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 쌩초보입니다. 미러리스 vs 하이엔드 컴팩트

카메라 쌩초보입니다. 미러리스 vs 하이엔드 컴팩트

작성일 2010.11.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내일이나 모레중에 구입을 할것같습니다.
저는 카메라 쌩초보고 성향은 일반백에 막 가지고 다니는 타입입니다.

미러리스중에 봐놓은것은

소니 nex5 16mm킷
화각: f2.8 16mm(환산 24mm)
APS-C 1:1.5 cmos
고감도(iso200~12800) 저노이즈
초당 7매 

장점: 소니브랜드, 디자인, 저노이즈, 소형경량, 플래시딸려옴, 비교적 좋은 디스플레이
단점: 현재 렌즈군 부실, 16mm 선예도논란(광각치고는 가격대비 딱이라고도하고 후지다는말도있습니다.)

삼성 nx100 20mm킷(여유가된다면 30mm추가구매)
화각: f2.8 20mm(환산 30mm),  f2.0 30mm(환산 45mm)
APS-C 1:1.5 cmos
초당 3매

장점: nex5보다 단렌즈가 좋은것같다, 조작이 좀더 편하다고함(넥스도 펌업으로 일부개선됨)
단점: 디자인, 비교적 크고무거움, 삼성브랜드(..), 
iso3200까지밖에 지원안하고 고감도에서 비교적 노이즈가 많다.

하이엔드컴팩트중에 봐놓은것은
캐논 s95
f2.0, 1/1.7 ccd, 5cm접사, 3.8배줌
삼성 ex1
f1.8 1/1.7 ccd, 5cm접사, 3배줌
입니다.
(바디만 300g, nex5렌즈낀것보다 무거움;;)

질문1. 캐논 s95나 삼성 ex1의 밝은조리개값을 nex5의 16mm  고감도샷으로 충분히 커버가능할까요?
즉 어두운곳에서 찍을때 어느게 더 잘나올지(선명하고 노이즈적게)
f2.8에서 f2.0이 1스톱올리는거면, s95 iso400
(개인적으로 일반똑딱이는 200, 하이엔드는 400이상은 보기싫더군요)이랑
nex5 16mm iso800이랑 비교한다면(nex5는 1600까지 그럭저럭 nx100은 800부터 망가짐;;)
다른거 다 동일한 조건하에 광량(사진의 밝기)가 똑같게 되는건지요?
그렇게되면 nex5 iso1600으로 놓고하면 밝기에서도 훨씬 유리할것같은데

질문2. 센서가 큰 카메라도 멀티포커스하면 심도 깊게 잡을수 있나요?

질문3. nex5, nx100이 배경흐리기가 잘될지

질문4. 맘같아선 nex5바디랑 삼성렌즈끼우고싶은데

질문5. nex5 단렌즈에 손떨방이 없습니다. nx100이나 s95, ex1은 손떨방이 다있는데
손떨방의 효과가 어느정도인가요? (손떨방이라는게 있으면 셔속 길게 잡아도 되나요?)

질문6. 보통 셔속 얼마정도로하면 안떨리고 찍히나요?

질문7. 마지막으로 미러리스와 하이엔드의 가장큰차이점이 센서크기라고할수있는데
센서크기가 클수록 좋은편이 심도표현, 저노이즈 빼고 어떤차이가 있을까요?
(그중에서도 똑딱이의 조리개값이 좋다면 노이즈장점은 묻힐것같기도합니다.)

저 4기종중에서 너무 고민됩니다. 제일 낫다고 생각되는거 추천좀해주세요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일단 현재 방에 스탠드 하나 켜고 노출계 찍어보면 ISO 400에 F2.8조리개면 셔터스피드가 1/8초 나오며, F2.0이면 1/15초가 나오고 있습니다. 같은 ISO 400이라도 해도 NEX가 컴팩트인 S95나 EX1(캐논은 S95를 하이엔드급으로 홍보를 않하며, 삼성만 EX1을 하이엔드급이라고 홍보함)은 ISO 400이면 더 작은 CCD를 채용한 컴팩트형 카메라보다는 좋지만 NEX처럼 보급형 DSLR이랑 동일한 센서를 채용한 제품이랑 비교를 하면 당연히 밀리는 것입니다. 셔터스피드는 EX1이나 S95가 더 잘나와도 화질로 밀립니다. 솔직히 삼성이 노이즈처리가 좋다고 보질 않습니다.

 

2.심도를 깊게 할려면 멀티포커스(?)를 뭘 이야기를 하시는지 모르지만, 팬포커스를 하고 조리개 팍 조여주면 됩니다. 컴팩트형 카메라들은 기본 심도가 깊기 때문에 심도가 깊은 사진을 쉽게 찍을 수는 있습니다만, 반대로 낮음 심도는 어렵다는 것을 감안을 해야 합니다. 일부 삼성 홍보자들이 EX1이 낮은 심도 표현이 DSLR급 카메라만큼 빵빵되는 것처럼 이야기를 하기도 하는데, 그러면 DSLR살 사람이 없겠지요. DSLR이나 하이브리드 카메라를 사는 이유가 화질도 더 좋기도 하지만, 일단 심도표현이 자유롭기 때문입니다.

