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우리나라의 무역관계

일본과 우리나라의 무역관계

작성일 2007.10.25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ㅇ 일본의 통관기준 통계상, 한국으로의 수출은 금년들어(1~8월) 10.8% 증가한 4조 1,958억엔으로 전년(13.7%, 5조 8,489억엔)에 이어 두자릿수 증가


ㅇ 같은 기간,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8% 증가한 2조 1,162억엔으로, 2006년(17.9%, 3조 1,783억엔)에 비해 증가세가 크게 둔화


ㅇ 이에따라 일본의 한국에 대한 무역흑자는 작년 같은 기간(1조 7,281억엔)보다 3,516억엔(20.3%) 확대된 2조 796억엔을 기록. 끝.

우리나라가 일본으로 수출하는 품목에는

 

PDP*LCD 등의 디지털 티비와, 휴대용단말기, 온라인게임,영화,음반,드라마, 가전제품, 반도체, 컴퓨터, 자동차

 

등을 일본에 수출하며

 

우리의 수입품은

 

자동차, 기계부품, 반도체, 디지털 티비, 컴퓨터,노트북, 가전제품 등이 있습니다

 

 

자세한것은 외교통상부 홈페이지: http://www.mofat.go.kr/.

 

아니면 사회연구소 카페에 글을 올려주시면 답해드리겟습니다 http://cafe.naver.com/ksrc.cafe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한국과 일본은 역사적으로 참 밀접한 관계입니다. 두 지역 사이의 문화나 인구의 유동이 끊임없었으니까요.
한일관계의 정확한 시작을 말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다만 출토되는 유물(세형동검 등)을 볼 때, 직접적 관계는 대충 고조선시대 전후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 전에도 왕래가 있었겠지만 문화의 전래라는 점을 고려하면 고조선시대 전후라고 생각되는군요. 고조선 시대에는 미개한 일본 땅에 그저 물건들을 전파하는 수준이었다고 봅니다. 물론 그 영향으로 일본 땅에서는 비로소 문화라는 것이 발생했지만...
삼국시대에 들어서면서 일본에 대한 영향이 상당히 커지기 시작합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의 문화가 일본에 전파되면서 일본은 문화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발전하기 시작합니다.(현재 일본에서는 일부 몰지각한 사람들이 이 부분에 대해 역사왜곡을 하지만 엄연한 역사이고 사실입니다.) 특히 백제는 황실의 귀족이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왕족이 되기도 합니다. 이것은 일본 역사서에서나 현재 일본의 백제촌이라는 지역이 있다는 것과 현 일본왕이 백제의 후손이라는 것에서도 증명이 됩니다.(TV에서도 여러번 나왔습니다. 자세한 것은 kbs 역사스페셜 담당자에게...) 삼국통일 과정에서 전쟁이 일어나는데 앞의 이유로 여기에 일본이 백제를 돕기도 합니다.
고려시대에 와서는 해상의 왜구때문에 외교문제가 발생합니다. 고려는 왜구를 격퇴하기도 하고 조공부역을 하기도 합니다.
조선시대에 와서 그 관계가 뚜렷해집니다. 조공무역과 선린외교를 반복하며 때에 따라서 외교관계를 끊었다 연결하기를 반복합니다. 그러다 임진왜란이 발생하죠. 일본 내의 정세를 바꾸고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도요토미 히데요시(풍신수길)가 조선을 침략합니다. 이 때 잘 아는 이순신장군과 의병 등의 활약으로 전쟁이 끝납니다. 이후 한참을 단교하였다가 조선통신사가 일본을 왕래하며(물론 임진왜란 전에도 조선통신사가 있었으나 왜구의 침입에 대한 처리문제 같은 단순한 외교 관례였습니다.) 일본내 사정을 보고 일본내 막부들의 동정을 감시하고 관계를 갖는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이때 일본 막부들은 자신들의 위신을 위해 통신사들을 서로 모시려 했고 최고국빈 대우를 했죠.
한일 관계에 중요한 시기는 조선후기 구한말입니다. 조선이 서구세력의 격전장이 되는 구한말로 와서 일본은 조선과 달리 서구화에 앞장서 문화와 국력을 향상시키고 조선 침략의 발톱을 세웁니다. 그리하여 국모 민비시해 사건인 을미사변을 일으키고 결국에는 을사보호조약으로 국권을 강탈합니다. 일제 36년 동안 일본은 한국 물자를 수탈하고 독립운동하는 한국인을 끝없이 괴롭혔습니다. 또 창씨개명, 한글 및 한국어 사용 금지, 종군위안부 등 압제가 말도 못했죠. 해방 이후 일본과 국교 단절은 당연한 것이죠.
1960년대 김종필(아직도 멀쩡하게 정치하고 있습니다.)이라는 사람이 패전국인 일본과 몇억달러로 그 모든 원한에 대한 배상을 무마시켜버려 지금까지 일제시대에 대한 피해 배상문제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한일 관계는 발전적 관계를 위해 공동역사연구회도 만들고 민간 모임들도 많이 만들어지고 있죠. 하지만 역사왜곡, 위안부 문제등의 과거 역사 문제의 해결이 있어야 완벽한 관계개선이 이뤄질 겁니다.


