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3 성능

갤럭시3 성능

작성일 2012.07.30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갤럭시3를 산 사람입니다

갤럭시를 처음으로 쓰는건데요(갤럭시 쓰시전 피쳐폰씀 스마트폰 안좋아해서 근데 고장나서)

갤럭시에 대해 하나도 모르겠어요

갤럭시3로 통크게 샀는데 유재석 처럼 보기만 하고 있네요

갤럭시3에대해 좀 알려주세요 성능 이런거

그리고 네이버 지식 들어가서 휴대폰 치고 질문하고 답변한거 보면

뭔말인지 모르겠는(진저브래드 같은것) 어렵게 설명해 주시지마시고

좀 쉽게 해주세여 부탁 임돠 빨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AP(Application Processor)

스마트폰도 컴퓨터입니다. 컴퓨터에는 CPU라고 하는 중요한 부품이 있습니다. 이 부품은 컴퓨터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일들이 처리되는 부품입니다. 이 부품으로 인해 컴퓨터의 속도가 좌우됩니다. 스마트폰에는 CPU대신에 AP라는 부품이 들어갑니다. 따라서, AP의 성능에 따라 휴대폰의 속도가 달라집니다. 

갤럭시 S3에는 엑시노스 4412라는 AP가 들어갑니다. 엑시노스 4412는 삼성에서 개발한 AP이고, 쿼드코어 AP입니다. 쿼드코어란 AP에 들어가는 핵심부품의 갯수를 의미합니다. AP가 일을 처리할때는 외부에서 일을 받아와 코어라는 부품을 사용해 일을 처리하게 됩니다. 코어라는 부품이 많으면 많을수록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는 일의 양이 많아집니다.




 
싱글코어(Single Core) - 코어가 1개 들어있는 AP
듀얼코어(Dual Core) - 코어가 2개 들어있는 AP
트리플코어(Triple Core) - 코어가 3개 들어있는 AP
쿼드코어(Quad Core) - 코어가 4개 들어있는 AP
헥사코어(Hexa Core) - 코어가 6개 들어있는 AP
옥타코어(Octa Core) - 코어가 8개 들어있는 AP

현재 모바일 특성상 헥사코어 AP이상은 개발되지 않고 있습니다.

 
 
2. 3G와 와이파이의 차이 

광고나 언론에서 2G, 3G, 4G 이라는 용어를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용어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의 세대를 말합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휴대폰에서 인터넷에 접속시켜 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품입니다. 인터넷에 접속하는 과정을 약간이라도 이해하면 3G, 4G, 와이파이와의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휴대폰으로 라는 사이트에 들어간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네트워크나 서버에 대해 자세히 파고드는 것이 아니니 약간의 과정이 생략된다고 뭐라고 따지지 마세요. 

휴대폰에서 라는 사이트에 들어가려면 서버로부터 여러가지 파일들을 다운로드 받아와야 합니다. (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사용자 편의를 위해 휴대폰이 알아서 다운로드 받아주니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휴대폰에서 서버라고 부르는 엄청 비싼 컴퓨터에 필요한 파일을 다운로드 하기 위해 요청을 합니다. 그런데 휴대폰에선 서버라고 부르는 엄청 비싼 컴퓨터로 바로 요청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라는 사이트에 들어가려면 www.naver.com 이라는 주소를 주소창에 입력하면 땡이지만, 우리의 컴퓨터와 휴대폰은 www.naver.com 이라는 주소로는 어디가 서버인지 알지 못합니다.

www.naver.com은 사용자가 사이트에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붙여준 이름일 뿐 실제 서버의 주소가 아닙니다. 택시 타고 목적지로 이동할 때 말하는 건물의 명칭과 실제 주소가 다른 것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우리가 휴대폰에 www.naver.com이라고 주소창에 입력하면 실제 주소인 IP주소를 알아내야 합니다.

서버가 있는 실제 주소인 IP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도와줄 무언가를 찾아야합니다. 도와줄 무언가가 있어야 실제 주소인 IP주소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세히 파고들면 과정이 복잡하지만 간략하게 축소를 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우리가 휴대폰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시켜줄 도움인은 통신사입니다. 통신사 서버가 있어야 휴대폰이 어디에 서버가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통신사 서버를 거치지 않으면 실제 IP주소를 알 수 없기 때문에 휴대폰이 어디 서버로 가야할 지 알 수 없습니다. 통신사 서버에서 서버의 IP주소를 받아오면 휴대폰은 곧바로 받아온 주소를 바탕으로 서버를 추적해서 알아냅니다. 서버의 위치를 알게되면 서버로 부터 필요한 정보를 다운로드를 받습니다.