 

3.NEX의 장점은 호루스벤누 같은 회사에서 렌즈컨버터를 NEX용으로 많이 수입을 해놨기 때문에 타사 렌즈를 컨버터를 이용을 하면 다 붙일 수 있습니다. 물론 손떨림보정이나 AF호환은 안됩니다. 16mm F2.8정도면 아웃오브포커스 촬영이 어느정도 되는 수준으로 보면 됩니다. 아웃오브포커스 촬영은 초점거리가 길수록 잘되고 조리개 개방수치가 클수록 잘되는 것인데, 출시된 렌즈의 조건으로는 삼성 렌즈가 좀더 유리한 것은 맞지만, 소니바디는 소니 알파마운트 컨버터를 이용을 해서 알파마운트 렌즈를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컨버터의 펌웨어 업그레이드로 AF도 호환이 가능하게 한다는 이야기는 있습니다.

 

소니가 인간적으로 렌즈를 많이 안만들어주는 이유는 일단은 소니는 DSLR이 주품목이라는 것입니다. DSLR에는 캠코더 팔아먹을려고 일부러 동영상 기능을 않넣어 줬지만, 이제는 넣었다는 말입니다. 하이브리드 시장보다는 DSLR시장을 소니는 크게 보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DSLR용 렌즈를 계속 출시를 해주고 있는데, NEX용 렌즈에는 신경을 덜 쓴다는 말입니다.

 

삼성이야 NX시리즈에 올인이고요. 삼성의 DSLR인 GX시리즈는 삼성마크만 붙은 것이었지 펜탁스 제품이었고, 소니는 코니카미놀타의 카메라 사업부를 인수를 해서 알파 시스템을 모두 사버린 것이기 때문에 마음대로 만들 수 있는 여건이 있는 것입니다.

 

올림푸스도 PEN시리즈 팔아서 재미 있으니까 DSLR은 요즘 신경 안쓰고 PEN만 신경을 쓰고 파나소닉도 G시리즈 카메라에 재미 들려서 렌즈를 하이브리드 중에서 제일 많이 출시를 한 상태라는 말입니다. 올림푸스하고 파나소닉은 서로 공생 관계이니까 그렇다고 치고, 삼성은 독자 DSLR마운트가 없으니까 하이브리드라는 틈새시장 공략하는 것이고 소니는 다들 하이브리드 만드니까 소니도 만든거고.. 그렇게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니콘이나 캐논은 DSLR에서 먼저 선점을 한게 있기 때문에 신제품 바디만 출시를 해도 쏠쏠한 것이고요.

후지필름도 곧 하이브리드인 X100이 나올 예정입니다.

 

4.번은 그렇게는 안됩니다.

 

5.손떨림보정 기능이 아무래도 실수를 줄여주는 역활을 하는 것은 맞습니다. NX100도 NX10이랑 동일하게 렌즈보정식 손떨림보정 기능을 사용을 하는 제품으로 손떨림보정 기능인 OIS기능이 내장된 렌즈를 사야 하는 기종입니다. NX10이랑 NX100이랑 같은 마운트인데 손떨림보정 방식이 틀리지 않다는 말입니다. 라인업상으로도 NX10이 더 고급이고요.

 

손떨림보정 기능은 카메라를 들고 촬영을 하는 사람의 손떨림만 어느정도 잡아주는 기능일 뿐입니다. 셔터속도랑은 상관이 없습니다. 카메라를 들고 사진을 찍는 사람의 손떨림만 어느정도 잡아주는 것이지 보정율이 좋다고 해서 셔터속도를 길게 줄 이유는 없다는 말입니다. 어차피 야경촬영시에는 롱셔터를 사용을 하면 손떨림보정 끄고 닥치고 삼각대 쓰고 저감도 촬영을 하는 것이 좋고, 어두운 환경에서 정품을 찍지 않는한 셔터스피드를 낮출 이유가 없다는 말입니다.

 

6.사람마다 손떨리는 정도가 틀린데, 그것을 어떻게 이야기를 합니까? 보통이라는 기준이 없습니다. 사람마다 틀립니다. 손떨림 심한 사람은 손떨림보정 기능이 있어도 흔들리는 거고, 심하지 않은 사람은 유리한 것입니다. 지금 책상위에 있는 카메라를 예를 들면 파나소닉 FX07이랑 FX75가 있군요. 둘의 차이점은 조리개의 차이도 존재를 하지만, 화각차이도 발생을 하고 손떨림보정 기능의 보정율 차이도 발생을 합니다. FX07으로는 같은 조명하에서 1/8초로도 흔들리는데, FX75는 1/2초로도 여러장 찍는다면 안흔들리고 찍을 수 있습니다. 두 기종의 차이는 일단 같은 손떨림이 발생을 해도 렌즈의 화각이 넓은 쪽이 덜 떨립니다. 조리개 개방으로 셔터스피드 확보가 더 되는 쪽이 또 덜떨리는 것이고 FX07은 그냥 O.I.S이고 FX75는 파워 O.I.S입니다. 파나소닉의 발표대로라면 O.I.S의 보정율 두배 뻥튀기 한게 파워 O.I.S라는데, FX07보다는 보정율이 높다는 것이 느껴질 정도입니다.