21세기 한일간 상생의 국제정치를 위한 방안


1.<북한문제의 평화적 해결>-이념의 차이를 넘어 민족 공동체라는 의식하에 상생의 정치를 지향하며 일본에 대한 대북정책의 협조를 공고히 한다.

2.<인류애>의 차원에서 일본과 공동으로 국제적 인도주의적 정책을 마련한다.
-세계각국의 기아 난민국가에 대하여 적십자나 민간교류차원에서 지원을 함에 있어 정부는 일본과 협조하여 최대한의 지원과 배려를 이행한다.

3.<국제간 무역교류>에 있어 상호주의의 원칙에 입각하여 양국의 이익에 함께 호응하는 정책을 펼쳐나간다.

4.<국가의 지정학적 힘의 균형>을 맞추는 문제에 있어서는 공격적 협상 자세가 아닌 상호 공존의 원칙하에 원만한 대화자세를 고수한다.
과거의 적대적 한일관계가 아닌 상생의 실리주의적 외교관계를 지향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한국과 일본은 역사적으로 참 밀접한 관계입니다. 두 지역 사이의 문화나 인구의 유동이 끊임없었으니까요.
한일관계의 정확한 시작을 말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다만 출토되는 유물(세형동검 등)을 볼 때, 직접적 관계는 대충 고조선시대 전후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 전에도 왕래가 있었겠지만 문화의 전래라는 점을 고려하면 고조선시대 전후라고 생각되는군요. 고조선 시대에는 미개한 일본 땅에 그저 물건들을 전파하는 수준이었다고 봅니다. 물론 그 영향으로 일본 땅에서는 비로소 문화라는 것이 발생했지만...
삼국시대에 들어서면서 일본에 대한 영향이 상당히 커지기 시작합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의 문화가 일본에 전파되면서 일본은 문화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발전하기 시작합니다.(현재 일본에서는 일부 몰지각한 사람들이 이 부분에 대해 역사왜곡을 하지만 엄연한 역사이고 사실입니다.) 특히 백제는 황실의 귀족이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왕족이 되기도 합니다. 이것은 일본 역사서에서나 현재 일본의 백제촌이라는 지역이 있다는 것과 현 일본왕이 백제의 후손이라는 것에서도 증명이 됩니다.(TV에서도 여러번 나왔습니다. 자세한 것은 kbs 역사스페셜 담당자에게...) 삼국통일 과정에서 전쟁이 일어나는데 앞의 이유로 여기에 일본이 백제를 돕기도 합니다.
고려시대에 와서는 해상의 왜구때문에 외교문제가 발생합니다. 고려는 왜구를 격퇴하기도 하고 조공부역을 하기도 합니다.
조선시대에 와서 그 관계가 뚜렷해집니다. 조공무역과 선린외교를 반복하며 때에 따라서 외교관계를 끊었다 연결하기를 반복합니다. 그러다 임진왜란이 발생하죠. 일본 내의 정세를 바꾸고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도요토미 히데요시(풍신수길)가 조선을 침략합니다. 이 때 잘 아는 이순신장군과 의병 등의 활약으로 전쟁이 끝납니다. 이후 한참을 단교하였다가 조선통신사가 일본을 왕래하며(물론 임진왜란 전에도 조선통신사가 있었으나 왜구의 침입에 대한 처리문제 같은 단순한 외교 관례였습니다.) 일본내 사정을 보고 일본내 막부들의 동정을 감시하고 관계를 갖는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이때 일본 막부들은 자신들의 위신을 위해 통신사들을 서로 모시려 했고 최고국빈 대우를 했죠.
한일 관계에 중요한 시기는 조선후기 구한말입니다. 조선이 서구세력의 격전장이 되는 구한말로 와서 일본은 조선과 달리 서구화에 앞장서 문화와 국력을 향상시키고 조선 침략의 발톱을 세웁니다. 그리하여 국모 민비시해 사건인 을미사변을 일으키고 결국에는 을사보호조약으로 국권을 강탈합니다. 일제 36년 동안 일본은 한국 물자를 수탈하고 독립운동하는 한국인을 끝없이 괴롭혔습니다. 또 창씨개명, 한글 및 한국어 사용 금지, 종군위안부 등 압제가 말도 못했죠. 해방 이후 일본과 국교 단절은 당연한 것이죠.
1960년대 김종필(아직도 멀쩡하게 정치하고 있습니다.)이라는 사람이 패전국인 일본과 몇억달러로 그 모든 원한에 대한 배상을 무마시켜버려 지금까지 일제시대에 대한 피해 배상문제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한일 관계는 발전적 관계를 위해 공동역사연구회도 만들고 민간 모임들도 많이 만들어지고 있죠. 하지만 역사왜곡, 위안부 문제등의 과거 역사 문제의 해결이 있어야 완벽한 관계개선이 이뤄질 겁니다.