 
서버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받아올 땐 서버에 요청할 때와 정반대의 방향으로 진행됩니다. 그런데 이 과정 중에서 어디에서 요금이 과금이 되냐면 


 
휴대폰과 통신사 사이에서 오가는 정보에 따라 요금이 매겨집니다. 인터넷에 들어갈 때마다 휴대폰에서 통신사로 요청하려면 서류 같은것이 필요할테니 서류 제출 하는데 드는 비용, 서버로 부터 다운로드 받아온 파일을 휴대폰에 전송시켜주는 비용이 부과됩니다.

데이터 요금이라고 보면 MB라는 단위를 자주 볼 수 있는데 MB는 Mega Byte의 줄임말로, 용량의 단위입니다. 서버로 부터 다운로드 받아온 파일의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데이터 용량에서 깎이게 됩니다.

현재 SK 44요금제에 가입한 상태며, 라는 사이트를 휴대폰에 띄우기 위해 10MB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라고 가정을 하면 44요금제는 500MB가 제공되며, 사이트를 띄우기 위해 10MB를 다운로드 받아야 하니, 라는 사이트를 띄우고 나서 남는 데이터 용량은 490MB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에 접속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 용량은 10MB를 넘기지 않습니다. 실제 용량은 1~2MB이며, 모바일 페이지는 0.2MB~0.3MB입니다.

와이파이는 위의 그림에 통신사 대신에 공유기로 교체된 것입니다. 


 
와이파이 요금은 공유기 사용자 마음대로 입니다. 그리고 와이파이는 통신사와 관련되는 부분이 전혀 없으므로, 개통이 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G는 유료, 와이파이는 무료입니다.

3G와 와이파이는 접속하는 방법외에 다른 차이가 있다면 수신거리입니다. 아래는 3G와 와이파이의 수신거리 차이를 간략하게 나타낸 그림입니다.


 
와이파이는 공유기를 중심으로 약 20~30M 거리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지만, 3G나 4G는 기지국을 중심으로 1km~2km에 해당하는 거리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3G나 4G는 군대군대 잘 깔려있어 전국 방방곡곡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지만, 와이파이는 군대군대 깔려있지 않을 뿐더러 공유기를 설치해도 그 근처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속도는 3G < 와이파이 = 4G 입니다. 


3.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운영체제는 휴대폰의 정상적인 실행을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모임입니다. 운영체제가 없으면 휴대폰이 켜지지도, 어플이 실행되지도 않습니다. 운영체제 종류에 따라 휴대폰의 속도, 어플 실행되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4. 안드로이드(Android)

안드로이드는 구글에서 개발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운영체제입니다. 개방적인 운영체제입니다. 개방적인 운영체제는 어플을 마음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어느 휴대폰에서도 안드로이드를 설치/실행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는 4.1 버전까지 제작되었습니다.

안드로이드는 개방적인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어느 회사에서도 운영체제 사용을 위해 비용 지불이 필요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운영체제 설치로 인한 비용이 줄어들어 휴대폰 단가가 줄어들 수 있으며 개조가 가능해 똑같은 부품에 똑같은 버전이라도 휴대폰에 따라 성능이 달라지게 됩니다. 삼성이나 LG는 안드로이드를 사용해 휴대폰을 만들지만 성능과 기능상 차이가 상당합니다. 또한, 휴대폰에 따라 실행되지않는 어플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의 버전별 별명은 간식이름으로, 알파벳 순입니다. 큰 차이점이 없으면 같은 이름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1.0, 1,1 - 별명 없음, 초창기 버전임.
1.5 - Cupcake
1.6 - Donut
2.0 - Eclair
2.1 - Eclair
2.2 - Froyo (Frozen Yogurt)
2.3 - Gingerbread
3.0 - Honeycomb
3.1 - Honeycomb
3.2 - Honeycomb
4.0 - Ice cream sandwich
4.1 - Jellybean

갤럭시 S3에는 안드로이드 4.0 Ice cream sandwich가 설치되어 있으며, 삼성에서 개조했습니다. 