 

문제는 카메라 회사별로 같은 광학식 손떨림보정이라고 해서 동급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보정율이 존재를 한다는 말입니다. 같은 광학식이라고 해서 같다고 보면 안된다는 말입니다.

 

7.EX1이나 S95는 하이엔드급이 아닙니다. 삼성은 더 큰 CCD를 채용했던 프로815라는 제품이 있었고, 캐논도 PRO1이라는 제품이 존재를 했었습니다. 이들 제품은 2/3인치 CCD를 채용을 했던 제품입니다. 현재도 2/3인치 CCD를 채용한 제품이 아직까지 판매중인데 그게 후지필름 S100FS라는 제품입니다.

 

현대 자동차가 아반떼 MD를 광고를 하면서 기존에 준중형차로 팔던 자동차를 지금와서 옵션 좀 달았다고 중형차를 능가한다는식으로 판매를 하는데 그래봐야 아반떼입니다. 누구도 그걸 중형차로 안본다는 말입니다. 삼성의 EX1도 마찬가지라는 말입니다. 옛날에 하이엔드급이 있었는데, 그보다 낮은 사양의 카메라를 지금와서 하이엔드급이라고 하는게 말이 안된다는 말입니다. CCD크기 더 작은 WB5500도 하이엔드급이라고 하고, WB2000도 하이엔드급(삼성은 죄다 자기들 것은 하이엔드급이라고..)이라고 하고 그전에 팔던 WB1000은 미니 DSLR이라고 팔았습니다. -_-

 

컴팩트형 카메라는 조리개 값 좋아봐야 센서크기 차이로 인한 노이즈 때문에 어쩔 수 없습니다. 다른 컴팩트형 카메라보다 유리할 뿐이지 하이브리드나 DSLR이랑 비교를 하면 밀립니다.

 

솔직히 FX75를 산 이유가 동영상과 항시 휴대용으로 새로 하나 산 것이지 야간에 촬영 빵빵할려고 산 것도 아닙니다. 애초에 조리개하고 CCD크기 생각을 했으면 LX5를 샀겠지만, LX5를 그돈주고 사기에는 돈 아깝다는 생각이었습니다. 구형이지만 DSLR은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나 새로운 DSLR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었습니다.

미러리스 vs 하이엔드 컴팩트

... 저는 카메라 쌩초보고 성향은 일반백에 막 가지고 다니는 타입입니다. 미러리스중에 봐놓은것은 소니 nex5... 하이엔드컴팩트중에 봐놓은것은 캐논 s95 f2.0, 1/1.7 ccd...

하이엔드카메라 vs 미러리스

... 불리는 컴팩트 카메라나 그보다 더 높은 사양을 내는 하이엔드 자신은 렌즈교환도 하고 싶은데 더 작은 카메라를 원하면 미러리스를 좋고 나쁘는것을 따지는건 자신의...

하이엔드카메라 vs 미러리스카메라

... 그래서 그 이후 생각해낸것이 미러리스카메라 아니면 하이엔드컴팩트... A6000(미러리스) or A5100(미러리스) vs RX100mk3 (하이엔드) 여행 자주자주 다니면서 사진도...

선택장애 (DSLR,미러리스,하이엔드)

... 근데 카메라는 죽을때까지 계속 찍을거구요. (취미로)... DSLR vs 미러리스 vs 하이엔드 도와주세여 뭐 살까여... 아마 미러리스와 구분하여 하이엔드를 쓰신걸 보니 컴팩트...

하이엔드 카메라vs미러리스 카메라

... 1.들고 다니면서 찍을 꺼라 휴대성이 좋은 카메라였으면 좋겠구요 > 미러리스 타입이 DSLR보다 상대적으로 작기는 하지만, 하이엔드컴팩트보다는 아무래도 떨어지고...

카메라 질문(미러리스 vs 하이엔드)

... 구입한 컴팩트 디카나, 폰카 가지고도 충분히 잘... 미러리스 카메라 번들렌즈로 접사 찍기 힘들까요? 일단 하이엔드는 렌즈 변경을 못한다는 단점 미러러스는 렌즈를...

(별 사진 ) 미러리스 vs 하이엔드 vs dslr

... 70만원 내외 기준 DSLR 캐논 : EOS 750D 18-55 KIT 니콘 : D5500 18-55 KIT 미러리스 캐논 : EOS M3 15-45 KIT 소니 : A5100 16-50 KIT 하이엔드 컴팩트 카메라 캐논 : G1X Mark II, G7X Mark 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