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문제 답좀 알려주세요 급해요!!ㅠㅠㅠㅠ

경제문제 답좀 알려주세요 급해요!!ㅠㅠㅠㅠ

작성일 2009.12.1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5.맞으면 o 틀리면 x해라

2) 수요가 증가하면 보통 가격이 상승하고 거래량이 늘어난다.

 

6.거시경제에서 가격외의 이유로 수요가 증가하면 물가와 국민소득은 어떻게 변하나?

 

7.너는 대통령이다. 만약 네가 6번의 물가변화를 자국의 경제문제로 생각한다면 너는 이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9.이자율이 증가하면 투기적동기로 화폐에 대한 보유는 증가하는가 감소하는가? 그 이유는?

 

10.이자율과 투자는 반대로 움직인다(역관계) 그이유는?

 

11.

1)화폐에 대한 공급을 증가시키면 이자율은 상승하냐 하락하냐?

2)이 이자율의 변화로 실물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12. 너가 대통령으로 경기침체인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1)통화량을 어떻게 할것인가?

2)정부지출을 어떻게 할 것인가?

3) 1),2)의 결과 이자율은 어떻게 변할것인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5.맞으면 o 틀리면 x해라

2) 수요가 증가하면 보통 가격이 상승하고 거래량이 늘어난다.

 O

이유: 수요가 증가하면 팔려는 사람은 같은 물건이라도 더 비싸게 팔게되고

더 비싼값에 물건을 팔 수 있기 때문에 생산자는 생산량을 늘려 늘어난 수요와 공급이 맞아

거래량이 늘어납니다.

 

6.거시경제에서 가격외의 이유로 수요가 증가하면 물가와 국민소득은 어떻게 변하나?

 가격외의 이유로 수요가 증가하면 위의 5번문제와 마찬가지로 가격과 생산량이 늘어납니다.

이는 노동자의 수입증가와 지출증가로 이어지고 이것은 다시 물가의 상승을 부추깁니다.

이와같은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 하죠.

답은 물가와 국민소득은 증가한다 입니다.

 

7.너는 대통령이다. 만약 네가 6번의 물가변화를 자국의 경제문제로 생각한다면 너는 이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인플레이션에 대한 해결책으로 정부는 2가지 정책을 펼 수 있는데

흔히 말하는 재정정책과 금융정책입니다.

재정정책은 세금의 수입과 지출을 결정하는 정책인데 6번과 같이 인플레이션 상황에선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기 때문에 세입을 늘리고 세출을 줄이는 흑자재정을 펼칩니다.

이렇게 흑자재정을 펼침으로써 이후에 올 수도 있는 디플레이션 상황을 대비한 재정을 만들고

또한 각종 사회기반사업의 지출을 줄여 시중의 통화량 자체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물론 반대의 상황인 디플레이션 상황에선 세출을 늘리고 세입을 줄이는 적자재정을 펼치죠.

현재의 전세계적 금융위기로 인한 경제한파로 대부분의 국가가 이 적자재정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금융정책은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를 조절하는 정책인데 기준금리를 인상시키면

시중에 돌고 있는 돈이 회수됩니다. 반대로 금리를 인하시키면 유통되는 통화가 다시 증가하죠.

이유는 기준금리를 인상시키면 은행이 이에 맞춰 예금과 대출의 금리를 조절하는데

금리가 인상하면 예금은 늘어나고 대출은 줄어들면서 상환됩니다.

반면 금리가 인하되면 예금은 줄어들면서 출금되고 대출은 증가되죠.

이로 인해서 시중의 통화량을 조절하여 물가를 안정시킬 수 있습니다.

 

7번의 답을 간략하게 답변드리자면 재정정책은 흑자재정으로 금융정책은 금리인상 정책을 펼치는 것입니다.

 

9.이자율이 증가하면 투기적동기로 화폐에 대한 보유는 증가하는가 감소하는가? 그 이유는?