5. 정전식 터치스크린

휴대폰에 사용되는 터치스크린은 두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감압식 터치스크린, 다른 하나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입니다.

감압식 터치스크린은 압력의 정도를 인식해 입력하는 방식으로 초창기 터치폰에서 널리 사용된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단순히 압력으로 터치를 인식하기 때문에 단가가 저렴하고 인식의 정확도가 높습니다. 하지만 화면의 질이 떨어지며 두 곳 이상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손가락을 벌려서 확대하는 그런 터치를 할 수 없습니다.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손가락에 흐르는 미세한 전류를 인식하는 방식입니다. 요즘에 나오는 거의 모든 휴대폰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미세한 전류를 인식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세게 누르지 않아도 인식할 수 있으며 두 곳 이상을 인식할 수 있어 손가락을 벌려서 확대하는 그런 터치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전식 방식의 특성으로 인해 좋은 화면을 사용할 수 있어 화질도 감압식에 비해 좋은 편입니다. 하지만 감압식에 비해서는 수준 높은 기술이기 때문에 값이 비싸고, 터치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편입니다.(그렇다고 완전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갤럭시 S3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6. AM 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갤럭시 S 시리즈에는 AM OLED라는 화면이 붙어 있습니다. 기존의 LCD 방식보다 발전된 방식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기존에 사용된 LCD는 패널, 백라이트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 방식을 간단하게 그림으로 표현하자면 

 

지식in이라는 글자를 띄우기 위해서는 패널에 지식in이라는 글자를 그리고 뒤에서 불빛을 쏘면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휴대폰 화면을 띄우게 되는데, 이 방식은 뒤에 있는 백라이트로 인해 부피가 늘어 슬림화에 불리합니다. 또한 패널이 고급이 아니면 화질도 좋지 못합니다. 

하지만 AM OLED는 백라이트가 없고 패널대신에 유기물 층이 존재합니다. 유기물 층에 전기만 흘려주면 화면이 표현됩니다. 
 
디스플레이로 인해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어 휴대폰을 더욱 더 얇게 만들 수 있고 LCD에선 패널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바로 빛을 내버리게 되어 색감도 좋고, 반응속도도 빠릅니다. 하지만 유기물층에 존재하는 유기물들이 능동적으로 빛을 내주는 덕분에 전기 소모가 큰 편이며 최첨단 기술이 적용 되어 가격도 비쌉니다. 그리고 아직도 초기 단계인지라 화면의 대형화가 쉽지 않으며 화면의 선명도 면에서는 LCD보다 떨어지고, 색감이 너무 과해 왜곡되는 현상도 생깁니다. 

갤럭시 S3에는 삼성에서 개발한 HD Super AM OLED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여태까지 나온 AM OLED 중에 제일 좋다고 보시면 됩니다. 

7. BSI(Back Side Illumination, 이면 조사 방식 센서)

사람이 물체를 보기 위해서 물체에서 반사되는 빛이 눈에 들어와야 하듯이 카메라로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빛을 필요합니다. 카메라의 구조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이미지 센서, 렌즈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리는 카메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간단하게 하는 것입니다. 


 

 
카메라 렌즈는 사람의 눈으로 따지면 각막과 같은 역할을 하고, 이미지 센서는 망막 또는 시신경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카메라는 렌즈가 좋을수록, 이미지 센서의 크기와 성능이 좋을수록, 카메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많을수록 좋은 품질의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휴대폰 카메라는 원가절감, 부피줄이기를 위해 렌즈와 이미지 센서의 크기가 보통 카메라보다 엄청 작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사진을 잘 찍어도 보통 카메라 보다 좋은 사진이 나올 수 없습니다. 그러다 이면 조사 센서라는 새로운 방식의 이미지 센서가 등장하게 되는데, 이 센서는 제작 과정을 기존의 방식과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제조해 똑같은 크기라도 더 많은 양의 빛을 받아들일 수 있어 좋은 품질의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됩니다.

