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씨어터 구축 관련 질문있습니다.^^

홈씨어터 구축 관련 질문있습니다.^^

작성일 2013.11.3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홈씨어터를 구성하려고 하는데, 이해가 잘 안되는 사항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내공 100요)
 글이 길어요...죄송합니다.~


 ㅇ 사용용도 : 영화감상 90%, 음악감상 10%

  - 영화관람시 컴퓨터파일 80%, DVD 디스크 20%

  - 음악감상을 위해서는 바스틴 + 온쿄 5VL + stella CDT 사용중

  - 현재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스수준 등을 고려하여 가격, 기능면에서 합리적으로 기기를 구성하고 
     싶으며, Hi-Fi가 별도로 있는 만큼 지나치게 좋은 음질 수준을 요구하는 것은 아닙니다.
     (귀가 그렇게 민감하지도 않아요)


 ㅇ 현재까지 구매 결정사항

  - 옵토마 HD25LV  (3D 감상 유리 - 별로 이견들이 없는 것 같군요)

  - 벡터 5.1ch (기존에 방치된 벡터10 1조를 활용하여, 벡터20, 벡터10 등 추가 구입하여 활용)

  - 스크린 그랑뷰 100 or 120 inch


 ㅇ 고민중인 사항

  - 한정된 예산하에, 블루레이 플레이어와 AV리시버 중 어디에 더 비중을 둘것인가

    (예시)

    - 1안 : 리시버 중시

     - (리시버) 온쿄 NR525(626) or 마란츠 1504(1604) 

     - (블루레이) LG 등 30만원 안쪽수준

     - (연결) 블루레이, 컴퓨터 - 리시버 - (영상) 프로젝터
.........................................................- (음성) 스피커

    - 2안 : 블루레이 플레이어 중시

     - (리시버) 야마하  v465 (친구꺼 20만원 수준 중고구매)

     - (블루레이) oppo 93 (103은 가격이 조금 부담이나 고민중)

     - (연결) 컴퓨터 - 블루레이 - (영상) 프로젝터 (컴퓨터-프로젝터 직결도 가능)
        .....        ㅣ        ㅣ      
        .....        ㅣ        ㅣ      
        .....         -------------- (음성) 스피커


 ㅇ 질문사항

   1. Full HD를 지원하는 프로젝터에서 2X, 4X 업스케일링 기능까지는 필요성이 약한 것 아닌가요?
      (향후의 쓰임새를 고려하지 않는다면요)

   2. 최근 경향상 블루레이 플레이어와 AV리시버 모두 각종 영상소스 지원기능 강화, 네트워크 
     기능강화가 이뤄지고 있는데, 기능상으로 볼때 중복이지 않나요?
      결국 각종 소스기기들을 둘 중 하나에 집약 연결시켜, 나머지 기기는 본래의 기능에 집중토록 
      하는 게 효율적이지 않나요? (비용문제를 고려한다면요)

   3. 제 생각이 맞다면, 블루레이 플레이어와 AV리시버 중 어디에 더 힘을 줘야 할까요? 
      (1안, 2안을 고려해서 답변 주시면 더 좋겠습니다.^^)

    - 블루레이 플레이어의 DVD 리더 기능만을 고려한다면, 대체로 컴퓨터 파일로 재생할 예정이므로
       AV에 힘주는게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다양한 소스간 네트워크 플레이 면에서는 리시버 중심으로 활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지 
      않을까요?  
      다만, oppo와 LG 영상의 질이 얼마나 차이날지는 경험이 없네요~

    - 한편으로는 AV리시버는 음향만을 담당토록 하고,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좋은 것을 쓰는게 낳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경우 AV리시버는 최신 제품을 굳이 구매할 필요성은 낮아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4. 더불어, 제가 Atom 450 넷북(11년도 제품) 안쓰는게 있는데요. 
       이걸로 동영상 재생 등에 무리가 없을지도 여쭤봅니다. 
       (Pc-Fi로는 써봤으나, AV용으로는 경험이 없네요)


 ㅇ 사실 제가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도 확신이 없습니다. 
      적나라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Full HD를 지원하는 프로젝터에서 2X, 4X 업스케일링 기능까지는 필요성이 약한 것 아닌가요?
      (향후의 쓰임새를 고려하지 않는다면요)

--> 아직은 시기 상조라고 봅니다. 4K 해상도가 지금의 풀HD처럼 대중화 되기 위해서는 빨라도 2-3년은 걸립니다. 이것은 TV나 디스플레이어의 이야기이고 소스기기의 경우 아직까지 규격이나 포맷조차 만들어 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유저가 대중적으로 즐기기 위해서는 4-5년이 걸린다고 보면 지금 장만한 리시버는 다시 세대교체를 할 시기가 됩니다. 