일본과 우리나라의 무역관계

일본과 우리나라 의 무역관계를 중요한 것만 자세하세 설명 해 주시면 갑사하겠습니다. 내공 10걸겟습니다. 되도록 빨리 찾아 주시면 갑사하겠습니다 - 현재까지 일본은...

일본과 우리나라의 무역관계

일본과 우리나라의 무역관계에 대한 기사나 자료 조사해 주세요.. 빨리해 주세요♡ 한국과 일본은 역사적으로 참 밀접한 관계입니다. 두 지역 사이의 문화나 인구의 유동이...

일본과 우리나라의 무역관계

제가 지금 숙제 때문에 일본과 우리나라무역을 하면서 어떤 물품을 주고 받는지를 알아야대요 우리나라일본에서 무엇을 수입하고 무엇을 수출하는지 좀...

일본과 우리나라의 무역관계(중1)

일본과 우리나라의 무역관계 에 대해서 좀 자세히 답변해주세요. 우리나라의 수출은 완제품 위주로 이루어진게 많습니다. 자동차는 약 2만개 이상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고...

일본과 우리나라와의 관계 (이민,무역)

... 독도 문제만 아니라면 지금 현재로써는 일본과 우리나라의 관계는 그리 나쁘지 않죠. 이쯤에서 저의 의견을 더 말씀드리자면... 물론 전 친일파는 아닙니다. 지구에서 일본을...

우리나라일본에게 지속적인 무역...

왜인가요???ㅜㅜ알려주실 분 있으면 감사하겠습니다ㅜㅜ 한일관계 무역 및 갈등요인 일본과 우리나라의 무역관계 먼저 기사인용합니다 한·일 수교 52년…무역적자 576조원...

일본과우리나라의 한류 ,무역, 역사...

... 실은 6학년 토론을 하기위해 일본과 우리나라의 관계에 대한 자료를 구하려고합니다 위 제목과 관련된 내용을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일본과 우리 나라와의 관계...

일본과 우리나라의 관계

2017년 지금 일본과 우리나라의 관계는 어떤가요? 무역관계 그런거말고 좋은관계인지 나쁜관계인지 알려주시고 그 근거까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내공100 (숙제이니...

중국,일본,우리나라와의 관계

으헤 < 안녕하세요 ㅠ 초등학교 6학년 숙제인데요 중국,일본,우리나라와의 관계좀 짧게... 조선시대에 와서 그 관계가 뚜렷해진다. 조공무역과 선린외교를 반복하며 때에 따라서...

일본과 우리나라의 관계

일본과 우리나라관계에 대한 건데요 Ø일본과 우리나라의 경제 Ø일본과 우리나라의... 조선시대에 와서 그 관계가 뚜렷해집니다. 조공무역과 선린외교를 반복하며 때에...