갤럭시 S3에는 BSI 방식의 센서가 부착되어 있어 보다 나은 품질의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8. 화소 (Pixel)

모니터는 점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말을 과학시간에 들어본 적이 있을겁니다. 휴대폰 화면도 점으로 이루어져 있고, 카메라로 사진을 찍으면 그 사진또한 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화소는 사진을 이루는 점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많으면 많을수록 선명한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화소수가 높다고해서 사진이 무조건 좋게 나오지 않습니다. 화소수는 어디까지나 사진의 크기와 선명도만을 말합니다.

800만 화소의 카메라라도 렌즈나 이미지 센서가 좋지 않거나 빛의 양이 적다면 사진의 품질이 안좋게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9. 제로 셔터랙

사진을 찍으면 잠시 기다려야 했습니다. 카메라 이미지 센서가 받아들인 빛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갤럭시 S3는 셔터를 누르지마자 바로 사진이 저장되어 순식간에 많은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10.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통신)

NFC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어렸을적에 상상했던 휴대폰으로 자판기에 있는 음료수 뽑아먹기, 물건 사기 등 휴대폰을 가져다 대면 교통카드, 신용카드, 명함과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최근 NFC를 이용해 할 수 있는 일들이 점차 많아지게 되자 최근에 나오는 휴대폰들은 NFC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11.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PS나 GLONASS는 휴대폰 사용자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원리는 지구 궤도 상에 떠도는 위성들을 이용합니다. 

GPS 위성이나 GLONASS 위성은 지구 궤도에 돌고 있으며 각각 24개씩 돌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GPS나 GLONASS 기능을 켜고 지도를 띄우면 휴대폰에서 바로 위에 있는 위성과 교신을 합니다. GPS나 GLONASS가 바로 위에 있는 위성과 첫 번째 교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위성과 휴대폰 사이의 신호 시차를 이용해 삼각측량법으로 사용자 위치를 알게됩니다. 그림으로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정확한 위치를 알기 위해서는 최소 3개의 위성과 통신을 해야합니다. 바로 위에 위성이 있는지 없는지 휴대폰은 모르기 때문에 무작정 전파를 쏘고 봅니다. 그러다 전파가 잡히게 되면 그 위성과 통신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바로 위에 위성이 없을때 3대의 위성이 동시에 위에 지나갈때 까지 전파를 쏴야하며 3대의 위성과 통신에 성공하게 되는대까지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그래서 휴대폰에서는 미리 궤도상에 떠도는 위성의 위치 목록을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받아오게 됩니다. 요즘 스마트폰은 A-GPS라 하여 미리 목록을 받아오기 때문에 궤도상에 떠도는 위성과 바로 통신할 수 있게 됩니다. GPS 연결과정에서 매우 미세한 데이터가 소모될 수 있습니다. 

GPS나 GLONASS는 위성과의 통신이 필요한데, 땅으로부터 지구 궤도까지의 거리는 약 35,000 ~ 40,000km입니다. 전파가 오고가는 사이에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에 지구 궤도에서 전파를 쏘면 지상에선 아주 희미한 전파를 수신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야외에서 GPS나 GLONASS를 사용해야합니다. 지도 어플을 띄워보면 실내에선 오차가 1,000~2,000m라고 나오는데 지붕이 있는 건물에선 희미한 전파를 수신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통신사 기지국을 이용해 위치를 아주 대략적으로 잡아내게 됩니다. 

갤럭시 S3에는 GPS 통신만 하는것이 아니라 GLONASS 통신도 하기 때문에 GPS 위성이 없을 때는 GLONASS 위성으로 위치를 잡아낼 수 있고 둘 다 있으면 보다 정확하게 위치를 잡아낼 수 있습니다.

12. 부가 기능들

S-Voice: 말을 하면 휴대폰에서 알아먹고 자동으로 어플을 실행시키거나 알람을 맞추는 등 휴대폰을 개인비서처럼 쓸 수 있습니다. 

Smart Stay: 눈을 뜨면 휴대폰 화면이 켜지고 눈을 감으면 휴대폰 화면이 꺼집니다.

Pop up Play: 휴대폰 화면에 DMB나 동영상을 띄워놓은채로 다른 어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S Beam 또는 Android Beam: NFC를 가지고 있는 휴대폰끼리 갖다대면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Allshare: 동일한 Wi-Fi AP에 접속한 기기 끼리 정보를 주고 받거나 무선으로 휴대폰 화면을 대형 모니터나 TV에 띄울 수 있습니다.