  이미 7번에 설명 드렸군요. 다시 한 번 설명하자면

이자율이 증가하면 예금을 하려는 사람은 증가하고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은 감소합니다.

이로 인해서 시중의 화폐유통이 줄어들고 사람들이 직접 들고 있는 현금은 줄어들게 됩니다.

이유는 투기적동기로 화폐를 지니고 있다면 사람은 그 돈을 융통하여 새로운 이윤을 창출하게

되는데(부동산,주식,사업 등) 이는 어느정도 위험을 안고 실행해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그러나 은행의 이자율이 높아진다면 안전하게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면

굳이 위험부담을 안고 높아진 이자율 때문에 비슷한 수익을 추구하지 않기 때문에

돈은 결국 은행으로 몰려 화폐에 대한 보유는 감소하게 됩니다.

 

10.이자율과 투자는 반대로 움직인다(역관계) 그이유는?

  이 또한 9번에 답변에 이미 설명 했군요.

투자는 위험부담을 안고 수익을 창출하는 행위지만

은행의 이자는 위험부담이 투자행위에 비해 현저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이자율이 높아진다면 돈을 잃을 수 있는 투자보다는 안전하고

높은 수익을 주는 은행으로 돈이 향하게 됩니다.

반대로 이자율이 낮아지면 조금 위험하더라도 은행의 낮은 이자수익에

만족하지 못하고 더 높은 수익의 투자행위를 하는 사람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이자율과 투자는 반대로 움직이는 역관계에 있습니다.

 

11.

1)화폐에 대한 공급을 증가시키면 이자율은 상승하냐 하락하냐?

화폐에 대한 공급을 증가시키려면 앞에 말씀드렸다시피

이자율을 낮춰야 합니다.

그러나 질문은 이의 역관계를 설명하고 있기에

화폐에 대한 공급이 증가된 인플레이션 상황이라면

중앙은행은 이자율을 상승시킵니다.

2)이 이자율의 변화로 실물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이자율의 변화는 시중의 통화량을 조절합니다.

통화량이 증가하면 인플레이션을 유발 물가가 상승하고

국민소득이 증가하는 반면

통화량이 감소하면 디플레이션을 유발 물가가 하락하고

국민소득이 감소하게 됩니다.

 

12. 너가 대통령으로 경기침체인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1)통화량을 어떻게 할것인가?

경기침체는 디플레이션 상황으로 통화량을 증가시켜야 합니다.

현재의 경제위기 사태를 보면 쉽게 알 수 있죠.

2)정부지출을 어떻게 할 것인가?

디플레이션 상황에선 적자재정을 펼칩니다.

즉 세입은 줄이고 세출은 늘리는 것이죠.

3) 1),2)의 결과 이자율은 어떻게 변할것인가?

통화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선 이자율을 낮춰야 합니다.

또한 정부의 지출역시 이자에 대한 수입이 낮아지는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이자율을 낮춰야 합니다.

즉, 이자율은 낮아집니다.

 

 

대충 보니깐 숙제인것 같은데 본래 숙제해결은 잘 하지 않지만

오늘은 시간이 남아서 답변달아 드렸습니다.

경제는 어렵지 않고 배워두면 여러모로 도움이 많이 되기 때문에

앞으론 최소한 숙제는 스스로의 힘으로 풀어보는것도 좋을것 같네요.

답변답변확정 부탁드립니다.

경제문제 답좀 알려주세요 급해요!!...

... 만약 네가 6번의 물가변화를 자국의 경제문제로 생각한다면 너는 이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9.이자율이 증가하면 투기적동기로 화폐에 대한 보유는 증가하는가...

성장과 과제)답 좀 알려주세요ㅠㅠ급해요~~

... (1)분야: (2)이유: 4.다음 중 천연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알맞은... 3번은 꼭 알려주세요~) 1. 다음 중 경제성장을 위한 노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