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인페와 usb마이크 차이 심한가요?

오인페와 usb마이크 차이 심한가요?

작성일 2021.02.1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이번에 홈레코딩 시작 해보려고 하는 학생입니다
지금은 fl studio 트라이얼 버전으로 헤드셋마이크로 녹음 계속 해보고 있는데 마이크랑 시퀀서를 사야할거 같아서요!

오인페는 거의 필수로 다 사용하시는것 같던데 오인페랑 마이크, 시퀀서까지 사야하면 비용이 너무 많이 나갈것 같아서요..

그래서 오인페 없이 ufo마이크 사서 바로 컴퓨터에 꽂아서 사용하려고 하는데 (헤드셋 마이크 보다는 훨 낫겠죠..?)
이렇게 되면 오인페 없을때랑 음질이라던가 차이가 심할까요?

차라리 나중을 생각해서라도 오인페까지 사는게 나을까요? 만약 다 사는게 낫다면 저렴한 장비들 추천부탁드려요
내공 300이에요 생초보라 구체적인 답변 부탁드립니다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잔드맨입니다.

질문자님께서 하시는 질문이 많이 올라오는 편이라서 잔드맨 블로그에 장황(?)하게 정리한 내용을 첨부하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답변을 먼저 드리자면

​USB 콘덴서 마이크보다, 오디오 인터페이스 +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 선택입니다.

참고로 USB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하시다가, 한계를 느껴서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갈아타려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애초에 구입할 때 여러가지를 잘 고려하셔서 구매하시는 것이 지갑을 위해 좋습니다.

​RODE사의 NT-USB나 NT-USB MINI 처럼 회로 구성이 잘 된 제품도 있지만

USB 콘덴서 마이크의 대부분은 회로가 아래 제품과 같은 경우가 대부분일 겁니다.

거의 헤드셋을 그냥 금속 기구물에 넣은 것인데요.

그러다보니까 보이스 채팅 정도는, 문제가 없지만, 무엇인가 음악 작업을 하려고 할 때 문제가 생깁니다.

소리를 크게 내면 깨져서 입력된다던지, 먹먹하게 입력되거나, 녹음을 하고 보니 자기 목소리가 아닌 것 같다던지...

보통 USB 콘덴서 마이크는 대량생산을 하고,

가격이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렉트릿 다이어프램을 사용하죠

But 보컬 녹음에 있어서는 일렉트릿 마이크보다는, 트루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sE사의 트루 콘덴서

트루 콘덴서 마이크는 DC 48V 전원을 금속판에 흘려서 소리를 수음하는 방식으로

보통 다이어프램을 수작업으로 생산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싼 것이 단점입니다.

물론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일렉트릿 마이크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요.

sE사의 X1A, 포커스라이트 CM25, 오디오테크니카 AT2020, LEWITT LCT240 PRO 같은 모델은 일렉트릿 마이크입니다만,

USB 콘덴서 마이크에 비해서 높은 전압으로 구동되며, 대체적으로 회로가 더 충실합니다.

참고로 일렛트릿 마이크는 보이스 더빙, 나레이션 녹음, 보이스 채팅 등에 적합하고 트루 콘덴서 마이크는 보컬 녹음에 더 적합합니다.

만약 노래를 하는 방송을 하신다면 트루 콘덴서 마이크가 더 좋구요.

그리고 트루 콘덴서 마이크는 대체적으로 일렉트릿 마이크에 비해서 감도가 우수합니다.

예를 들어 sE사의 일렉트릿 마이크인 X1A는 일렉트릿 마이크 중에서도

가장 높은 20mV/Pa를 가지지만 동사의 X1S는 30mV/Pa의 감도를 가집니다.

​보통 USB 콘덴서 마이크의 감도 스펙은 기록되지 않거나 있더라도 믿을 수 없는데

10mV/Pa ~ 15mV/Pa 정도로 추정되어지고 있습니다.

간혹 USB 콘덴서 마이크 중에서도 트루 콘덴서 방식의 제품이 있는데

이 경우도 48V가 아닌 5V에서 많으면 24V 정도로 동작하는 제품이 많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2019년 12월에서야 윈도우 10 USB 2.0 오디오 표준 드라이버를 만들었기 때문에,

지금 나오는 USB 마이크는 죄다 USB 1.1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USBAUDIO2.SYS 파일이 USB 2.0이라고 합니다만

대부분 USB 콘덴서 마이크는 USBAUDIO.SYS(USB 1.1)로 동작합니다.

별 차이가 없어보이기는 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전송량이 적고..

따라서 레이턴시가 크며(전체적인 스피드가 떨어지기 때문에 대기시간이 높습니다.)