13. 동기화(Synchronization)

갤럭시 S3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구글서버에 자동으로 저장되게 됩니다. 혹시 휴대폰이 고장나거나, 새로바꿨을때 정보를 손쉽게 새로운 휴대폰에 전달하거나 자동으로 복구하기 위해서 입니다. 그래서 갤럭시  S3를 사게되면 제일 먼저 구글계정을 휴대폰에 등록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그 계정은 휴대폰 자체를 안쓸때까지 기억하셔야 합니다.

이것 외에도 더 궁금하거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으면, 쪽지/1:1질문/의견란을 통해 질문을 주시면 최대한 빠르게 답변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그림이 살짝 허접하더라도 이해해 주세요 ㅜ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럼 쉽게 설명 들어갑니다 일단 우리나라 폰 중에서 가장 좋은성능을 가지고 있구요 다른폰과는달리 코어가 네개(컴퓨터로따지면머리)라서 속도가 아주빠르고요 어플을 실행시킬수있는 공간이 다른폰들의두배 입니다 음성인식기능도 추가가 됐구요 사진연속 촬영기능(20장),그리고 가장 중요한 운영체제는 아이스크림샌드위치를 장착했고 추가 지원이 쭉 이뤄질예정입니다이해가 돼셨나모르겠네요

갤럭시3 성능

... 있네요 갤럭시3에대해 좀 알려주세요 성능 이런거 그리고 네이버 지식 들어가서 휴대폰 치고 질문하고 답변한거 보면 뭔말인지 모르겠는(진저브래드 같은것) 어렵게...

갤럭시3 출시!!! 3G 냐??? 4G 냐????

... 이제 곧 있으면 갤럭시3가 출시된다네요!!! 언제 나올지는 미정이지만......무조건... 제 질문을 얘기하자면 1.다양한 3G / 4G 요금제 들중에서 가격대비 성능으로 어떤 것이...

아이폰5VS갤럭시3

... 살까생각했는데 성능이랑 앱스토어 퀄리티 떄문에 너무고민되요 좀해결해주세요 결론은 아이폰5VS갤럭시3에요 제발요 너무 고민이 되네요 답변드립니다....

갤럭시3, 갤럭시노트2, 아이폰5...

... 갤럭시 3, 갤노트2, 아이폰5, 옵티머스 g 성능 비교해서 뭐가 젤 나은지 판단해주세요! 뭐가 진짜 최고인가요? 그리고 해외등록 유심카드 넣어서 쓸수도...

갤럭시노트V갤럭시3

... 스마트폰을살라고합니다 지금갤럭시노트화이트(LTE)를살라니깐 다음달에 갤럭시3가... 성능면에선 거의 비슷하다고 하네요. 제 생각엔 실제로 옵뷰를 경험한 적은 없지만...

갤럭시3좋나요?

갤럭시3이좋나요?성능과장점과단점특징좀알려주세요 갤럭시3라는 기종은 없습니다. 유사기종으로 갤럭시S3와 갤럭시 노트3, 갤럭시 노트3네오가 있는데요, 그냥...

갤럭시3나올경우

갤럭시3나오면 노트랑2S랑가격많이 내려가겠죠 갤럭시s3가 나온다고해도 갤럭시s2 와... 가격이 내려가는건 시간이 지난뒤 성능이 현재나온 폰에비해 많이 뒤쳐졌다싶을때...

옵티머스뷰,갤럭시3

갤럭시3로 폰을 바꾸게 되엇는데용 옵티머스뷰가 좋나요 갤3가 좋나요?? 단순 성능만보자면 갤3이 더 좋습니다 옵뷰2도 아닌 옵뷰라면 더욱더 그렇죠 CPU는 갤3이...

옵티머스 G VS 갤럭시 3

재가 중학교 올라간다고 핸드폰을 사주신데요 그래서 재가 옵티머스 G랑 갤럭시 3 중에 살려하는데 아레의 질문에 맞게 답을해주세요 1. 성능은 뭐가더 좋은지.. 2. 핸드폰...

갤럭시 3 LTE 기계값+6.2요금제 24개월...

갤럭시 3 LTE를 사려고 하는데요 제가 오늘 대리점 가서 물어보니까 6.2요금제 쓰고... 성능은 월뜽한 쿼드코어일지라도 디스플레이 즉 화면크기를올리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