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파이 교재 추천

라즈베리파이 교재 추천

작성일 2020.02.2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제가 라즈베리파이를 혼자 공부해보려 하는데 어떤 교재를 사야할지 몰라서요....ㅎㅎ
시리얼통신과 PWM 서보제어를 중심적으로 공부하고싶은데
어떤 교재가 좋을까요?


#라즈베리파이 교재 #라즈베리파이 교재 추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pwm 서보제어는 아래 링크의 보드를 연결해서 사용하세요.

https://www.google.com/search?q=pca9685&source=lmns&bih=975&biw=1920&hl=en&ved=2ahUKEwiJnIrJ2P3nAhVUTZQKHXzuAa8Q_AUoAHoECAEQAA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교재로 한 권으로 딱 만들어질 수가 없는 분야입니다.

워낙 다양한 제품들이 존재하고 각 제품들에 따라 사용하는 방법이라든가 원리에 대한 이해가 상당히 깊은 분야입니다.

시리얼 통신은 라즈베리파이만의 고유한 기능이 아니라 모든 디바이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규격입니다.

그러므로 시리얼 통신에 대해 전문적으로 공부하시는 것은 매우 좋은 일이며, UART라는 장치가 핵심 하드웨어이고, 이것을 제어하는 일련의 프로그래밍이 각 개발언어마다 다양하게 기법들이 존재합니다.

현재 이더넷이나 LAN통신 조차도 RS422의 차동전압 시리얼통신에 기반을 둔 통신 방식입니다. 통신 신호와 전압과 물리적인 전도체의 거리와 저항 등으로 주변 신호에 의한 간섭등에 대한 물리적인 이해가 있다면 통신에 대해 아주 잘 개발할 수 있죠.

많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물리적 현상에 대한 이해가 전혀없이 BPS설정을 높게 잡으면 빠를거라고만 생각하는 무식함을 보이고 있습니다.

RS232관련 스펙이나 전원회로를 잘 보시면, GND가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서로 다른 전위차를 갖는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 누전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깁니다.

RS485나 RS422통신에 있어서는 차동전압으로 하기 때문에 이기종간의 전기적 신호는 훌륭하지만 역시나 기준 전압이 서로 차이가 나면 통신이 되지 않는 현상이 있습니다. 트랜스미터와 리시버를 사용하는 SN75176 칩의 고유 성능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펌웨어로 디바이스 제어를 개발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송수신 에러 검출을 위해서 패리티 채크만 하는 LRC 기법 부터, CRC16기법, LAN 통신시 하드웨어적으로 수해하고 있는 CRC32에 대해서도 수학적 이해는 못하더라도 검출율이 높아 CRC를 써야 한다는 정도는 이해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제가 앞서 나열한 LRC, CRC16, CRC32 용어들에 대해서 하나씩만 검색해 보더라도 그것을 이해하는데는 족히 한달씩은 걸릴만큼 깊이가 있는 지식들입니다.

시리얼통신이든 펄스든 전압이 차단되고 다시 인가될때 물리적 매체에는 저항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주파수가 높아질 수록 도달 거리가 짧아집니다. 예를 들어 9600BPS로 통신하는 경우 RS232통신은 15m 거리까지 무난 하다고 되어 있습니다. 19200BPS로 속도를 올리면 펄스의 폭이 1/2로 줄어들며, 이 거리는 절반으로 줄어든다고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변에 노이즈가 없는 상황에서 실험을 하면 수십 미터까지 무난하게 통신이 되므로 판매를 하여 현장에서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 심각한 문제입니다. 연구소에서 주변 노이즈가 전혀없이 좋은 품질로 검사하니 아무런 장애가 없던것히 현장에서는 주변의 낡은 세탁기, TV같은 제품들에서 인입되는 전력 노이즈등도 노이즈의 원인이 됩니다.

PWM의 경우엔 소프트웨어적으로 그 타이밍을 맞추기가 어려우므로 하드웨어로 제어칩이 제공되고 있어 PWM단자를 이용해서 해당 디바이스(모터)를 제어하는 원리 정도는 이해하고 있어야 하고요. 모터를 처음 기동할때 물리적으로 정지마찰이 높아서 저속으로 동작시키다가 고속으로 동작시키도록 하는 기법들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PWM 은 하드웨어기 지원해야 하므로 각 MCU나 PWM 장치들을 조절하는데 사용하는 Datasheet를 보시고 연구하셔야 합니다. 장치마다 초기화 하는 방법이라든가, 출력하는 출력양도 제각각이니 제어하고자 하는 디바이스가 무엇인지에 따라 증폭회로를 넣어야 하는 것인지등을 고려해야 하며, 이러한 아날로그적인 요소에 대해서는 많은 경험이나 경험자의 지식이 필요로 합니다.

PWM으로 제어를 시작하는 경우, 정지에서 저속으로 올리는 것은 무리없이 동작하지만. 정지에서 매우 빠른 고속으로 모터를 돌리고자 하는 경우 모터가 회전하지 않는 현상도 발생합니다. 단계적으로 가속도 계산으로 펄스를 단축시켜주어야 회전하는 물리적 존재의 가속력이 빨라지게 됩니다.

라즈베리파이 교재 추천

... 제가 라즈베리파이를 혼자 공부해보려 하는데 어떤 교재를 사야할지 몰라서요....ㅎㅎ 시리얼통신과 PWM 서보제어를 중심적으로 공부하고싶은데 어떤 교재가 좋을까요?...

라즈베리파이3 b+ 교재 추천...

... 교재를보며 차근차근 뭐가있고 뭐가 있는지 순서대로 배우고 싶어서요 ㅎㅎ 질문 & 추천 1. 라즈베리파이 3b+ 교재가 있다면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라즈베리파이 공부 시작해보려는데...

라즈베리파이 공부 시작해보려는데 뭘보고 해야할까요? 왠만한 인터넷강의 같은것도... 무료강의나 교재추천해주세요!! 프로젝트 하나 잡고 같이 서로서로 알려주면서...

로봇개발 c언어와 c++언어 예제 책추천

...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해서 남들이 짜놓은... 추천 부탁드립니다 로봇개발을 위한 예제를 배울 수 있는 C언어나 C++ 관련 책을 찾고 있군요 수업을 통한 교재...

간단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 라즈베리파이, 아두이노에 연결한 센서값을 웹페이지에서 볼 수 있게... 교재 추천 부탁드립니다. 교재에서 어느 파트를 봐야되는지 알려주세요~ 아니면 간단한 소스...

라즈베리 파이 리눅스 교재 추천

제가 이번에 소형 컴퓨터인 라즈베리 파이를 구입해서 한번 가지고 놀아보려고 하는데 리눅스를 알아야 하는거 같더라구요 그래서 말입니다 라즈베리 쓰기위해서 어떤 리눅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