터라는 코어이름입니다.

3.3000+란 INTEL의 펜티엄이라는 무기가 너무 깊숙히 박혀있기 때문에 이것과 비교하여 나타낸 상표명이죠. 인텔은 클럭중심이라면 AMD는 그 외 다른부분에(캐쉬,전압,명령어등)더 좋게 하여 실클럭이 1.8인 cpu도 인텔의 펜티엄의 3.0과 비슷한 성능을 나타낸다고 하여 인텔과 비교하는 식으로 3000+라고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것도 잘아셔야 하는것이 INTEL과 AMD제품중 서로 라이벌제품과 비슷한 성능을 낸다는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펜티엄3vs듀론    셀러론D,펜티엄4윌라멧vs셈프론  펜티엄4노스우드,프레스캇vs 바톤, 애슬론64  등등)

 

CPU 추천제품으로는 AMD 애슬론64 뉴캐슬 2800+(143,000)입니다. 현재 AMD에서 가장 밀고있는 애슬론64 이며 가격대비성능비가 매우 뛰어나며 오버클럭도 잘되어 인기가 많죠. 애슬론64로는 뉴캐슬과 윈체스터가 있는데 뉴캐슬중에 막내둥이로 AMD는 차후 윈체스터가 사용중인 939핀쪽으로(뉴캐슬:754핀)주력한다는 말이 있어서 차후 업그레이드에는 별로이지만 현재 구입하시기에는 가장적당하다고 생각되는 CPU입니다. 가격은 펜티엄4 2.4 노스우드보다 2만원 저렴한데 성능은 펜티엄4 3.0과도 비교될 정도로 뛰어난 가격대비 성능비를 가지고 있죠.

 

메인보드는 사람으로 치면 얼굴과 몸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머리가 좋아도 얼굴이 못생겼거나 몸이 약하면 좋지 않죠. 그래서 메인보드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부품조합문제도 대부분 메인보드와 관련있기 때문에 다른부품은 메인보드와 조합이 잘되는 것으로 구입하셔야 하구요. 중요한것은 제조회사와 칩셋이니 그것을 잘 보셔야 합니다. 그리고 램과 하드,VGA의 연결방식이 지원하는지 지원하지 않는지 등등 보셔야 합니다.

 

메인보드 좋은회사로는 3A(ASUS,ABIT,Asrock)와 GigaByte 가 인정받는 회사이죠. 그리고 칩셋은 종류별로 평판이 다른데 워낙 많은 종류가 있고 CPU에 맞게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시는 CPU에 맞게 구입하시는 것이 좋겠죠. 그래도 대표적인 칩셋은 ALI, Sis, nForce, VIA 가 있고 인텔만 지원하는 인텔칩셋도 따로 있습니다.

 

메인보드 추천제품은 ASUS K8N 디지탈그린텍(98,000) Chaintech VNF3-250 (Zenith Value)(81,000) 이 괜찮습니다. 모두 뛰어난 가격대비 성능비를 자랑하는 nVidia nForce3 250 칩셋을 사용하였습니다. ASUS는 뛰어난 안정성과 Chaintech은 가격대비 성능비가 더 좋은듯 싶습니다.

 

RAM은 cpu에서 정보를 처리하기전에 램에 임시로 기억을 해 둔뒤 처리를 하는것으로 램 용량이 클수록,  대역폭이 높을수록 좋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최근에는 256MB,512MB,1024MB(1GB)를 주로 사용합니다. 램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 삼성과 하이닉스가 대표적인 우리나라 회사이죠. 그래서 저는 이 두회사 제품을 추천하고 싶어요. 일단 삼성은 안정성과 브랜드네임 팔때 더 좋은 가격으로 받으실 수 있고 하이닉스는 좀더 나은 속도와 가격을 장점으로 생각합니다.  램은 특히 환율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환율이 내려갈수록 램값도 비슷하게 떨어진다고 생각하지면 됩니다.

DDR 삼성 512M PC3200(80,000) DDR 삼성 256M PC3200(38,000) 

DDR 하이닉스 512M PC3200(79,000) DDR 하이닉스 256M PC3200(38,000)

가격변화가 많기 때문에 어느정도 다를수는 있습니다.

 

구입하실때는 반드시 pc3200(대역폭을 뜻함)으로 구입하세요. 나중을 위해서라도 좋습니다. 대역폭에 대해서 말씀드리면 설명이 너무 길어지니 대역폭은 높을수록 좋다고 기억해두세요.

