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앤드(s100fs) VS 보급형DSLR(D40) 선택에 조언부탁드려요

하이앤드(s100fs) VS 보급형DSLR(D40) 선택에 조언부탁드려요

작성일 2008.08.1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우선 카메라 구입의 목적은

 

그림자료에 쓰일 사진을 만드는 것입니다

 

선명도가 좋아야 하고 접사 망원이 잘되야 되구요 아웃포커싱은 관심이 없습니다

 

처음엔 D40에 접사렌즈 + 망원 하나로 끝내려고 했지만

 

렌즈교환비와 찍을때 마다 바꿔줘야할 귀차니즘에 하이앤드 라는 것을 발견하고

 

S100FS를 보고 나서 마음이 흔들리더니

 

DP1까지 보고 말았습니다

 

DP1은 DSLR CCD를 사용해서 매우 화질이 만족스럽더군요 하지만 광학줌이 없다는 것이 너무 아쉽구요

 

(접사가 30CM 라고 써있던데 그럼 아예 접사를 못하는 것인가요..?)

 

S100FS는 모든기능이 마음에 드는데 작은 CCD에서 오는 그 선명하지 못한 사진때문에 갈등이 생기더군요

 

이럴바에 D40과 좋은렌즈를 사는것이 나은선택인지 하는게 궁금합니다

 

D90출시가 되면 차라리 그걸 기다렸다 사는것이 나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요

 

예산은 100만원 정도입니다

 

만약D40이 더좋다면 렌즈군도좀 추천해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러면 얼마전에 단종된 소니의 dsc-r1 을 중고로 구해 보세요

r1의 장점은 일반 dslr 카메라의 이미지센서와 같은 크기의 센서를 채용하고 렌즈도 칼짜이즈의

24-120mm 렌즈를 일체형으로 만든 하이앤드카메라의 지존입니다..

엔트리급 dslr 카메라에 왠만한 렌즈를 구성해도 이 카메라의 성능에 따라가지 못합니다.. 그만큼 엄청난

놈입니다.. 출시될때 가격이 100만원을 훨씬 넘던 놈입니다.. 다만 이미지센서가 크다보니 동영상 촬영은 안됩

니다.. dp1 도 같은 크기의 센서를 사용하는데 줌이 안되죠..

함 중고로 잘 골라 보세요 중구가도 60만원선 할 겁니다.. 소니에서 발매할때 거의 전문가용으로 나왔던 놈입니다.

참고로 아래 사이트 리뷰 참조 해 보시고

http://www.popco.net/zboard/view.php?id=dica_review&no=101

쇼핑에서도 잠깐 가져 왔습니다.

1,030만 화소의 CMOS 센서와 최고의 화질

R1은 새롭게 개발된 (총) 화소수 1,080만 픽셀 CMOS 센서를 이메저(imager)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R1의 초대형 (21.5 x 14.4mm) CMOS 센서는 폭넓은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와 높은 신호 대비 잡음 비율(S/N ratio)을 구현하고 있으며, A3사이즈에서도 300dpi급 고화질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CCD와 달리 CMOS 센서는 전송 신호를 고정시키고, 전력 소비를 낮춰 주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센서가 각 픽셀 안에 있는 신호들을 증폭시키며 그때마다 매번 픽셀로부터 신호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 이러한 시스템 덕분에 스미어 현상(smear)도 없습니다. 가로세로 비율이 3:2이기 때문에 필름 카메라와 똑같이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전력 소비가 적기 때문에 초대형 이미지 센서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R1만의 독특한 기능인 “풀타임 라이브 뷰 시스템”을 갖출 수 있습니다.
   

24mm-120mm 칼 자이스 바리오-조나 T*렌즈

이 칼 짜이즈 렌즈는 오직 R1만을 위해서 디자인되었습니다. 이미지 반사용 거울이 없는 백 포커스 구조는 초광각 24mm(35mm 필름카메라 환산 시)의 초점 길이와 F2.8 렌즈 밝기를 실현함으로써 탁월한 표현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R1은 또한 T* 멀티레이어 코팅 렌즈를 갖추고 있는데, 이것은 많은 사진작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아 왔습니다. 고스트 이미지와 플레어 현상을 줄이고 더욱 선명한 콘트라스트를 가진 고급화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게 해 줍니다.
초점 길이는 24mm에서 120mm까지 커버할 수 있습니다(필름카메라 35mm 환산 시). R1만의 고유한 백 포커스 시스템은 렌즈의 마지막 구성단위를 CMOS 센서 앞에 위치시켜서, 색수차를 매우 효과적으로 줄여 줍니다. 여기에 더하여 소니와 칼 자이스는 더욱 선명한 콘트라스트와 높은 해상도를 사진의 모서리 부분에서까지도 구현할 수 있도록 MTF(변조 전달 함수)와 색수차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독특한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자유 각도로 움직이는 2.0인치 LCD