16Bit 또는 최대 24Bit/48KHz 정도의 데이터를 1트랙 정도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인터넷 방송이라던지, MR을 불러와 더빙 정도 입히는 수준이면 상관이 없지만, 앞으로 어떤 작업을 어떻게 할지는 잘 모르는 것이기 때문에

가능하시면 USB 2.0 이상의 방식인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조합이 바람직한 것입니다.

* 참고로 : USB 협회에서는 USB 1.1이라는 낮은 전송 방식을 알려지는 것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USB 1.1은 USB Full Speed로, USB 2.0은 Hi-Speed로 부르고

현재는 그냥 USB 1.1이나 2.0이나 모두 USB라고만 표기를 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480Mbit/s 이면 수십~수백 트랙의 오디오 작업도 문제가 없기 때문에 USB 3.0까지는 필요치 않습니다.

오히려 3.0에서 별도 패치를 설치해야 하는 등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2021년 1월 기준)

​마이크는 매우 낮은 전류를 보내줍니다. 이를 받아서 증폭을 하는 장치가 마이크 프리 앰프(Microphone Preamplifier) 입니다.

디지털 영역이 아니라 아날로그 영역이기 때문에, 회사의 노하우가 많이 중요한 부분이죠.

실제로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회사 예를 들어 포커스라이트(Focusrite) 오디언트(Audient)등

회사들은 과거에 마이크 프리 앰프 등을 만드는 회사였습니다.

위는 오디언트사의 설명인데요 "역사적으로 가장 어려운 회로 블럭"이라고 마이크 프리 앰프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USB 콘덴서 마이크는 간단한 증폭 회로를 달지만,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상당히 복잡하며,

자사만의 노하우를 가지고 마이크 프리 앰프를 설계합니다.

물론 프로의 세계에서는 오디오인터페이스에 내장된 마이크 프리 앰프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마이크 프리를 사용하는 곳도 많을 정도입니다.

ASIO 드라이버는 독일의 스테인버그라는 회사에서 레코딩 프로그램을 만들 때

윈도우 사운드 시스템을 바이패스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드라이버입니다.

윈도우의 사운드 장치 드라이버 구조가 속도가 느린데다가, 실시간 작업을 하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죠.

음악 작업을 할 때 ASIO(오디오 스트리밍 인풋 아웃풋) 드라이버는 윈도우 환경에서 표준이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ASIO를 에뮬레이트 하는 여러가지 프로그램이 있지만 말그대대로 에뮬레이트(흉내)이구요.

보통 제대로 된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Native ASIO 드라이버를 지원합니다.

이는 FL STUDIO, CUBASE, CAKEWALK, PRO TOOLS 등 DAW에서 실시간 작업이 가능함을 의미하며,

방송에서도 DAW와 같이 활용하시면 리버브(에코), 오토튠 등 다양한 효과를 주어 방송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USB 콘덴서 마이크라고 해서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USB 콘덴서 마이크의 경우는 ASIO 드라이버를 지원하지 않거나,

지원하더라도 에뮬레이트 수준의 드라이버이기 때문에 차이가 많습니다. 게다가 USB 1.1이구요.

참고로 위와 같은 USB 1.1 MIXER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라고 하고 있지만 ASIO 드라이버를 지원하는 제품이 아니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이와 같이 약 5가지 이유로 인하여 USB 콘덴서 마이크 보다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콘덴서 마이크 조합을 추천드리며,

입문 레벨에서는 포커스라이트 스칼렛 2i2 또는 오디언트 EVO4 + sE사의 X1S 보컬팩(케이블 포함)을 추천드립니다.

나중에 필요 없어질 때 중고로 처분하시더라도 가격 방어가 잘 되는 제품입니다.

https://blog.naver.com/sound8949

Usb마이크 오인페다니나믹 마이크차이

... 가장 큰 차이점은 USb 마이크의 음질이 오인페와 다이내믹 마이크를 사용할때 훨씬 더 떨어집니다. 디지털에서 아날로그 시그널을 바꿔주는 컨버터란 파트에 따라 음질이...

rode nt usb 마이크 구매 오인페 추천

지금 쓰는 마이크가 삼손 미티어 usb 마이크고 홈레코딩을 오랫동안 하다가... 더 저렴하고 가성비 좋은 것도 좋아요~ 오인페를 사용하고 안 하고의 차이도 간단하게...

USB 마이크오인페 사용하는 마이크...

USB 마이크오인페 사용하는 마이크 차이점이 뭔가요?? 오인페 사용 유무는 오토바이와 자동차의 차이라고 보시면 이해가 빠릅니다. 오토바이는 값도 싸고 더 빠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