 

그리고 현재는 DDR SD램 (그냥 DDR램이라고 불립니다.)을 사용합니다. 약2~3년전만해도 SD램을 사용하는 컴퓨터가 많았기 때문에 아직도 SD램을 쓰시는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생산이 중단되었고 떨어지는성능(Double Data Rate 의 DDR은 같은 용량일때 SD램보다 2배성능이 좋습니다.)때문에 아직도 구입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가격이 비싼편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팔때 좋습니다. 중고 256MB SD램을 파시면 새 DDR 256MB를 구입하고도 돈이 남을정도로 가격차이가 있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VGA는 Video Graphics Adapter 의 줄임말로써 흔히 그래픽카드 라고도 합니다. 영상쪽과 게임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품이기 때문에 신경써주셔야 합니다. 보통 VGA는 ATI와 GeForce로 나뉘는데 예전에는 ATI는 동영상에좋고, GeForce는 게임에 좋다고 하는데 지금상황에서는 서로 비슷비슷한 성능으로 지금은 많이 평준화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VGA는 ATI 와 GeForce 로 나뉘며 그중에서도 시리즈가 있고 cpu처럼 성능을 숫자로 비유하였죠. 그리고 메인보드처럼 제조회사에 따라서 부가성능도 굉장히 중요한데 EVERTOP 이엠텍 기가바이트 등의 회사는 그래픽카드로 좋기로 알려진 회사죠.

 

VGA 추천하고 싶은 제품은 중가대와 저가대로 말씀드리자면 중가대로는 ATI Radeon 9550 EVERTOP Saint EX(100,000)   GeForceFX 5700V EVERTOP Saint EX 128M(100,000) 입니다. 현재 가장 뛰어난 가격대비성능비와 인기를 얻고 있는 ATI라데온 9550,지포스FX5700칩셋을 사용하였고 그중에서도 가격과 성능, AS등 을 인정받고있는 EVERTOP제품이고 인기도 가장 많은 제품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엔포스 칩셋은 엔비디아칩셋으로 지포스칩셋의 제조회사입니다. 그래서 호환성이 좋죠. 지포스쪽으로 하는것도 괜찮기는 하나 두 제품의 색감차이는 있다고 생각됩니다. 더 좋은 색감을 원하신다면 라데온쪽으로 하시는것도 좋다고 생각되네요. 제 성능이 잘 안나오거나 다운되는 일이 잦으면 교환하시는것도 고려해 보세요.

저가제품으로는 GeForceFX 5200 FORSA 128M 128bit(57,000) 실패작이라는 말도 있지만 그래도 가격대비성능비 괜찮은 지포스FX5200 칩셋을 장착하였고 저가 제품중에서는 원래 말이 많고 탈도 많은게 VGA인데 이제품은 좀 괜찮은것 같아요. 가격도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HDD는 Hard Disk Drive 의 약자로 흔히 하드라고 하죠. 하드는 용량(MB)도 중요하기는 하지만 진정한 성능은 읽는속도(rpm)에 따라 다릅니다. 현재 7200rpm이 보편적이고 그 이하는 렉이 심하거나 성능이 많이 차이날 수 있습니다. 다른거 중고 사용하실때 하드는 새거 사용하시는것을 추천하고 싶어요. 그리고 하드는 연결방식에 따라 IDE, S-ATA, SCSI 정도로 나뉘는데 보편적인것이 IDE이며 S-ATA는 장점도 좀 있지만 아직은 사용하시는 분이 적고 SCSI는 읽는속도가 7200rpm정도가 한계인 IDE를 대체할 연결방식으로 보입니다. 지금 보통 10000rpm일 정도입니다. 하지만 아직 초기단계라 가격이 비싸고 보편화 되지는 않았습니다.

 

HDD 가장 보편적인 80GB는 성능에서 인정받은 두회사 삼성과 시게이트 추천하고 싶네요.

Seagate 80G 7200rpm (7200.7) 정품(57,000) 삼성 80G 7200rpm 정품(62,000)

좋더 큰 용량을 원하신다면 가격대비용량비(?)가 좋은 160GB쪽으로 추천하고 싶어요.

Seagate 160G 7200rpm (7200.7) 정품 (8MB)(99,000) 삼성 160G 7200rpm 8M 정품(100,000)

 

5대 중요 부품을 추천해 드렸어요. 그외에 케이스와 파워서플라이만 제외하고는 필수부품은 아니지요. 이제 이 나머지 부품들도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케이스는 사람으로 비유하면 살과 옷과 같아서 예쁘게 해준다면 좋겠지만 별로 신경 안써주셔도 됩니다. 하지만 케이스도 안쪽 쇠붙이들의 강한정도라던가 통풍정도라던가 따져봐야 할게 있지만 요즘에는 대부분 괜찮게 나오기 때문에 디자인만 보시고 사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또한 케이스는 파워서플라이를 포함하는것이 있고 포함하지 않고 케이스만 따로 있는것이 있는데 요즘은 케이스따로 파워서플라이따로 구입하는 추세입니다만 저렴하게 하고 싶으시다면 같이 붙어 있는것을 고르시는게 좋습니다.