자유 각도로 조절 가능한 LCD를 회전시켜서, 높은 각도에서 낮은 각도까지 어떤 위치에서도 문제없이 촬영할 수 있습니다. LCD는 카메라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어 촬영 전에 노출, 화이트 밸런스 같은 카메라 환경 설정뿐만 아니라 전체 이미지 구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600 칸델라(Cd/m2)의 뛰어난 휘도를 가지고 있어 밝은 일광 아래에서도 촬영할 수 있습니다.
   
한층 진화된 리얼 이미징 프로세서

응답속도, 노이즈 감소, 컬러 계산 프로세스는 더욱 생생한 원색을 표현할 수 있을 만큼 한층 진화하였습니다. 화이트 밸런스의 정확도 또한 실내와 실외를 식별할 수 있고 더욱 정확한 컬러를 재현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고급 계조 제어 시스템 " A.G.C.S(Advanced Gradation Control System)]
 
고급 계조 제어 시스템(A.G.C.S)는 리얼 이미징 프로세서의 기능 중 하나로, 1장의 사진을 막대그래프로 분석하여 최적의 밝기 분포에 맞도록 자동적으로 수정해 줍니다. 이 기능은 역광 사진 촬영의 경우 화이트아웃 또는 블랙아웃 현상을 줄여 줌으로써 그 사진이 정확한 콘트라스트 및 계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해 주며, 콘트라스트가 낮은 사진들의 경우에는 콘트라스트를 강화 시켜 줍니다  
     

3가지 타입의 컬러 재생 모드

R1은 3가지의 서로 다른 컬러 모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목적에 맞도록 메뉴에서 최적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스탠다드 모드]
스탠더드 모드는 피사체의 실제 색상과 사진 찍는 사람의 기억 속의 색상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컬러에 대한 새로운 산술적 계산 방법이 이 컬러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전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소니의 디지털스틸카메라 제품군에 대한 새로운 표준 컬러 모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비비드 모드]
비비드 모드는 원색을 더욱 세밀하게, 색의 채도와 심도를 통하여 표현하고 있습니다. 깊고 푸른 하늘의 풍경이나, 강렬한 빨간색의 꽃, 웅장한 경치 등은 감상하는 사람을 감동시킬 수 있도록 생생한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Adobe RGB 모드]
Adobe RGB모드를 이용하면 전자 출판과 같은 높은 화질의 이미지 환경과 고급 사진애호가들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만큼 더욱 넓은 컬러 영역에서 컬러를 재현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반대로, 일반적인 컬러 모드는 RGB 시스템을 답변확정하고 있는데, 이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며 PC 모니터에 더 적합한 것입니다.


RAW 파일용 응용 프로그램 "이미지 데이터 컨버터 SR"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 컨버터 SR 프로그램은 소니 F828과 V3에 제공된 기존의 이미지데이터 컨버터와 비교하면 기능과 작동성 2가지 모두에서 상당한 진보를 이루었습니다. 더욱 고속화된 처리 속도로 스트레스 없이 이미지를 처리해 주며, 사용자는 화이트 밸런스와 노출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비드 모드나 스탠더드 모드와 같은 컬러 모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수동 기능
   

[시간(벌브)노출]
R1은 수동 셔터 스피드를 30초에서 1/2000초 사이에서 지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간 노출” 기능이 있어 노출 시간을 찍는 사람의 의도에 따라 3분까지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드에서 셔터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자신의 이상적인 타이밍에 따라 벌브 셔터를 열거나 닫을 수 있습니다.

[리어 싱크로]
리어 싱크로(Rear Syncro) 모드를 이용할 경우 플래시의 빛이 벌브 셔터가 닫히기 직전 작동해서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빛의 궤적이 피사체의 뒤쪽으로 커지게 됩니다. 플래시가 운동의 진행 방향 쪽으로 빛의 궤적을 노출시키는 일반적인 슬로우 싱크로 모드와 결합한다면, 당신이 상상하는 대로 플래시 포토를 창작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수동 초점조정]
수동 초점 모드를 이용하여 초점을 맞출 경우 카메라 몸체 측면에 있는 “PUSH AUTO”버튼을 이용하면 피사체에 손쉽게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초점 영역은 LCD 상에 나타나는 초점 프레임과 다중 섹터(multi sector)를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으며, PUSH AUTO버튼을 사용한 다음 초점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편안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개선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은 LCD와 전자식 뷰 파인더(EVF), 양쪽의 하단 부분에 셔터 스피드, 조리개 값, 노출 보정(EV) 다이어그램과 같은 기본적인 카메라 설정 정보를 촬영하려는 피사체와 겹치지 않게 보여 줍니다.