   2. 최근 경향상 블루레이 플레이어와 AV리시버 모두 각종 영상소스 지원기능 강화, 네트워크 
     기능강화가 이뤄지고 있는데, 기능상으로 볼때 중복이지 않나요?
      결국 각종 소스기기들을 둘 중 하나에 집약 연결시켜, 나머지 기기는 본래의 기능에 집중토록 
      하는 게 효율적이지 않나요? (비용문제를 고려한다면요)

--> 말씀하신 대로 원하는 기능만 있고 그에 맞춰 가격이 저렴해 진다면 가장 이상적 일 것 입니다. 보통은 AV리시버는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AV리시버에 기능을 집중시키고 블루레이는 트랜스포트 형태로 사용하시면 되는데 그런 제품이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 또한 내구성이나 성능상으로 우수한 제품을 찾다 보면 불필요한 기능들이 붙어있으면서 가격만 올라가는 형국이기 때문에 말씀하신 부분은 이론상으로는 맞는 말씀입니다만 현실적으로 입맛에 딱 맞는 제품을 구하시기는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만일 그런 제품이 있다면 뒤돌아 보지 말고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

   3. 제 생각이 맞다면, 블루레이 플레이어와 AV리시버 중 어디에 더 힘을 줘야 할까요? 
      (1안, 2안을 고려해서 답변 주시면 더 좋겠습니다.^^)

--> 가장 이상적인 매칭은 균등하게 배분하는 것 입니다. 중요한 것은 두 제품 모두 제품 주기가 비교적 빠른 모델들이기 때문에 평균 5년마다 한번씩 업그레이드를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술 변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가치가 현저하게 떨어집니다. 현재 자신이 필요한 기능이 갖춰져 있는지 확인해 보시고 그것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지를 가장 먼저 보시면 되겠습니다. 
기능적인 면에서는 AV리시버의 기능이 보다 충실하고 잘 되어 있는 편 입니다. 한곳으로 몰아주기를 해야 한다면 AV리시버 쪽을 들고 싶습니다. 

    - 블루레이 플레이어의 DVD 리더 기능만을 고려한다면, 대체로 컴퓨터 파일로 재생할 예정이므로
       AV에 힘주는게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다양한 소스간 네트워크 플레이 면에서는 리시버 중심으로 활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지 
      않을까요?  
      다만, oppo와 LG 영상의 질이 얼마나 차이날지는 경험이 없네요~

--> 블루레이는 과거 VHS와 같은 아나로그 매체와는 달리 저가형이라 하더라도 화질차이가 엄청나게 나지는 않습니다. 전원부나 노이즈 차단 설계 등에 따른 미세한 지글거림이나 색감의 깊이 정도의 차이인데 가격이 얼마가 되든지 간에 질이 낮은것은 용납하지 못하는 주의가 아니라면 저가형을 쓰시는것이 경제적이라 생각됩니다. 

    - 한편으로는 AV리시버는 음향만을 담당토록 하고,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좋은 것을 쓰는게 낳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경우 AV리시버는 최신 제품을 굳이 구매할 필요성은 낮아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두 제품 모두 제품주기가 짫은 편 입니다. 따라서 매칭으로 보나 뭐로 보나 균등하게 할당하시는것이 좋고 조금 차이를 두고 싶으시다면 AV리시버 쪽을 더 투자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블루레이 플레이어는 플스나 컴퓨터와 같은 다른 대안도 있습니다. 물론 편의성으 플레이어가 가장 좋습니다. 

   4. 더불어, 제가 Atom 450 넷북(11년도 제품) 안쓰는게 있는데요. 
       이걸로 동영상 재생 등에 무리가 없을지도 여쭤봅니다. 
       (Pc-Fi로는 써봤으나, AV용으로는 경험이 없네요)

--> PC파이용으로는 전혀 문제 없고 동영상으로는 풀HD 고용량 파일이 아니라면 큰 문제는 없을것 같습니다. 하지만 압축률이 낮다든지 정보량이 블루레이 급에 가까운 파일들은 끊김현상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동영상 끊김은 사양의 문제도 있지만 컴퓨터의 상태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용량 파일도 아닌데 끊김이 심하다 싶으면 운영체재를 다시 깔아보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이런 저런 프로그램들로 리소스를 잡아먹어서 끊기는 경우도 있기 때문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홈씨어터 구축 관련 질문있습니다.^^

홈씨어터를 구성하려고 하는데, 이해가 잘 안되는 사항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내공 100요) 글이 길어요...죄송합니다.~ ㅇ 사용용도 : 영화감상 90%, 음악감상 10...

홈씨어터 관련 질문 있습니다.

... 홈씨어터를 장만했는데 워낙 아는 것이 없어서... 일단 티비는 엑스캔버스 피디피로 했구요, 홈씨어터는 야마하... 홈씨어터 엠프의 기능이 원래 이런 모노나 스테레오...

홈씨어터 구축관련

... 홈씨어터라면 친구네집 돌아다니며 열번 이상 구축해 보았습니다. DVD방처럼 구축할 때 필요한 것은 크게 오디오장비, 영상장비, 그리고 플레이어겠죠? 먼저 가장 중요한...

홈씨어터 구축 제품 평가 및 선정...

... 홈씨어터 구축관련 가이드 같은 자료는 없는지요? 3. 위 제품을 저렴하게 구입할수 있는 방법과 판매하는곳 소개 부탁드립니다. 우선 일체형은 피하시는 게...

5.1ch 홈씨어터 구축하기 위한 질문

... 완전 초짜인데 빨리 구축해서 느껴보고 싶어서요....^^ 홈씨어터에 관해서... av에 관련된 정보는 www.wassada.com 게시판에 가보세요. 7. tv-out 화질은 vga카드에 따라 다릅니다....

홈씨어터구축 관련 질문입니다(완전초보)

첨부된 그림과 같이 홈씨어터구축할까 하는데.. 다른 기기들은 있고 AV리시버를... 기기별 설치와 연결케이블관련.. 리시버로 영상연결하여 분리를 하는부분에서...

[HDMI 초보] PC 5.1채널 홈씨어터 구축에...

... 시스템을 구축할 것 2. TV 시청 시 모니터 내장이 아닌 5.1채널 스피커를 통해 사운드를 출력할 것 그래픽카드는 기본적으로 그래픽만 출력합니다 그래서 사운드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