 

파워서플라이는 사람의 심장과 같이 에너지를 공급하는것인데 파워가 약하면 충분히 전기 공급이 되지 않아 부품수명이 짧아진다던가 파워가 나가버리는 수가 있습니다. 좋은 파워는 꾸준히 똑같은 전압을 전달하는것을 우선으로 하는데 제조회사마다 인정받는 회사가 있고 (최고성능: 안텍,에너맥스 가격대비성능비:스파클,히로히찌,스카이디지털등) 일명 묻지마 파워라고 불리우는 이름없는 파워는 이런 전압의 출렁임이 심해져서 부품의 수명이나 성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파워도 좋은거 써주시면 좋습니다.

  

케이스는 직접보시고 하시는것을 추천해 드리지만 가장 저렴한 가격대로 파워도 괜찮다고 생각되는 제품은 월드컴퓨터산업 Omega M304 에어가이드 (오메가300W)(30,000) 을 추천하고 싶어요. 검정색이라서 때도 잘 타지 않고 심플해 보입니다.

 

파워서플라이 따로하실 때 파워서플라이쪽으로 떠오르는 회사인 스카이디지털로 추천해 드리고 싶어요. 중저가 가격대로는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 PS-325Plus(29,000)  그 이상이라면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 PS-400AP(51,000) 추천해 드리고 싶네요. 극 오버클럭이나 아주 많은 부품을 달지 않은이상 400으로도 충분하시라 생각됩니다.

 

ODD는 cd-rom 이나 cd-rw,dvd-rom 같은것을 말하는것으로 현재는 CD에서 DVD쪽으로 넘어가려는 상황이지만 아직도 CD가 훨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ODD는 중요 부품이 아니라서 예전에 쓰시던 것이나 중고부품 사용하셔도 괜찮지만 새로 구입하신다면 요즘 많이들 쓰시는 COMBO를 추천해 드리고 싶어요. cd-rw 기능에 dvd-rom 기능이 같이 있는 부품으로 그냥 cd-rw와 1만원 차이밖에 나지 않기 때문에 많이 구입하시죠.  대표적인 국내기업 LG와 삼성으로 추천하자면 COMBO LG 52X GCC-4521B 블랙(48,000)

COMBO 삼성 52X TS-H492A/KRBF 블랙(44,000) 괜찮은것 같아요. 검정색으로 추천해 드렸습니다. 케이스도 검정색으로 추천해드린만큼 ODD도 검정색이 어울리죠. 그리고 일반 제품은 흰색이나 회색으로 왠지 칙칙해 보이고 시간이 지나면 누리끼리 해지고 때도 잘타죠. 그에 비해 검정색은 그럴염려가 없고 심플해 보여서 요즘 많이들 하시더라구요. 그냥 cd-rom은 약2만원 cd-rw 는 약3만5천원정도 합니다.

 

FDD는 Floppy Disk Drive 의 약자로 디스켓 넣는곳이라고 간단하게 말씀드릴수 있죠.  중요부품이 아니고 좋은 성능을 발휘하는것도 아니고 최근에는 잘 쓰이지 않기 때문에 아예 맞추지 않거나 그냥 중고나 쓰시던것 계속 쓰시던 분이 많더군요.

 

FDD추천으로는 FDD 삼성 1.44MB 3.5인치 블랙(9,000)이 가장 보편적이죠.

 

주변부품을 추천해 보자면 키보드,마우스,스피커(사운드카드),랜카드, 모니터 추천해 드릴게요.

 

키보드는 솔찍히 키감과 디자인 많이 따지시지 않는다면 아무거나 사용하셔도 괜찮습니다. 게임용으로 굉장히 좋은 키감으로 알려진 삼성전기 DT-35 블랙(13,000) 을 추천해 드리고 싶어요.

 

마우스는 일반용과 게임저가용, 게임중고가용으로 추천해 드리면 일반용은 삼성전기 Optical SMOP5000WX-BK(9,000) 게임저가용은 KTEC Optical KTM-3212 C형(8,000) 게임중고가용은  로지텍 MX310 컴웨어(30,000) 추천합니다. 마우스 패드는 마우스패드 KTEC 광마우스 전용 청바지 패드(2,000) 정도만 해주셔도 쓸만합니다. 3제품 모두 블랙계열입니다.