[막대그래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는 촬영 시 적당한 밝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막대그래프를 동시에 보여 줍니다. 막대그래프는 사진을 확인할 때는 각 색상의 적당한 균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개별적인 RGB 컬러로 나타납니다.

[제브라 패턴]
제브라 패턴은 밝기가 일정 수준을 넘고, 색조가 느슨하게 표시된 영역들을 흑백의 띠로 표시해서 적당한 밸런스로 노출이 조정될 수 있게 해 줍니다.

[격자 눈금선]
격자 눈금선은 수평선 또는 수직선 안에 피사체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게 도와 줍니다. 또한, 여러 가지 패턴 속에서 사진의 구도를 잡을 수 있게 해줍니다.

[초점확대]
더 정확한 초점 조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수동 포커스 링을 사용하는 경우, 초점 설정을 위한 점이 확대된 이미지 안에 나타납니다.

[모니터링 모드]
Framing과 Preview, 2가지 모드 중에서 모니터링 모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Framing Mode”는 형광등 아래에서 반짝거림을 줄여 주며, 스크린은 피사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밝아 집니다. 반면, “Preview Mode”에서는 조리개 값과 셔터 스피드 같은 카메라의 설정을 반영해 보여주어 사진 촬영 전에 피사계의 심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CCD 유효 화소수 1,030만 화소
(총 화소수 1,080만 화소)
이미지센서 (크기) CMOS (21.5mm X 14.4mm)
정지영상 사이즈 10.0M, 7.0M, 5.0M, 3.0M, 1.0M
기록포맷 JPG, RAW
렌즈 F=14.3~71.5(약 24 ~ 120mm)
렌즈직경:67mm
칼 자이스 렌즈 바리오 조나 T-스타
렌즈 (밝기) F2.8 ~ 4.8
광학 줌 / 디지털 줌
스마트 줌
5배 / 10배
1M 15배
매크로 최단거리 35 Cm
노출제어 자동, 프로그램AE, 조리개 우선, 셔터우선, 매뉴얼, 장면모드
측광 방식 멀티패턴, 중앙중점, 스폿
감도 자동, IOS 160 / 200 / 400 / 800 / 1600 / 3200
화이트 밸런스 자동, 태양광, 흐림, 백열등, 형광등, 플래시,원푸시
내장 플래시 자동 / 강제발광 / 발광금지 / 슬로우싱크로 / 적목 감소 세부 조정
장면 모드 4가지 모드
연사 최대 3매(10M/Fine) / 0.32sec
LCD 타입
(화소수)
프리앵글 2.0인치 TFT
(13.4만)
뷰 파인더 전자식 (23.5 만)
저장 매체 메모리스틱, 컴팩트 플래시 카드 타입 I, 마이크로 드라이브 II
배터리 타입 인포리튬(NP-FM50)
크기(mm) 139.4 X 97.7 X 156.0
무게 약 926g
원산지 Japan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단 기종부터가 차이가 있네요. D40은 보급형 DSLR기종이고 새로 나온 P80은 하이엔드 급이라기 보다는 고배율 줌 기종이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가격 선이 정확히 어떻게 출시 될지는 모르겠지만 새로 출시된 제품인 만큼 적당히 고가일 것으로 예상 됩니다. D40은 DSLR기종들 중에서도 가장 저렴한 측에 끼는 제품입니다. 하지만 스펙 상으로도 같은 급의 다른 제품들에 비해 저렴한 편이죠. 렌즈 호환문제 또한 갖고 있고요. DSLR을 구입하실 거라면 D40보다는 캐논 400D를 더 추천해 드리고 싶네요.

제대로 된 하이엔드 기종을 원하신다면 후지S100FS를 추천해 드리고 싶네요.