 

스피커는 요즘 많이 쓰이는 2.1채널과 5.1채널을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2.1채널은 스피커 Britz BR-1100(14,000)    5.1채널은 스피커 Creative INSPiRE 5.1 5100(45,000)  

이 제품들이 가격대비 성능비가 가장좋다고 알려진 제품들이죠. 두제품다 블랙입니다.

 

사운드카드는 메인보드에 내장사운드카드가 달려있기 때문에 따로 구입하실 필요는 없으나 내장사운드카드는 질이 낮고 불량율이 높기 때문에 좋은 음질로 듣고 싶으시다면

Creative SB Live 24bit 7.1 JCHyun(41,000) 추천해 드리고 싶어요. 사운드관련 쪽은 Creative가 강세이죠.

 

랜카드 역시 내장이라 따로구입하실 필요는 없으나 랜카드는 따로 구입하시는것을 추천해 드리고 싶어요. 내장랜카드는 컴퓨터 성능에 어느정도 영향을 주거든요. 랜카드 REALTEK 10M/100M PCI(4,000) 보편적이고 저렴하기 때문에 하나 하시는것을 추천하고 싶어요.

 

모니터는 LG와 삼성제품이 뛰어난 성능과 디자인등으로 많이 사랑받기는 하나 다른 제품들과 비교해보면 너무 큰 가격차이로 가격대비 성능비는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다른 회사 제품을 추천하고 싶어요.  

17인치 CTR 평면은

TGIC디지탈 TGIC-1700F   오리온정보통신 TopSync 779FS+   

PCBANK PBM-1720DF SUPER     대우루컴즈 DL 719FC  

블랙으로는 

Allinxmedia Pixel 17FS 블랙  오리온정보통신 TopSync 779FS+ 블랙

비슷비슷한지라 서로 비교해 보시고 구입하시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가격대는 12만원 가량합니다.

 

여기가 다나와 www.danawa.co.kr 이구요. 자세한 사항은 여기서 알아보세요. 이곳에 초보자 조립가이드도 있으니 한번 보시고 참고하세요.

 

그밖에 현재 사용중이신 컴퓨터 부품을 파실때는 다나와마켓을 추천해 드리고요. 시대가 지나 잘 팔리지 않는 CPU나 그래픽카드,메인보드 RAM등은 램중고매입사이트에서 파시는것도 괜찮습니다. (다나와 들어가보시면 광고 뜬답니다.)

 

설명이 너무 길어졌던것 같습니다. 하지만 비싼돈주고 구입하시는 컴퓨터이니 어느정도 지식은 갖추시고 구입하시라고 이렇게 많은 설명을 해 드리게되었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쓰느라 힘들었지만 읽어주시느라 고생하셨구요. 다 읽으시고 더 궁금하신것이나 모르는것,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은 쪽지 주시면 모자란 지식으로 나마 성심껏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올 새해에는 질문자님과 그 주변모든분들과 모든일이 잘되고 한층 발전해 나아가는 해가 되기를 기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조립pc를 하나 만들려고하는데요..

제가 이번에 조립pc를 하나만들려고하는데여.. 지금쓰고있는컴퓨터가 팬3 128RAM 좀 그렇져? 2000년에 산거라.. 이번에 게임그래픽을 공부할려고 하다보니.. 3DMAX,일러...

조립PC를만들려고하는데요...

... 조립PC라고하면은 본체를 전부 다만들려고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별로...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셔서 조립하시면, 충분히 만족하실 겁니다. 그리고 전에도 말씀...

제가 조립pc를 만들려고하는데.....

제가 조립pc를 만들려고 하는데요.ㅜㅜ 진짜 제가 초보자이거든요.. 게임은 서든,피파,던파,등 쫌 게임이 잘되고 엑셀이나 한글 2002이런 문서...

조립pc를 만들려고 하는데 도와주세요..

컴터를 하나 조립해서 살려고 하는데요 어떤 부품이 좋은지 잘몰라서... 삼성, 게일, 하이닉스제품중에 구입하시면 되요..pc3200짜리로요.. 메인보드는.. ABIT...

조립 pc 만들려고 하는데 추천...

... 이번에 조립PC 만들려고 합니다.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가격대가 빠졌네요...ㅎㅎㅎㅎ 저렴하게는 이정도만 되어도 될것.... 그래도.... UX는 클럭빨이니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