후지 S100FS 환산28~400mm에 달하는 화각과 광학 14.3배줌의 후지논 렌즈와 2/3인치 센서를 사용한 근래 보기 드문 진정한 하이엔드 모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가장 특징적인 것은 리얼 포토 엔진III의 사진이라 할 수 있는데 기존에 비해 약 4배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채용했으며 유저가 레인지폭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노이즈 제거 기술도 한층 강화되어 샤프니스를 유지한 채로 노이즈만 제거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새로운 기능으로는 동영상 촬영시 줌기능이 가능 해졌고 총 네 가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필름 시뮬레이션기능은 후지필름의 독자적인 기술, 필름을 선택하는 감각으로 색채나 계조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S100FS는 기계식 고배율 줌렌즈를 답변확정한 제품으로 조작이 편리하며 아웃포커싱에도 다른 하이엔드 기종 중에서도 유리한 편이며 기본적으로 수동기능이 지원되고 외장플래시등이 장착이 가능하도록 핫슈가 장착되어 좀더 폭넓은 조명 효과를 얻는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S9000 시리즈에서 지원하지 않았던 최대 3단 보정 렌즈 시프트 방식의 손떨림 보정기능을 지원해 준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기능면에서는 CCD면을 제외하면 웬만한 DSLR급을 능가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가격 면에선 이러한 뛰어난 성능개선에 비례해 역시 웬만한 DSLR 급을 맞먹는 70만원에 가까운 가격대로 출시되어있는 제품입니다.

사진을 찍을 땐 목적이 무엇이던 간에 기본적인 원리를 조금이라도 공부하시고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 무턱대고 찍는 것 보다 약간의 공부로 좀 더 많은 효과를 보실 수 있으니까요. 그런 의미에서도 DSLR을 권하고 싶지만 하이엔드 기종들 중에서 S100FS는 그에 못지 않게 훌륭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DSLR만큼의 효과를 무조건 얻으시려는 거라면 반대지만 렌즈교환의 귀찮음이나 동영상 기능 등의 효율성을 원하시는 거라면 S100FS도 괜찮은 제품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참고하셔서 좋은 제품 구입하시길 바랍니다.

VS 보급형DSLR(D40) 선택에 조언부탁...

... 귀차니즘에 하이앤드 라는 것을 발견하고 S100FS를 보고... 이럴바에 D40과 좋은렌즈를 사는것이 나은선택인지... D40보급형 DSLR기종이고 새로 나온 P80은 하이엔드...

S100fs VS DSLR 그들의 정체

... 하이엔드 S100fs이라 할지라도 싼 D40에게 발린다니 좀 답변이 벙 떠버리네요. 어떻게 어디가 차이가나서 DSLR의... 찍을것이면 보급형 DSLR을 사시고, 전문취미로...

입문 하이앤드SP-570UZ vs 니콘d40 or...

... 보급형이라 니콘쪽을 선택하신다면 경제적인 부담이 적어지겠죠. 제 경우를 말씀드리면 DSLR은 쓰고싶으나 저도경제적인 문제로 당장은 구입이 힘들고 D40이냐 하이엔드...

고민입니다..조언부탁드려요(초보)...

... 싶기도 해요 그런데 하이엔드 디카를 알아보다보면... 예상도 부탁드려요) 4. 솔직히 dsrl부담되는 부분 가장... 100은 보급형 DSLR중에서도 약간 큰 제품입니다. D40이나...

구매할려고 하는데 조언부탁드려요 ^^

... 거의 하이엔드카메라로 정해졌으니...캐논이나 삼성 니콘 등등 혹시 추천해주실만한 모델이있거나 조언부탁드려요 기왕이면 현재 대략적인 판매가격도...

하이엔드 카메라(sx10is) 와 DSLR(e420)...

... 빠른답변 부탁드려요 ㅜㅜ; 24일까지 손에... 카메라 회사들이 보급형 DSLR을 만들면서 진짜 하이엔드급 카메라를 안만드는 대신에 선택을 한 것이 기존에...

하이앤드 디카 R1,S9600,FZ50...

... 고수님들 조언 부탁 드려요.... P.S 혹시 slr로 가라는 말은 하지 마세요 저도 하이엔드 디카 사려고 세... (배터리 포함 무게 약 0.9kg 정도) 왠만한 보급형 DSLR보...

니콘 D40 VS 캐논 350d(400D)

... 그냥 하이엔드를 사라고 하시는 분들도 있으셨는데요. 정말 그게 나은건지 궁금하네요. 많은 조언 부탁드려요.... 전 dslr입문을 d40으로 하고 또 캐논은 350d는 아니지만...

잘아시는분들 조언부탁드려요~

... DSLR 은처음접하게되는건데 초보들두 쉽게 사용할수있는제품이 어떤게있는지 니콘D40 제품이... 사용하는 하이엔드입니다. 최상입죠 세자리 숫자는 보급형이긴하지만...

하이엔드 카메라 추천 부탁드립니다^^

... 조언 부탁드려요. 질문에 언급한 제품(H50포함)들은 모두 하이엔드급 카메라들이 아닙니다. 하이엔드급의 원래... 후지필름의 S100FS(보급형 DSLR보다 비쌈) 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